Influences of Police Officer's Job Stress and Traumatic Stress on Burnout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 Hwang, In-Hee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Korea) ;
  • Lee, Young-Ho (Department of Psychology, the Catholic University Korea)
  • 황인희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 이영호 (가톨릭대학교 심리학과)
  • Published : 2012.12.25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police officers's job Stress and traumatic stress to predict burnout to identify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IES-R), the Job Stress Scalc, the Malsach Burnout Inventory(MBI),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l-E Scale), the Social Support Scale, and the Ways of Coping Checklist(WCC) were administered to 492 police officers in Seoul, Bucheon, Incheon, The results revealed that 89% of partiicipants reported primary and secondary traumatic stress. Job Stress predicted mostly burnout, and traumatic Stress did secondly. Social support had moderating effects between each stress and burnout.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경찰공무원이 경험하는 외상스트레스와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각 스트레스와 소진 사이의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변인을 탐색하였다.서울시, 부천시, 인천광역시의 경찰공무원 492명에게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ES-R-K), 직무스트레스 척도, 외 통제성 척도(I-E-Sale), 사회적 지지 척도, 대처방식 척도(WCC), Maslach 소진 척도(MBI)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체의 89%가 일차적. 이차적 외상사건을 모두 경험하였고, 직무 스트레스가 소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쳤으며, 그 다음으로 외상스트레스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는 외상스트레스 및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사이에서 완충작용을 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곽대경, 김도우, 김미경 (2011). 경찰업무로 유발되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PTSD)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한국범죄심리연구 7(3),23-46
  2. 김병섭 (1994).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와 심리적 탈진. 한국행정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51-76
  3. 김병섭 (1995). 경찰공무원의 심리적 탈진 원인분석. 한국공안행정학보, 29(2), 449-467
  4. 김보환 (2001). 경찰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비간부 경찰관을 중심으로. 한국공안 행정확회보, 11(1), 39-69.
  5. 김시화 (2010). 경찰관의 직무 스트레스와 성격 유형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자치경찰학회: 자치경찰연구, 3(2) 49-81
  6. 김정숙, 유금란 (2010). 전문상담교사의 역할갈등과 소진의 관계에서 전문직 정체성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l), 53-69
  7. 김정원 (2005). 외근경찰관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태도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성수 (2002). 경찰공무원의 스트레스가 이직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 정학회보, (13) 99-135
  9.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척도 개발을 위한 일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진아, 오세진 (2011). 직무과부하와 비합리적인 조직문화가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 분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4), 803-833
  11. 박형인, 남숙경,양은주 (2011). 직무소진과 직무태도 및 이직의도와이 관계: 메타분석적 문헌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4(3), 457-491
  12. 박혜련, 박민선, 이뻐라, 정선아 (2009). 교도관의 정서적 소진과 직무만족, 역할갈등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 수용자에 대한 교도관의 태도 차이에 따른 변인간관계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2(2), 319-343
  13. 서정민 (2010). R&D 연구원의 완벽주의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8(2). 261-278
  14. 신강현, 허창구, 이철희, 이종현 (2010). 외향성과 신경증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445-462
  15. 신성원 (2007). 경찰공무원의 일상적. 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심정선 (2010). 민간경비원의 직무 스트레스정신건강 및 대처방식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23(4), 733-754
  17. 안귀여루 (2001). 통제 소재에 따른 스트레스 과제에 대한 인지적 평가와 생리적 반응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27- 143
  18. 유지현 (2006).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정서 상태,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윤장원 (2O06). 서비스직에서 직무요구와 직무자원이 직무탈진에 미치는 영향과 개인특성의 조절효과. 대한경영학회지, 19(6), 2531-2559
  20. 윤정임, 정남운 (2009). 낙관성, 인지적 정서조절 및 상담자 소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49-68
  21.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최말례,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신경정신의학, 44(3), 303-310.
  22. 이광재, 지영환(2011). 경찰의 직무스트레스 (PTSD) 해소/치료를 위한 웃음치료 프로그램 활용에 관한 연구. 경찰학논총 6(1), 69-93
  23. 이완구 (1995). 경찰공무상의 직무상 스트레스문제와 개선방안. 한국공안행정학회보, 4(1), 193-223
  24. 이은희 (2008).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간의 관계에서 목표불안정성과 문제해결양식의 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3(4), 397-413
  25. 이정훈 (2011) 경찰조직 수준별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안행정논집 7(4), 103-126
  26. 이희선 (2012). 경찰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위기관리논집 8(1), 57-70
  27. 임수진, 김해숙 (2011). 자기 효능감, 지각된 지지, 내재적 동기가 성폭력 상담소 종사자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4), 461-475
  28. 한보람 (2011). 경찰공무원의 외상성 사건과 PTSD 증상 및 우울의 관계: 직무 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허창구, 이철희,신강현, 이종현 (2010). 외향성과 신경증이 정서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3), 445-462
  30. Brown, J. M., Campbell, E. A. (1990). Sources of occupational stress in the police. Work and Stress, 4, 305-318 https://doi.org/10.1080/02678379008256993
  31. Carlier, I. V. E., Lamberts, R. D., & Gersons, B. P. R. (1997). Risk factors for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police officers: A prospective analysis. Journal of Nervous & Mental Disease, 185, 498-506. https://doi.org/10.1097/00005053-199708000-00004
  32. Carlier, I. V. E., Lamberts, R. D., & Gersons, B. P. R. (2000). The dimensionality of trauma: A multidimensional scaling comparison of police officers with and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97, 29-39. https://doi.org/10.1016/S0165-1781(00)00211-0
  33. Clair, M. 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incidents, hostility and PTSD symptoms in police offic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7(6), 3443.
  34. Cordes, S. L., & Dougherry, T. W. (1993). A review an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job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8, 621-656.
  35. Dunham, R. B., Grube, J. A., & Castaneda, M. B. (1994).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utility of an integrative defini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9, 370-380 https://doi.org/10.1037/0021-9010.79.3.370
  36. Figley, Charles R. (1995). Compassion fatigue as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An overview In. C. R. Figley(Ed.), Compassion fatigue, coping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disorder in those who treat traumatized. pp, 1-20. Empire, KY: Brunner/Mazel.
  37.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219-239. https://doi.org/10.2307/2136617
  38.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Y: Springer.
  39. Maslach, C. (1982). The burnout syndrome. New York: Prentice Hall.
  40. Patterson, G. T. (2001). Re-conceptualizing traumatic incidents experienced by lay enforcement personnel. Australasian Journal of Disaster & Trauma Studies, 5, 845-1039
  41. Pearlin, L. I., & Schooler, C. (l978). The structure of coping.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19, 2-21. https://doi.org/10.2307/2136319
  42. Rizzo, J. R., House, R. J. et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 150-163 https://doi.org/10.2307/2391486
  43. Rotter, J. B. (1966).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internal versus external control of reinforcement. Psychological Monograph: General and Applied, 80, 1-28.
  44. Wright, T. A., & Bonett, D. G. (1997). Role of employee conping and performance in voluntary employee with daranwal: A research refinement and elaboration. Journal fo Management, 19, 147-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