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용저수지와 다목적댐의 계절별 수질인자의 특성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Seasonal Water Quality Factors in Multipurpose Dams and Agricultural Reservoirs

  • 발행 : 2012.01.30

초록

This study has performed comparative analysis on characteristics of reservoirs in their use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on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factors in agricultural reservoirs and multipurpose dams. Agricultural reservoirs show the high relationship between Chl-a and other water quality factors while the correlation among COD, BOD, and SS is strong in multipurpose dams. Agricultural reservoirs have the high relationship between various water quality factors in season such as Chl-a and pH ($R^{2}=0.294$) in Spring, pH and water temperature ($R^{2}=0.246$) in Summer, and Chl-a and BOD ($R^{2}=0.435$) in Fall, and between COD and BOD ($R^{2}=0.370$) in Winter, respectively, for Sapgyo reservoir while Chl-a and T-P ($R^{2}=0.739$) in Spring, T-P and SS ($R^{2}=0.876$) in Summer, and Chl-a and SS ($R^{2}=0.600$) in Fall, and between COD and SS ($R^{2}=0.998$) in Winter, respectively, for Seokmun reservoir. Boryeong dam has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P and SS ($R^{2}=0.511$) in Spring while the relation between COD and SS is high in other seasons with the values of $R^{2}$ of 0.362, 0.665, and 0.500 in Summer, Fall, and winter,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water quality factors in relationship are COD and BOD in Sapgyo and Seokmun reservoirs, which is similar to the characteristics in Winter for multipurpose dams. Chl-a has no relationship with other water quality factors in Boryeong dam in operation for both flood control and low water regulation purpose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expected to provide contributions to the seasonal water quality control and analysis on characteristics for each reservoir by monitoring.

키워드

참고문헌

  1. 권혁윤(1992). 하천 유량변동에 따른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pp. 1-37.
  2. 김범철, 박석순, 정태영, 윤용운(1996). 박스-젠킨스법을 이용한 소양호 수질변화 시계열분석, 대한환경공학회 추계학술연구발표회 논문집, 대한환경공학회, pp. 767-780.
  3. 김영진, 송미정, 임용승, 유평종, 현길수(2007). 낙동강 유역내 알데히드 분포 및 정수처리특성, 한국수처리학회지, 15(3), pp. 89-96.
  4. 박태양, 김성재, 김성민, 김상민(2010). 낙동강유역 수질측정 자료의 시.공간적 특성 및 수질항목간 특성 분석, 농업생명과학연구, 44(5), pp. 117-127.
  5. 배영주(2009). 금강 수계 하천의 수질특성 및 수질에 대한 토지이용도 영향,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pp. 1-27.
  6. 유지연(2005). 시화호 수질경향분석과 시계열모형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pp. 1-81.
  7. 유희정(1993). 수문인자에 의한 하천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수문학회지, 26(3), pp, 75-85.
  8. 윤정희, 유영복, 이재운(2007). 금강수계 호소와 하천의 수질특성에 관한 통계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7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pp. 676-681.
  9. 이문옥(2011). 한국 남해 중부 해역의 장기수질환경변화와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의 특징,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1), pp. 19-31.
  10. 이상훈(2000). 농업용수 수질기준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산업기술연구소논문집, 수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pp. 379-385
  11. 이용환, 백경원, 한건영, 송재우(1988). 인자분석법에 의한 강우와 하천수질변동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II-3), pp. 263-276.
  12. 이재운, 김지연, 현길수(2010). 시공간적 금강 유역의 수질 변동분석, 한국수처리학회논문집, 8(3), pp. 79-86.
  13. 이종호(2011). 초정지역 지하수 수질 특성의 시계열 변화,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pp. 1-9.
  14. 정세웅(2005). 대청호 유역의 수질평가를 위한 종합수질지수의 적용, 수질보전 한국물환경학회지, 21(5), pp. 470-476.
  15. 조덕호, 엄홍석(2005). 낙동강 하천수질예측에 관한 연구 - 월별 시계열자료를 이용한 고령지점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정책학회지, pp. 5-30.
  16. 조병욱, 김영일, 김홍수, 정우혁, 이상진, 임봉수(2009). 충청남도 금강수계의 수질개선유역 선정을 위한 방법의 적용,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9 공동 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pp. 113-114.
  17. 조현경(2011). 낙동강 주요지점에서 유량-수질의 관련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20(3), pp. 373-384.
  18. 한국농어촌공사(2010). 농업용저수지 유형별 수질예측모델 적용방안 연구, pp. 87-94.
  19. 한정호, 이지연, 안광국(2010). 우리나라 다목적댐 인공호들의 규모에 따른 연별.계절별 수질 변이 및 상.하류간 종적구배 특성, 한국하천호수학회지, 43(2), pp. 319-337.
  20. 환경부(2009). 호소환경조사지침, pp.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