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n the Green Consump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대학생소비자의 녹색소비행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지역을 중심으로 -

  • You, Doo-Ryon (Dept. of Family Life Welfare and Housing,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유두련 (대구가톨릭대학교 생활복지주거학과)
  • Published : 2012.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green consumption behavior. The data from 484 university students were collected and analysed using an SPSS program.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average of the variables was considered to be low. The average of the leadership of the green consumption was the lowest (M=2.29). Second, The father education, the monthly household income, experience in the green consumption information and the media-related information were significant in ANOVA. Third, The higher of green consumption knowledge, green consumption attitude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green consumption were the higher in the green consumption behavior. Forth, overall and sub-green consumption behavior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green consumption knowledge, green consumption attitude and living environment of the green consumption. Social norms of the reference group of living environment was most significant on the green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this results, the green consumption behavior are discussed.

환경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녹색생산과 저탄소 녹색소비의 균형적 발전으로 지속가능한 녹색성장을 이룩하고자하는 노력으로 이어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녹색소비지식, 녹색소비태도, 녹색소비 생활여건 및 녹색소비행동 수준은 어떠하며, 주요 변인들은 녹색소비행동에 대하여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를 밝혀보고, 더 나아가 녹색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밝혀 보는데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SPSS/PC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484부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분산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녹색소비태도 수준은 평균 3.48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는 사용행동으로 평균 3.38점 이었으며, 특히 녹색소비 생활여건(2.71점)과 녹색소비 선도행동(2.29점)은 비교적 낮았다. 둘째, 녹색소비행동에 대한 차이분석에서는 녹색소비 중요정보를 접해 본 경험이 많을수록, 녹색소비 지식이 많을수록, 녹색소비태도수준이 높을수록 녹색소비행동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녹색소비 생활여건에서 행동점수가 높았고, 아버지학력과 윌평균 가계소득에서 유의하였다. 셋째, 녹색소비행동에 대한 영향력 분석에서 녹색소비태도의 녹색소비 선도행동에 대해서만 영향력이 없었다. 녹색소비지식, 태도, 생활여건 각각 하위변인의 영향력 분석에서는 녹색소비생활과 환경정책 관련 지식의 영향력, 녹색상품에 대한 추가비용 지불의사가높은 집단에서 영향력이 높았으며, 준거집단의 녹색소비에 대한 사회적 규범과 제도적 여건에서 정적 영향력이 높았다. 환경문제에 대한 지식이나 친환경의식, 가격수준 인지도와 시장접근성 변은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 불편함 감수에서는 부적 영향력이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미래사회 소비주역으로서 대학생 소비자들의 녹색소비행동 실천을 효과적으로 유인할 수 있는 체계적인 정책마련의 근거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녹색소비 실천을 통한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종호, 정형식(1997). 소비자 리사이클링행동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의무적 리사이클링 제도의 시행과 관련하여-한국마케팅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 집, 1-36.
  2. 이종호, 노정구, 김인숙(2000). 환경의식적 소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학연구, 29(2), 171-195.
  3. 이경아, 황은애(2009). 저탄소 녹색소비 실천정보 활성화 방안 연구. 정책연구 09-05, 한국소비자원.
  4. 민현선, 이기춘(1999.) 환경친화적 소비태도와 소비행동간의 관계. 대한가정학회지, 37(1), 29-44.
  5. 박운아, 이기춘(1995) 환경의식적 소비자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3(4), 199-212.
  6. 손상희, 김경자, 나종연, 최신애(2010). 녹색소비역량의 구성체계와 측정지표에 관한 연구. 소비자정책교 육연구, 6(3), 95-119.
  7. 유현정, 이은희, 김경자, 차경욱(2011). 우리나라 관련 법률 고찰을 통해 본 '녹색'개념의 내용분석. 소비 자정책연구, 7(3), 53-77.
  8. 윤성욱, Lisa Scribner, 서미옥, 양연조(2005).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f Consumers' Subjective Product Knowledge, 소비문화연 구, 8(2), 165-184.
  9. 윤성욱, 양연조, 노정구, 전중옥(2006). 환경지식이 환경 친화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11(3), 131-147.
  10. 유두련(2002). 재활용행동 집단별 소비자특성과 영향요인에 관한 비교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6), 53-67.
  11. 유두련, 김정희, 박영미(2003). 재활용행동에 관한 연구: 규범적 접근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6), 69-79.
  12. 유두련, 심미영(1998). 사회책임적 소비자태도와 행동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11), 1-17.
  13. 대구광역시(2011). 녹색소비생활 관련 소비자설문조사 결과보고. 대구광역시 소비생활센터.
  14. 배순영(2009). 녹색생활혁명과 가정. 제3차 가족정책포럼, 2009.6.25.
  15. (주)월드리서치(2005.9). 친환경상품에 대한 일반국민 여론조사 보고서,
  16. (주)월드리서치(2007.10). 친환경상품에 대한 일반국민 의식조사 보고서
  17. 한국소비자원(2009). 민간 녹색소비 롤 모델 개발, 연구 결과보고 2009.12
  18. 환경부(2009). 녹색성장 및 환경교육에 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보고서, 2009.11.
  19. 배순영, 김재영, 송민수(2009). 저탄소 녹색소비 실천체제 정비방안. 정책연구 09-08, 한국소비자원.
  20. 황은애, 이경아(2010). 녹색소비역량 평가조사, 정책연구 10-13, 한국소비자원.
  21. 이학식, 안광호, 하영원(2011). 소비자행동-마케팅전략적 접근, 제5판, 서울: 법문사.
  22. Ajzen, I.(1991).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Organization and Human Decision Process, 50, 179-21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20-T
  23. Ajzen, I.(2005). Attitudes, Personality, and Behavior. 2nd. Ed. Milton-Keynes, England: Open University Press: McGraw-Hill.
  24. Anderson. W. T., & Cunningham, W. H.(1972). The Socially Conscious Consumer, Journal of Marketing, 36(1), 23-31. https://doi.org/10.2307/1251036
  25. Antil, J. H.(1984). Socially Responsible Consumers: Profile and Implications for Public Policy, Journal of Macromarketing, Fall, 18-39.
  26. Defra(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and Rural Affairs, January 2008). A Framework For Pro-Environmental Behaviours. Report. www.detra.gov.uk
  27. Fishbein, M., & Ajzen, L.(1975).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Reading. Massachusetts: Addision-Wesley Publishing Company.
  28. Jonson, M. K., & Porrott, K. R.(1995). A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Recycling Behavior in Apartment Communities, Housing and Socity, 23(3), 41-52.
  29. Kotler, K.(1982). Marketing for Nonprofit Organization, 2nd ed. EnglewoodCliffs, N.J.: Prentice-hall, Inc.
  30. Luyben, P. D., & Bailey, J. S(1979). Newspaper Recycling: The Effects of Rewards and Proximity of Containers, Environment & Behavior, 11, 539-557. https://doi.org/10.1177/0013916579114006
  31. Luyben, P. D. & Cummings, S.(1981-1982) Motivating beverage container recycling on a college campus, Journal of Environmental Systems, 11(3), 235-245. https://doi.org/10.2190/H6CN-X6F7-CKM5-F1MA
  32. Oskamp, S.(1977). Attitude and Opinion, Englewood Cliff, N. J.: Prentice Hall.
  33. Osterhus, T.(1997). Pro-Social Consumer Influence Strategies: When and how do they work? Journal of Marketing, 61(Oktober), 16-29. https://doi.org/10.2307/1252084
  34. Peattie, K.(1995). Environmental Marketing Management, Pitman Publishing.
  35. Rao, A. R., & Monroe, K. B.(1988). The Moderating Effect of Prior Knowledge on Cue Utilization in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5(September), 253-264. https://doi.org/10.1086/209162
  36. Schwarz, S. H.(1968). Awareness of consequnces and the Influence of Moral Norms on Interpersonal Behavior. Sociometry, 31, 355-369. https://doi.org/10.2307/2786399
  37. Schwarz, S. H.(1973). Normative Explanations of Helping Behavior: A clique, proposal, and empirical Test. Journal of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9, 349-364. https://doi.org/10.1016/0022-1031(73)90071-1
  38. Schwepker, C. H. Jr., & Cornwell, T. B.(1991). An Examination of Ecologically Concerned Consumers and their Intention to Purchase Ecologically Packaged Produts, Journal of Public Policy and Marketing, 10(2), 77- 101.
  39. Shaw, D., & Clarke, I.(1999). Belief Formation in Ethical Consumer Groups: An Exploratory Study. Marketing Intelligence and Planning, 17(2), 109-119. https://doi.org/10.1108/02634509910260968
  40. Stem, P. C., & Oskamp, S.(1987).Managing scarce environmental resources, In; Stokols, D. & Altman, I.(Eds), Handbook of environmental psychology(1043-1088). New York: Wil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