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lassification of Characters out of their Original Cultural Forms to Create Digital Contents : Focusing on Avalokitesvara (觀音菩薩) and Buddhist child (童子)

디지털콘텐츠 제작을 위한 전통문화원형의 캐릭터 분류 : 관음보살(觀音菩薩) 및 동자(童子)를 중심으로

  • 이영숙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
  • 신승윤 (부산대학교 디자인학과)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In the midst of the fusion era in digital contents, securing a variety of traditional cultural sources is important. Out of its long history, Korea has extensive spectrum of cultural contents in combination with conventional religions. Buddhist art has been a pillar of the traditional culture for a long time in Korea, by which we could secure new sources for cultural contents and classify them. This is aimed that we could bring the future brands into reality based on the traditional culture through Buddhist cultural contents. This study hired the original cultural forms in the viewpoints of traditional culture. Study on the implication through the symbols of Avalokitesvara (觀音菩薩) and Buddhist child (童子) in Buddhist art might allow to secure a foothold to create own characters. Thus, focusing on Avalokitesvara (觀音菩薩) and Buddhist child (童子) in the Buddhist sacred images as registered in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for national treasures, those traditional characters were reviewed through their own system of symbol. During the course, Buddhist characters were available to be classified into DB by their roles and materials지물. This study could help to exploit the complicated Buddhist culture of its symbolic meanings and to shape them into original forms of the culture. Also, through the meanings of the Buddhist sacred images, it could provide the digital contents pool with Korean traditional characters.

디지털 콘텐츠 산업이 융합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전통문화 소재의 발굴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전통문화는 오랜 역사 속에서 전통 신앙과 맞물려 풍부한 소재를 보유하게 되었다. 전통문화의 큰 축으로써 우리나라의 역사와 함께 자리 해 온 불교미술에 접근하여 새로운 문화 콘텐츠의 소재를 발굴하고 DB 분류하고자 한다. 이는 불교문화콘텐츠를 통해 향후 전통 문화에 근거한 미래 브랜드를 구현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전통 문화적 관점에서 문화원형을 활용하였다. 불교 미술에 등장한 관음보살과 동자의 상징을 통한 의미를 연구하여 캐릭터로 제작하기 위한 기반이 되고자 한다. 따라서 문화재청에 등록된 국보 및 보물로 등재되어진 불교 존상 중 관음보살과 동자로 범위로 정하고, 관음보살과 동자가 지닌 상징체계를 통해 전통캐릭터를 고찰하였다. 그 과정에서 불교문화 캐릭터는 역할에 의한 분류, 지물에 의한 분류가 가능함을 발견하고 DB 분류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징성을 가진 복잡한 불교문화를 문화원형으로 활용하기 위한 참고자료가 될 것이다. 그리고 불교존상이 가지는 의미를 통해 한국적 전통캐릭터의 디지털콘텐츠 활용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데이비드 폰트나, 최승자 역, 상징의 비밀, 문학동네, 1998.
  2. 문명대, 한국 불교미술의 형식, 한국언론자료간행회, 1997.
  3. 문명대, 한국불교의 형식, 도서출판 한언, 2007.
  4. 방경일, 33 관세음보살이야기, 운주사, 2011.
  5. 이기현 외, 디지털융합시대 콘텐츠산업 미래정책연구, 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6. 이내옥, 불교동장상, 국립청주박물관, 2003.
  7. 장충식, 한국의 불교미술, 도서출판 민족사, 1997.
  8. 헨리 젠킨스, 김정희원 외 역, 컨버전스 컬처, 비즈앤비즈, 2008.
  9. 김용덕, 불교설화에서 동자(童子) 출현의 양상과 의미연구, 실천민속학연구, 제15호(2010),pp.169-195.
  10. 안상경, 벽사치병의 전통과 문화콘텐츠 가능성, 인문콘텐츠학회, 인문콘텐츠, 제8호(2006), pp.169-195.
  11. 함복희, 향가의 문화콘텐츠화 방안연구, 우리문학회, 우리문학연구, 제40집(2008), pp.133-168.
  12. 손현아, "한국문화를 바탕으로 한 캐릭터 개발 및 발전 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08, 12).
  13. 이화연, "민화의 소재를 활용한 캐릭터 디자인 지도방법 연구",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2011, 8).
  14. 이재수, 불교문화원형의 개발과 활용 방안, 한국문화산업학회 추계학술대회, 2010.12.6, 코엑스, 서울, pp.14-37.
  15. 주진오.이기현, 문화원형 디지털화 사업의 평가와 향후 발전 방향, KOCCA 포커스, 2012-02호 (통권 50호), 한국콘텐츠진흥원, 2012.
  16. 네이버,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47660, 2012년 4월 2일.
  17. 문화재청, 고령개포동석조관음보살좌상,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2012년 4월 1일.
  18. 문화재청, 관음보살,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2012년 4월 2일.
  19. 문화재청, 동자,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2012년 4월 3일.
  20. 문화재청, 동자견려도,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2012년 4월 1일.
  21. 문화재청, 수월관음도, http://www.cha.go.kr/main/KorIndex!korMain.action, 2012년 4월 1일.
  22. 문화콘텐츠닷컴, 캐릭터로 보는 탱화, 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2012년 4월 2일.
  23. <머털도사> (1989).
  24. <오세암> (Oseam, 2002).
  25. <왕후 심청> (Empress Chung, 2005).

Cited by

  1. Th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Case of Smart phone based Serious Gamed Application with traditional cultural materials : Focused on the game "Find the wrong picture on Sacheonwang(四天王)" vol.35, 2014, https://doi.org/10.7230/KOSCAS.2014.35.271
  2. Study on Contemporary Applications of Cultural Archetypes : focused on visualization of 'The Golden Pig' in Geuknakjeon of Bulguksa Temple vol.19, pp.2, 2016, https://doi.org/10.9717/kmms.2016.19.2.487
  3. Development and Proposal of Korean Character Based on the Story of Shim Cheong as a Motif vol.18, pp.12, 2015, https://doi.org/10.9717/kmms.2015.18.12.15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