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Basic Study for Developing Plant Ecological Indices of Sacheon-si, Gyeongsangnam-do

경상남도 사천시의 식물생태지수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Oh, Hyun-Kyung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 You, Ju-Han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2.04.10
  • Accepted : 2012.05.31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is basic study is to present the methods and raw data for carrying out to objectively assess an ecosystem by developing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plant ecological indices were 7 units including RI (Rare Index), EI (Endemic Index), SI (Specific Index), NI (Naturalized Index), UI (Urbanized Index), Pte-Q (Pteridophyta Index) and HI (Halophytes Index). The vascular plants in Mt. Waryong, Mt. Bongmyeong and Bito island were summarized as 471 taxa including 104 families, 294 genera, 419 species, 3 subspecies, 41 varieties and 8 forms. We surveyed 5 taxa of rare plants, 7 taxa of endemic plants, 38 taxa of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40 taxa of naturalized plants, 1 taxa of invasive alien plant, 19 taxa of pteridophyta and 14 taxa of halophytes. Bito island had the highest RI was 1.2%. Mt. Bongmyeong was 1.4% higher than other sites. If the SI of 2.9% was the highest in Bito island. Bito island was the highest NI, and the UI was the hightest in Mt. Waryong. Mt. Bongmyeong was the lowest NI and UI. In Mt. Waryong and Bito island, the highest DI was 9.1%. The Pte-Q of Mt. Waryong was 1.3 higher than the other sites. Bito island, the highest HI was 8.1%. Overall, 1.5% of RI, 1.9% of EI, 2.3% of SI, 8.5% of NI, 14.3% of UI, 9.1% of DI, 1.0 of Pte-Q and 3.0% were analyzed with HI.

Keywords

References

  1. 곽승훈, 정훈용, 김창환, 길봉섭, 1991,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4(2), 181-194.
  2.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 물목록, 국립수목원.한국식물분류학회.
  3. 길봉섭, 1990, 변산반도 국립공원의 식물상, 원광대학교 논문집, 24, 443-480.
  4. 김석규, 2011, 도시지역 곰솔림의 식생복원모델, 환경영향평가, 20(2), 151-162.
  5. 김유신, 2012, 백두대간 괘병산, 갈미봉 일대의 식물상과 식생,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김인택, 정선우, 2001, 와룡산의 식물상과 곤충상, 환경연구논문집, 1(1), 1-11.
  7. 김창환, 명현, 2008, 주암호 복내천 인공습지 조성 후 4년간의 식물상 변화연구, 한국환경복원 기술학회지, 11(5), 25-37.
  8. 김철환, 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환경생물, 18(1), 163-198.
  9. 김하송, 2011, 신안군 칠발도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연구, 23(4), 183-192.
  10. 김하송, 이점숙, 2009,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자원식물 분포 특성, 한국도서연구, 21(1), 79-91.
  11. 김한수, 오충현, 2011, 우리나라 농촌마을 경관생태 학적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389-403.
  12. 남정칠, 서정범, 조국희, 김석규, 2010, 금정산성 등 산로 주변 식생의 생태적 특성 평가, 환경영향평가, 19(6), 527-537.
  13. 노재현, 2008, 국내 야생 난과식물(Orchidaceae) 의 희귀성 평가, 한국녹지환경디자인학회지, 4(3), 6-12.
  14. 박광래, 강방훈, 최재웅, 김창환, 2010, 농업생태계 의 서식지 질 지표 개발을 위한 식생분석, 한국토양비료학회지, 43(6), 1040-1046.
  15. 박선주, 송임근, 박성준, 임동옥, 2010, 독도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3), 264-278.
  16. 박성준, 안보람, 장순영, 박선주, 2011, 무제치늪 식물상의 다양성,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70-382.
  17. 박수현, 2009, 세밀화와 사진으로 보는 한국의 귀화식물, 일조각.
  18. 박용진, 유기억, 1998, 경포도립공원 일대의 관속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2(3), 224-235.
  19. 방광자, 김광두, 강현경, 주진희, 2004, 제주도의 상록양치식물 자생지 환경특성 및 식생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7(3), 64-72.
  20. 백원기, 1999, 특산식물의 현황과 21세기 우리의 책무,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9(3), 263-274.
  21. 변무섭, 오현경, 2007, 석불산 일대의 관속식물분포와 군락 분류,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5), 375-382.
  22. 송종석, 1996, 우리나라에 있어서 식물상과 식생과 관련한 환경영향평가의 문제점-송라골프장 사업예정지구의 사례연구에서-, 안동대학교 기초과학 연구논문집, 7, 91-100.
  23. 심현보, 조원범, 최병희, 2009, 한반도 해안염습지와 사구 염생식물 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39(4), 264-276.
  24. 오충현, 최일기, 이은희, 임동옥, 2010, 전주지역비 오톱 유형별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 37-45.
  25. 오현경, 변무섭, 2006, 전주 도심 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환경생물, 24(3), 248-257.
  26. 오현경, 사공정희, 유주한, 2011, 계룡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과 환경지수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4), 479-489.
  27. 오현경, 신현탁, 2007, 인천 송도임해매립지의 자원식물상과 귀화식물 분포현황,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0(4), 312-320.
  28. 오현경, 임동옥, 김용식,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05-115.
  29. 유주한, 2005, 퍼지이론을 도입한 생태계 평가지표 선정 및 우선순위 결정,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0. 유주한, 박경훈, 정성관, 2005, 환경친화적 국토보전을 위한 자연생태계 평가요인 및 평가지표의 중요도에 관한 연구, 환경영향평가, 14(4), 165-177.
  31. 이경림, 문성기, 이정훈, 2011, 부산광역시 장산의 식물상, 한국환경과학회지, 20(4), 443-455.
  32. 이석우, 김선창, 김원우, 한상돈, 임경빈, 1997, 희귀수종 모감주나무 자생집단의 잎의 형태적 특성, 식생특성 및 유전변이, 한국임학회지, 86(2), 167-176.
  33. 이유미, 박수현, 정수영, 오승환, 양종철, 2011, 한국내 귀화식물의 현황과 고찰,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1), 87-101.
  34. 이정희, 2005, 생태 및 가시특성에 기초한 봉명산 군립공원 경관평가, 진주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5. 이창복. 2003, 원색 대한식물도감(상, 하), 향문사.
  36. 이호준, 1985, 외나로도 식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건국대학교 이학논집, 10, 51-85.
  37. 이호준, 이재석, 전영문, 정흥락, 강재구, 방제용, 류병혁, 1993, 조종천 상류 인접지역의 식생, 이학논집 18, 87-108.
  38. 이희천, 제갈은기, 임동옥, 2011, 내장산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3), 267-283.
  39. 임동옥, 김용식, 이희천, 2008, 북한산국립공원의 특정식물과 그 보전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2), 138-144.
  40. 임동옥, 김하송, 박문수, 2009, 전남 북부지역의 귀 화식물 분포 및 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6), 506-515.
  41. 임동옥, 제갈은기, 최현우, 황인천, 2010, 태안해안 국립공원 일대의 특정식물과 귀화식물, 한국환경생태학회, 24(2), 117-129.
  42. 임양재, 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한국식물학회지, 23(3-4), 69-83.
  43. 장창석, 양선규, 박민수, 김기홍, 서상원, 오병운, 2011, 소백산 국립공원의 관속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398-414.
  44. 정승선, 이강협, 여경택, 2006, 광릉숲 양치식물의 분포와 생활형, 한국자원식물학회지, 19(5), 592-597.
  45. 정재민, 홍경낙, 2006, 우리나라 무인도서의 귀화 식물 분포에 대한 섬생물지리적 연구, 한국 생태학회지, 29(6), 489-494.
  46. 조동길, 2011, 생태복원계획.설계론, 넥서스환경 디자인연구원.
  47. 조우, 한봉호, 최진우, 노태환, 2011, 원주시 도시 거점산림과 잔존산림의 식생구조 비교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5), 767-786.
  48. 지성진, 정수영, 장진, 장정원, 이철호, 양종철, 박명 순, 정규영, 2011, 청태산 지역(강원도 평창 군)의 식물상, 한국식물분류학회지, 41(4), 415-428.
  49. 한국양치식물연구회, 2005, 한국양치식물도감, 지오북.
  50. 한종원, 김현준, 강신호, 박정미, 장창기, 2010, 양 산시(경상남도) 중.북부 일대의 관속식물 분포와 자원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자원식물학회지, 23(4), 274-292.
  51. 한준수, 이혜정, 이우철, 유기억, 2008, 춘천 동북부 지역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자연보호학회지, 2(2), 104-103.
  52. 환경부, 2006, 제3차 전국자연환경조사지침, 환경부.
  53. 환경부, 2009, 생태계교란야생동.식물자료집, 환경부.
  54. http://www.nature.go.kr
  55. http://www.sacheon.go.kr

Cited by

  1. 사찰림에 분포하는 식물상을 이용한 식물생태지수 분석 vol.23, pp.4, 2014, https://doi.org/10.14249/eia.2014.23.4.251
  2. Study on Flora of Specially Protected Area in the Cheoneun Reservoir, Jirisan National Park for Management of Forest Recreation and Natural Resource vol.18, pp.4, 2012, https://doi.org/10.34272/forest.2014.18.4.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