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Basic Infra-Structure Disparities in Jeollanam-do Rural Areas - With Special Reference in Rural Roads, Public Water and Sewage Disposal Services -

전라남도 농촌지역의 생활환경시설 격차 분석 - 도로 및 상하수도 정비수준을 중심으로 -

  • Yoon, Chi-Wook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Jeonnam Nat'l Univ.) ;
  • Choi, Soo-Myung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Jeonnam Nat'l Univ.) ;
  • Kim, Young-Taek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Jeonnam Nat'l Univ.) ;
  • Park, Yong-Jin (Dept. of Rural & Bio-systems Engineering, Jeonnam Nat'l Univ.)
  • 윤치욱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최수명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김영택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 박용진 (전남대학교 지역바이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05.17
  • Accepted : 2012.06.08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disparities 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between Guns(rural counties), and between Eups/Myuns(rural districts) in Jeollanam-do province.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dimensions of regional disparity in basic living structure were measured by 3 components ; road, public water service and sewage disposal. By utilizing the published statistics, this study has examined 8 Guns(counties) containing Eup and Myon in Jeollanam-do province which can represent 4 different rural areal types, respectively, i,e. mountainous, semi-mountainous, flat and seashore areas. The data acquisition time of this study is fixed on end of 2009 year in order for possible collections of the most recent published statistics. It presents evidence on the magnitude and evolution of discussion of regional disparities between Guns(counties), and between Eup & Myon, and between Myons in Jeollanam-do province even though infrastructure provision level of Jeollanam-do rural areas are much more improved than the past. Concludingly, the existing disparities in this area is meaningful and so, it should be seriously reconsidered when deciding local government's budget allocation priority.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 2010, 도로현황조서, 도로업무편람
  2. 국토해양부, 2010, 2009년도 통계연보.
  3. 권일.류상규, 2005, 인구분포로 본 우리나라 국토 불균형, 국토계획 40(2), 23-32.
  4. 김낙성, 2007, 한국 농촌지역의 내부 격차 추이와 대처 방안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영모, 1988, 지역개발의 개발지표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논문집.
  6. 김영수, 2003, 국가균형발전지표개발 연구, 산업연구원.
  7. 김영성, 2001, 지역 발전도의 격차 변동, 지리학연구 35(1), 45-59.
  8. 김윤상.김수동, 1984, 경상북도 지역격차의 분석, 경북대학교 법대논총 22(0), 157-174.
  9. 김의준, 1995, 경기도내 지역개발격차 분석: GIS의 적용, 경기21세기 3(0), 132-143.
  10. 김의준, 1995, 사회간접자본 시설에 대한 민자유치 적정규모 추정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4(1), 165-180.
  11. 김재형, 2003, 예비타당성 조사수행을 위한 일반지침, 한국개발연구원.
  12. 김창현, 2004, 농촌정주생활 여건의 지역간 실태비교와 개선방향, 국토연구원.
  13. 농촌진흥청, 2007, 2007년도 농촌생활지표.
  14. 박서호, 1998, 지역격차의 사회공간관계,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0(3), 119-140.
  15. 박성복, 1997, 지역발전도 및 지역불평등도의 측정, 한국행정학보 31(3), 165-185.
  16. 박성복, 1996, 지역발전격차의 분석 시론-1994년의 광역자치단체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론집 8(2), 385-403.
  17. 박시현.박주영, 2003,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추진 방향과 사업화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8. 박희봉.이희창.정우일, 2001, 경기도 남북의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5(2), 53-79.
  19. 박희봉.이희창.정우일, 2001, 경기도 남북의 지역 격차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5(2), 53-79.
  20. 이규대, 2005, 수도권 한수 이남.북의 지역개발격차 분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이동필 외, 2004, 도농간 소득 및 발전 격차의 실태와 원인 분석,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연구보고 R490-1.
  22. 이원섭.박양호, 2002, 지방육성을 위한 국가지원의 차등화 방안, 국토연구원.
  23. 이희창, 2001, 경기도 기초자치단체간 지역격차의 실태분석, 경복대학 경복논총 5(0), 391-410.
  24. 임상봉.윤원근, 2005, 정주권개발사업의 성과분석 및 향후 추진방안 연구, 농업기반공사.
  25. 임상봉.이한성, 2004, 농촌생활환경정비 및 소득원 개발사업 추진성과 평가와 발전방향 연구(II) -생활환경정비를 중심으로, 농업기반공사.
  26. 전라남도 각 시.군, 2010, 2009년 통계연보.
  27. 전라남도, 2010 통계 연보.
  28. 최수명.이행욱, 2003, 농어촌도로의 정비현황 조사 분석-전남 군지역을 중심으로-, 농촌계획 9(3), 25-34.
  29. 통계청, 2010, 인구주택총조사 보고서.
  30. 홍준현, 1999, 90년대 우리나라 지역격차의 실태분석, 한국행정연구원 한국행정연구 8(3), 48-78.
  31. 환경부, 2009, 상.하수도 통계.
  32. 환경부, 2010, 환경백서.
  33. Bangs, R.L., Hong, J.H & Nelson, L.N, 1993, Pittsburgh Benchmarks: Quality of Life Indicators for the City of Pittsburgh and Alleghency County, Pittsburgh: University Center for Social and Urban Research.

Cited by

  1. A Study on Development of Diagnostic Index for Rural Areas vol.34, pp.6, 2014, https://doi.org/10.12652/Ksce.2014.34.6.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