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zation and Analysis of Painted Pigments for the Clay Statues in Donggwanwangmyo Shrine, Seoul

서울 동관왕묘 소조상 채색안료의 정밀분석 및 동정

  • Lee, Chan-Hee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Yi, Jeong-Eun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 Han, Na-Ra (Department of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Sciences, Kongju National University)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이정은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 한나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Received : 2012.03.16
  • Accepted : 2012.05.21
  • Published : 2012.06.20

Abstract

The Donggwanwangmyo Shrine was built in the period of Joseon Dynasty in 1602. There are Clay Statues (Gwanwo, Jangbi, Woojanggun, Juchang, Jojaryoung and so on) enshrined in the inside of the main hall. Original color of these Clay Statues are deteriorated by inorganic pollutant like dust. And the origanal forms were damaged during several process of restorations and repaintings. This study carried out XRD, SEM-EDS, P-XRF and chromaticity measurement for characterization of pigments which painted on Clay Statues. As a result, cinnabar, hematite and red lead were used to paint in pigments for the red and brown colors. Light red pigment was made by gypsum with these minerals that make colors. Graphite and gold were used to color of black and gold pigment, respectively. Green pigment is identified of malachite, atacamite and glauconite. Blue pigment which is clearly painted on Clay Statues is interpreted a morden industrial pigment that were painted at repair work. White pigments are detected calcite, gypsum and silver white. Orpiment and litharge were used to color of yellow and light yellow pigment.

동관왕묘(보물 제142호)는 조선시대(1602)의 건축물로서 관우, 장비, 우장군, 주창 및 조자룡 등의 소조상이 안치되어 있다. 이 소조상들의 채색층은 먼지 등 무기오염물로 인해 안료의 원색이 손상되었으며, 수차례의 보수 및 덧칠로 인해 원형이 훼손되어 있다. 소조상의 채색안료에 대한 정밀분석을 위해 X-선 회절분석, SEM-EDS, P-XRF 및 색도 측정을 실시한 결과, 적색과 갈색의 안료는 진사, 석간주, 연단이며, 연적색은 석고를 첨가하여 조색하였다. 흑색과 금색은 각각 흑연과 금(Au)박이 사용되었으며, 녹색 안료에서는 공작석, 염화동 및 해록석이 동정되었다. 매우 선명하게 발색된 청색은 현대 안료로 보채한 것으로 판단되며, 백색은 백악, 석고, 연백이 모두 검출되었다. 석황과 밀타승은 각각 황색과 연황색 채색에 사용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재수, "광물성안료의 사용과 우리나라의 역사". 세라미스트, 12, p98-105, (2009).
  2. 강형태, 정광용, 홍두식, "신흥사 대광전 벽화의 과학적 조사-적외선 TV 촬영 및 X-선 회절 분석". 문화재, 26, p223-243, (1993).
  3.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 p383-398, (2009).
  4. 정종미, "우리 그림의 색과 칠". 학고재, p1-260, (2001).
  5. 전유근, 이찬희, "X-선 투과깊이 검증에 따른 벽화 안료의 정밀분석: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존과학회지, 27, p269-276, (2011).

Cited by

  1. Mineral Compositions of Korean Dancheong Pigment Products using Quantitative XRD vol.32, pp.3, 2016, https://doi.org/10.12654/JCS.2016.32.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