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Service Quality Assessment System for Gwangyang Container Port

광양항 컨테이너 부두의 서비스품질 평가체계

  • 박병인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전공) ;
  • 배종욱 (전남대학교 물류교통학전공)
  • Received : 2012.06.05
  • Accepted : 2012.06.29
  • Published : 2012.07.02

Abstract

The service quality survey for the customers of Gwangyang container port has been done since 2005. It has been difficult to compare annual levels or rival ports because the calculation of weights among service dimensions that is the most important procedure of the assessment systems did not be founded. In particular, the calculation results by the Analytical Hierarchy Process that specializes in estimating the weights were very unstable and not comparable because they were fluctuated annually more than 90% for the specific item.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establishment for new assessment system of service quality with cost- and time-effective tools at Gwangyang port.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ethodology applied to 2007-2009 survey data from the customers of Gwangyang port can estimate ex-post weights to measure annually the stable service quality. The proposed methodology allows us to build the assessment system of more scientific and accurate service quality while reducing the survey items. By this study, a port company can measure accurately the quality of service and improve its competitiveness through being compared to previous periods and leading companies.

광양항 이용고객을 대상으로 2005년 이후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서비스품질 조사가 수행되었다. 광양항 조사의 분석결과는 서비스 평가체계 중 가장 중요한 서비스차원간의 가중치 산정절차가 수립되지 않아 연차별 또는 경쟁항만 간 정확한 비교가 어려웠다. 특히 가중치 산정에 전문적으로 활용되는 계층분석법에 의한 산정결과가 연차별로 특정 평가항목에 대해서는 90%이상씩 변동하는 등 안정성이 매우 낮아 비교가 불가능했다. 이에 본 연구는 광양항 항만 서비스기업의 품질평가체계를 발전시켜 비용 및 시간 효과적인 품질평가 및 관리 체계의 수립을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양항 이용고객들을 대상으로 2007년~2009년 설문 자료에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서비스품질 평가를 위한 연차별로 안정적이며 비교 가능한 가중치를 사후적으로 산정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산정하였다. 새롭게 제안된 방법은 설문항목을 줄이면서 보다 과학적이고 정확한 서비스품질 평가체계를 구축할 수 있게 해주었다. 이 연구를 활용하여 서비스품질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되면, 기간별 및 선도기업과 비교를 통해 항만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병일.유홍성, "환황해권 항만의 서비스 품질 각 차원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3권 제4호, 2007, 1-22.
  2. 김창곤, "컨테이너 터미널의 서비스 수준 평가지표에 대한 고찰", 해양정책연구, 제15권제1호, 2002, 39-57.
  3. 김태일, "수리적 기법에 의한 평가모형체계의 가중치 부여방식에 관한 논의", 한국행정학보, 제33권 제4호, 1999, 243-258
  4. 박노경, "국내항만의 서비스만족도와 생산효율성과의 관계분석", 해운물류: 이론과 실천, 제4권, 2002, 69-96.
  5. 박병인.배종욱.박상준, "선박당 평균대기비용에 의한 항만의 서비스 수준 평가",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4호, 2009, 183-202.
  6. 방희석, "항만물류서비스 평가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15권, 1999,51-69.
  7. 송서일, "항만물류 서비스 품질 분석을 위한 DMQFD 모형의 개발", 한국산업시스템공학회지, 제30권 제3호, 2007, 62-70.
  8. 우종필,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한나래, 2012
  9. 이학식.임지훈, SPSS 12.0 매뉴얼, 법문사, 2005.
  10. 한국컨테이너부두공단, 광양항 컨테이너부두 운영사 고객만족도 조사, 2007-2009.
  11. Carman, J. M.,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An Assessment of the SERVQUAL Dimensions," Journal of Retailing, Vol.61, 1990, 33-55.
  12. Cronin, J. J., Jr. and Taylor, S. A., "Measuring Service Quality : A Reexamin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Marketing, Vol.56, 1992, 55-68.
  13. Hair, J. F., Black, W. C., Babin, J. B. and Anderson, R. E.,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Prentice-Hall, 2009.
  14. Llosa, S., Chandon, J. L. and Orsingher, C., "An Empirical Study of SERVQUAL's Dimensionality," The Service Industries Journal, Vol.18, No.2, 1998, 16-44. https://doi.org/10.1080/02642069800000017
  15. Pantouvakis, A., "Port-Service Quality Dimensions and Passenger Profiles: An Exploratory Examination and Analysis," Maritime Economics & Logistics, Vol.8, 2006, 402-418. https://doi.org/10.1057/palgrave.mel.9100167
  16.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Vol.49, 1985, 41-50.
  17. Parasuraman, A., Zeithaml, V. A. and Berry, L. L., "SERVQUAL: A Mul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onsu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Journal of Retailing, Vol.64, 1988, 12-40.
  18. Ugboma, C., Ogwude, I. C., Ugboma, O. and Nnadi, K., "Service Quality Measurements in Ports of a Developing Economy: Nigerian Ports Survey," Managing Service Quality, Vol.14, 2004, 487-495. https://doi.org/10.1108/09604520410569829
  19. Ugboma, C., Ogwude, I. C., Ugboma, O. and Nnadi, K., "Service Quality and Satisfaction Measurements in Nigerian Ports: an Exploration," Maritime Policy & Management, Vol.34, 2007, 331-346. https://doi.org/10.1080/030888307015390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