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

  • 고대식 (금호타이어(광주공장) 재활센터)
  • Received : 2012.07.11
  • Accepted : 2012.12.10
  • Published : 2012.12.31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relations between self-reported symptoms of industrial worker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psychosocial factor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0 male workers who were using the rehabilitation center of K company and they were voluntarily interviewed with a use of organized questionnaire. Except the responses from eighteen subjects whose responses were insincere and who had disorders in musculoskeletal areas, the responses of 102 ones were decid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reported symptoms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between the subjects according to smoking, physical burden and self-efficacy. To prevent and control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multi-characteristic aspects of how the disorders appeared and psychological factors, in particular, self-efficacy,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n, as psychosocial factors affect musculoskeletal disorders, relations between the disorders and factors should be analysed through long-term follow-up studies, psychosocial factors should be actively intervened, and the effect should be evaluated.

본 연구는 산업체 근로자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과 사회심리적 요인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산업체 재활센터를 이용하는 남성근로자 중 구조화된 설문지를 자발적으로 조사에 응한 120명 중 응답이 불충분한 근로자와 과거 근골격계 증상 부위에 사고를 경험이 있는 근로자 18명을 제외한 102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자각증상 유무는 흡연, 육체적 부담정도, 자기효능감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는 결론으로부터 작업관련성 근골격계질환을 예방 관리하기 위해서는 그 발생원인의 다특성적인 측면을 이해하여야 하며, 심리적인 요인, 특히 자기효능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추후 근골격계질환에 관여하는 사회심리적 요인이 다양한 수준에서 상호관련성을 가지고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질환과 요인 간의 원인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장기적인 추적 연구와 사회심리적 요인에 대한 적극적인 중재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평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Hales TR, Sauter SL, Peterson MR, Fine LJ, Putz-Anderson V, Schleifer LR, Ochs TT, & Bernard BP, "Musculoskeletal disorders among visual display terminal users in a telecommunications company". Ergonomics, Vol. 37, No. 10, pp. 1603-1621, 1994. https://doi.org/10.1080/00140139408964940
  2. 김종은, 강동묵, 신용철, 손미아, 김정원, 안진홍, 김영기, 문덕환, "일개 조선소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의 위험인자", 대한산업의학회지, 15권, 4호, pp. 401-410, 2003.
  3. Brady W, Bass J, Royce M, Anstadt G, Loeppke RR, et al, "Defining total corporate health and safety costs-significance and impact. Rewiew and recommendations", J Occup Environ Med, Vol. 39, No. 3, pp. 224-231, 1997. https://doi.org/10.1097/00043764-199703000-00012
  4. Malchaire J, Cock N, & Vergracht S, "Review of the factors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problems in epidemiological studie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 74, No. 2, pp. 79-90, 2001. https://doi.org/10.1007/s004200000212
  5. Lotters F, Burdof A, "Are changes in mechanical exposure and musculoskeletal health good performance indicators for primary interventions?",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 75, No. 8, pp. 549-561, 2002. https://doi.org/10.1007/s00420-002-0368-7
  6. 김현주, 정우철, "일부 제조업체 노동자들의 작업관련 근골격계질환의 증상 유병률과 일차 중재의 관련 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7권, 2호, pp. 116-128, 2005.
  7. 고용노동부, "2009년 산업재해 발생현황", 2010.
  8. 강동묵, "근육골격계질환", 1st ed, pp. 146-147, 2005.
  9.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근골격계부담작업 유해 요인조사 지침", 2011.
  10. Bongers PM, Ijmker S, van den Heuvel, S, & Blatter BM, "Epidemiology of work related neck and upper limb problems: psychosocial and personal risk factors (part I) and effective interventions from a bio behavioral perspective (part II)", J Occup Rehabil, Vol. 16, No. 3, pp. 279-302, 2006.
  11. 이윤근, 임상혁, "자동차 조립 작업에서의 노동 조건 변화와 근골격계질환과의 관련성", 한국산업위생학회지, 16권, 3호, pp. 276-283, 2006.
  12. 김철홍, 문명국, 이재은, 정윤희, "국내 모 화학 사업장의 근골격계질환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대한인간공학회 2007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pp. 151-155, 2007.
  13. 박병찬, 정해관, 김수근, "일부 조선업종 근로자들의 근골격계 증상과 관련된 위험요인", 대한산업의학회지, 15권, 4호, pp. 373-387, 2003.
  14. 서순림, 기도형, "종합 병원 간호사의 근골격계 질환 실태조사", 대한인간공학회지, 24권, 2호, pp. 17-24, 2005.
  15. 강미정, 정원미, 구정완, "작업치료사의 근골격계 자각증상과 관련요인", 대한작업치료학회지, 15권, 2호, pp. 117-128, 2007.
  16. 유정임, 구정완, "방사선 방어용 앞치마를 착용하는 방사선 관련 종사자의 근골격계 증상호소와 관련요인", 대한인간공학회 2007 춘계 학술대회논문집, pp. 296-299, 2007.
  17. 박수경, 최영진, 문덕환, 전진호, 이종태, 손혜숙, "미용사들의 작업관련성 근골격계 장애에 관한 연구", 12권, 3호, pp. 395-404, 2000.
  18. 윤종완, 이경진, 김수영, 오장균, 이정탁, "콜센터 여성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과의 상관성", 대한산업의학회지, 19권, 4호, pp. 293-303, 2007.
  19. 최순영, 김현성, 김태헌, 박동현, "자동차 제조업 근로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질환 자각증상에 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20권, 3호, pp. 202-211, 2005.
  20. 이영미, "노인의료복지시설 생활지도원의 직무스트레스와 근골격계 증상", 지역사회간호학회지, 18권, 3호, pp. 410-419, 2007.
  21. Cohen AL, Gjessing CC, Fine LJ, Bernard BP, & McGlothlin JD. "Elements of ergonomics programs: a primer based on workplace evaluation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Cincinnati: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1997.
  22.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등, "한국인 직무 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17권, 4호, pp. 297-317, 2005.
  23. 홍혜영, "완벽주의 성향, 자기효능감, 우울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5-28, 1995.
  24. Radloff LS, "The CES-D scale: A self 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e Psychol Measurement, Vol. 1, No. 3, pp. 385-401, 1997.
  25. "주요우울증 환자 예비평가시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CES-D) 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권, 3호, pp. 381-399, 1993.
  26. Violante F, Kilbom A, Amstrong, TJ, "Occupational ergonomics-work related musculoskeletal disorders of the upper limbs and back", Taylor & Francis Inc; pp. 45-70, 2000.
  27. Feuerstein M, "Work style: definition, empirical support, and Implications for prevention, evaluation, and rehabilitation of occupational upper extremity disorders. In: Moon, SD, Sauter SL.(Eds), Beyond Biomechanics : Psychosocial Aspects of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Office Work. Taylor & Francis, London, pp.177-206, 1996.
  28. Knardahl S, "Psychological and social factors at work: contribution to musculoskeletal disorders and disabilities", G Ital Med Lav Ergon, Vol. 27, No. 1, pp. 65-73, 2005.
  29. 기미영, 정혜선, 김영임, "스트레칭체조에 대한 교육이 여성근로자의 근골격계질환 예방을 위한 자기효능감, 건강신념 및 실천의지에 미치는 효과", 한국산업간호학회지, 13권, 2호, pp. 130-139, 2004.
  30. 이영휘, "효능기대증진프로그램이 자기효능과 자가간호행위에 미치는 영향", 성인간호학회지, 7권, 2호, pp. 212-227, 1995.
  31. Devereux JJ, Vlachonikolis IG, Buckle PW. "Epidemiological study to investigate potential interaction between psychosocial factors at work that may increase the risk of symptoms of musculoskeletal disorder of the neck and upper limb", Occup Environ Med, Vol. 59, No. 4, pp. 269-77, 2002. https://doi.org/10.1136/oem.59.4.269
  32. 박부연, 신지훈, "병원근로자들의 역할인식과 직무만족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5호, pp. 1197-1203, 2012.
  33. 지민경, 박영남, "치과 병.의원에서의 구강보건 교육에 관한 직무분석",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5호, pp. 1235-1243, 1995.
  34. 박형수, 정미화, 유진호, "우리나라 노인의 배우자 유무와 우울과의 관련성",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7권, 5호, pp. 1181-1187,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