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 on Creative Personality of the Primary Gifted Students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2.05.20
  • Accepted : 2012.06.13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a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 on primary gifted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Based on the concept of creative personality derived from a literature review, a learning program has been developed and applied to 18 primary gifted class students and 20 invention club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consists of eight components: patience/persistence, confidence, humor, curiosity, imagination, openness, adventurous spirits, and independence. Creative personality tests were conducted before and after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 lessons. The results of the tests indicate that (1) the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 affected all eight components of creative personality positively; and (2) the invention club students showed a greater improvement in creative personality than the gifted class student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Goldberg device learning programs can be effective to learn various scientific principles and improve students' creative personality.

본 연구의 목적은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을 통하여 창의적 인성 개념을 도출하였고, 수업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인 초등 영재학급 18명과 발명동아리 20명에게 적용하였다. 창의적 인성의 구성요소는 8개 하위 요인 즉, 인내 집착, 자기확신, 유머감, 호기심, 상상력, 개방성, 모험심, 독립성으로 구성된다. 창의적 인성 검사는 수업 전후에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골드버그 장치 수업 프로그램은 8개 하위요인으로 구성된 창의적 인성 전반에 걸쳐 긍정적인 향상 효과가 있었다. 둘째, 영재학급에 비해 발명동아리 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향상 폭이 더 컸다. 따라서 골드버그 장치 수업프로그램은 다양한 과학적 원리를 습득하는 것뿐만 아니라 창의적 인성에 효과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서 (2002). 의사결정을 위한 현대통계학. 서울: 무역경영사.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육성-창의인성교육방안. 창의인성 교육기획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권명희 (2011). 창의인성교육을 적용한 초등학교 뮤지엄 교육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4.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 전략탐색.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5. 김종안 (1998). 통합적 접근에 기초한 아동의 창의성 측정 도구 개발.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6. 박병기(1988). 창의성 교육의 기반. 서울: 교육과학사.
  7. 박인수 (2007). 골드버그 장치를 활용한 발명교육 적용방안 연구. 전국교원발명교육연구대회논문집, 11, 95-183.
  8. 박태화 (2002). 창의성 신장 및 인성 함양을 위한 글쓰기 지도 방법 연구: 시.소설 창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9. 송인섭, 김혜숙 (1999). 창의성 개념정립을 위한 탐색적 연구-암시적 창의성 이론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3, 93-117.
  10. 신기철, 박상봉 (2011). 초등 체육에서 창의.인성 교육 실천을 위한 탐색. 교육연구, 50, 307-338.
  11. 신문승 (2010). 초등학생용 창의적 성향 검사의 개발 및 타당화. 초등교육연구, 23(3), 267-292.
  12. 유경순 (2000). 창의성과 지능간의 관계구조. 석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13. 이승해 (2012). 미래문제해결프로그램(FPSP)을 적용한 친환경 의생활 수업이 창의.인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 기술.가정 '가정생활 문화'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4. 조현무 (2012). 초등 발명 영재 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 과정에 대한 질적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5. 최민호 (2011). 골드버그 장치 제작활동을 적용한 학습 프로그램 개발-고등학교 물리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6. 최인수, 이종구 (2004). 창의성 검사. 서울: 한국가이던스.
  17. 하주현 (2000).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교육심리연구, 14(2), 180-210.
  18. 하주현 (2001). 창의적 인성검사의 연령별 타당화 및 연령별 발달경향 연구. 교육심리연구, 3, 323-351.
  19. 하주현, 성은현, 한순미 (2008). 창의적 인성 체크리스트 개발 및 한국 대학생과 미국대학생이 생각하는 창의적 인성 비교. 교육심리연구, 22(1), 169-191.
  20. Backer, M. (1995). Nineteenth-Century Foundations of Creativity Research. Creativity Research Journal, 8, 219-230. https://doi.org/10.1207/s15326934crj0803_2
  21. Nunnally, J. C. (1978). Psychometric theory (2nd ed.). New York: McGraw-Hill.
  22. Pinkerton, K. D. (1993). A Rube Goldberg Machine Project for Seniors. Physics Teacher, 3(8), 468-469.
  23. Sternberg, R. J. (1988). The Nature of Creativity: Contemporary Psychological Perspectives.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4.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9). The Concept of Creativity: Prospects and Paradigms, In R.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15),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Torrance, E. P. (1962). Guiding Creative Talent. Englewood Cliffs, NJ: Prentice Hall.
  26. Williams, F. (1980). Creativity Assessment Packet, Buffalo. New York: DOK.
  27. Urban, K. K. (2007). Assessing Creativity: A Componential Model. In A. Tan (Ed.), Creativity: A Handbook for Teachers (pp. 167-184).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Cited by

  1. Identifying and Developing Inventive Talent in the Republic of Korea vol.39, pp.1, 2016, https://doi.org/10.1177/10762175156133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