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ole Formation by Interaction Function and Pattern for Group Discussion Activity using the case of Environmental Education Camp for Undergraduate Student

대학생 환경교육캠프 사례에서의 집단 토의 활동에 있어서 상호작용 기능과 양상에 따른 역할 형성 양상

  • Received : 2011.08.02
  • Accepted : 2012.06.02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Many science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s are recentl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ve learning. This study also understands learning in aspects of socio-cultural context, and regarded the creation of meaning in a same-age group as an important learning process. This is most especially true in the premise that the formation of roles in a collaborative learning is important for successful interactive learning.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roles form in a group. For this purpo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 group discussion activity about energy flow and circulation of material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Discussions among the nine students in one group consisted of cognitive conversations on the topic and operational conversations for preparing a presentation. Video-clips of the discussions were made and transcribed. For the analysis, we developed a framework that includes four interaction functions (cognitive, organizational, meta-cognitive, operational), four action elements (question, simple answer, providing opinion, response to opinion), and two to four intention elements by each action elements. As a result, a total of nine roles were revealed through the interaction function and element; cognitive questioner, operational questioner, simple answerer, operational suggester, organizational commander, operational commander, cognitive explainer, terminator, reflective thinker. These roles are re-classified into seven utterance patterns by the utterance order and object, and they were categorized into three role groups (facilitating interaction, sustaining interaction, finishing interaction). The result means that role formation and function can have influence on learning and interaction. This study is meaningful to the suggestion to collaborative learning including project-based learning, investigation, club activity, and for the re-illumination of the role in an aspect of the interaction.

최근 여러 과학 교육 연구와 실제에서 협동 학습이 강조되고 있으며, 그와 유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사회문화적 관점에서 학습을 바라보면서 또래 집단 안에서의 학습자 간 상호작용을 통한 의미 구성을 매우 중요한 학습 과정으로 간주하고 있다. 특히 그룹 활동을 통한 학습 과정에 있어서 구성원의 역할 형성 및 분배가 성공적인 상호작용적 학습을 위한 주요 요인임을 전제로 하여, 그룹 내에서 나타나는 학생들의 역할 형성과 분배의 양상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에너지 흐름과 물질 순환을 주제로 그룹 토의 활동을 수행한 대학생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총 9명의 학생들이 하나의 그룹을 이루어 토의 주제에 대한 인지적 대화뿐 아니라 토의 결과 발표를 위한 자료 준비에 관한 대화를 나누었다. 이들의 토의 과정을 모두 비디오 녹화 및 전사하여 연구 자료로 삼았다. 연구 참여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기 위해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를 코드화하였으며, 발화 양상을 도식화하기 위한 기호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상호작용 기능은 인지적, 조직적, 초인지적, 조작적 상호작용의 4가지로 구분되었고, 상호작용 요소는 질문, 단순응답, 의견제시, 의견받기의 4가지 행위 요소 및 각 행위 요소별 2~4가지의 의도 요소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상호작용 기능과 요소에 따라 인지적 질문자, 조작적 질문자, 단순응답자, 조작적 제안자, 조직적 지시자, 조작적 지시자, 인지적 설명자, 정리자, 반성자의 총 9개 역할이 도출되었다. 그리고 이들은 발화의 순서와 대상에 따라 7개의 발화 양상으로 재유형화되었으며, 이들 발화 양상의 특성과 상호작용에 작용하고 있는 역할의 기능에 따라 상호작용 촉진, 지속, 종료의 3가지 역할 그룹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그룹 내에서 구성원들의 역할이 어떻게 형성 및 작용하느냐가 상호작용과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본 연구의 결과는 교수학습방법으로서의 협동 학습을 비롯하여 프로젝트, 자유 탐구, 동아리 활동 등 다양한 집단적 상호작용을 통한 학습 과정에 대한 시사점을 줄 수 있으며, 특히 그룹 단위의 학습에 있어서 역할을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재조명했다는 의의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철.김안나 (2010). 예비교사의 구성주의적 토론수업 경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학론집, 14(3), 197-226.
  2. 김연귀.정구송 (2010). 지구과학 천문 영역에서 개념스케치를 활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70-180.
  3. 김현경.최병순 (2009).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359-372.
  4. 도승이 (2005). 교실 토론상황에서 학생의 감정, 인지, 행동의 상호작용: 근거이론 분석법을 통한 모델을 중심으로. 교육심리연구, 19(1), 17-39.
  5. 박다정.이재경 (2009). 블로그를 활용한 토론학습이 학업성취, 학습흥미 및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실천공학교육학회논문지, 1(1), 7-12.
  6. 박성선 (2001). 컴퓨터를 활용한 수학학습에 대한 사회문화적 관점. 초등수학교육, 5(1), 13-20.
  7. 박연호 (1996). 현대인간관계론. 서울:박영사.
  8. 박태윤.정완호.최석진.최돈형.이동엽.노경임 (2001). 환경교육학개론. 서울:교육과학사.
  9. 오필석.이선경.김찬종 (2007). 지식 공유의 관점에서 본 과학 교실 담화의 사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4), 297-308.
  10. 이상수 (2004). 면대면 학습 환경과 온라인 실시간/비실시간 학습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패턴 분석. 교육공학연구, 20(1), 63-88.
  11. 이재성 (2010). 다양한 토론 방식을 적용한 <독서와 토론> 수업 모형의 토론 자기 효능감 연구. 새국어교육, 85, 247-267.
  12. 이지연 (2005). 웹 기반 게시판을 활용한 협력학습에서의 상호작용 유형과 지식형성 과정. 교육공학연구, 21(4), 29-58.
  13. 이현영.장상실.성숙경.이상권.강성주.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과정에서 학생-학생 상호작용 양상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60-670.
  14. 임수복 (2002). 지방자치단체장의 역할 확인 및 정립방안에 관한 연구-주민 및 공무원의 의식조사를 바탕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정원영 (2010). 자연사전시관에서 중학생 소집단의 사회적 상호작용 기반 환경 학습 과정.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최창호 (1999). 새행정학. 서울:삼미사.
  17. Baron, R. & Byrne, D. (2000). Social Psychology. Allyn and Bacon.
  18. Borun, A., Chambers, M. & Cleghorn, A. (1996). Families are learning in science museums. Curator, 39, 123-138. https://doi.org/10.1111/j.2151-6952.1996.tb01084.x
  19. Brown, A. L. & Palinscar, A. S. (1989). Guided, cooperative learning and individual knowledge acquisition. In L. B. Resnick (Ed.), Knowing, learning and instruction: essays in honor of Robert Glaser (pp. 393-451).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0. Edwards, D. & Mercer, N. (1987). Common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understanding in the classroom. New York: Routledge.
  21. Falk, J. H. & Dierking, L. D. (2000).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s and the making of meaning. Walnut Creek: Altamira press.
  22. Henri, F. (1992) Computer conferencing and content analysis. In A. E. Kaye(ed.),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computer conferencing. Berlin: Springer-Verlag.
  23. Jacobson, S. K., McDuff, M. D., & Monroe, M. C. (2006). Conservation education and outreach technique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4. Kempa, R.F. & Ayob, A.(1991). Learning interactions in group work in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3(3), 341-354. https://doi.org/10.1080/0950069910130311
  25. Laat, M., & Lally, V. (2003). Complexity, theory and praxis: researching collaborative learning and tutoring processes in a networked learning community. Instructional Science, 31, 7-39. https://doi.org/10.1023/A:1022596100142
  26. Newman, D., Griffin, P., & Cole, M. (1989). The construction zone: working for cognitive change in school.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7. Pennington, D.C. (2005). 소그룹 내 행동의 사회심리학 (한지은∙유승민 공역). 시그마프레스.
  28. Stahl, G. (2006). Group cognition: computer support for building collaborative knowledge. Cambridge: The MIT Press.
  29. Vye, N.J., Goldman, S.R., Hmelo, C., Voss, J.F., Williams, S., & Cognition and Technology Group at Vanderbilt (1998). Complex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by individuals and dyads. Cognition and Instruction, 15(4), 435-484.
  30. Wals, A. E. J. & de Jong, F. P. M. C. (1997). Community-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school culture and lifelong learning. In W. L. Filho (Ed.), Lifelong learning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p. 121-133). New York: Peter Lang.

Cited by

  1. Hermeneutics and Science Education : Focus on Implications for Conceptual Change Theory vol.35, pp.1, 201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085
  2. Meanings of ‘Creativity and Integration’ in Science Education and Comments on Science Classroom Culture vol.18, pp.3, 2012, https://doi.org/10.24231/rici.2014.18.3.827
  3. Success Factors for Learning in Elementary Climate Change Camp based on Cooperative Task Performance vol.30, pp.2, 2012, https://doi.org/10.17965/kjee.2017.30.2.185
  4. 논의-기반 탐구 과학수업에서 역할분담에 따른 고등학생들의 인성 역량 변화 분석 vol.37, pp.4,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4.763
  5. A Case Study on the Effects of Discussion Methodsin Teaching Profession Courses vol.28, pp.2, 2012, https://doi.org/10.21024/pnuedi.28.2.201806.1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