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act of Grouping Methods on Free Inquiry Implementation: The Case of Two Middle Schools Adopting Different Grouping Methods

소집단 구성 방식이 자유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 소집단 구성 방식을 달리한 두 중학교의 사례

  • Received : 2012.02.01
  • Accepted : 2012.04.26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grouping methods on free inquiry implementation through the use of mixed research methods. Some 113 7th graders and 2 science teachers in two middle schoo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113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grouped by homogeneity and heterogeneity according to scientific inquiry skills and personality types respectively, and performed free inquiry activities on the same subject for three weeks.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a test on science inquiry skills and from focus group interviews with 36 student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2 teachers.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omogeneous grouping was more effective than heterogeneous grouping in improvement of scientific inquiry skills. Meanwhile, the qualitative results revealed both the students and teachers perceived that it was effective to compose a small group according to their affective quality than their cognitive quality. Particularly, most of the students preferred the method of small group from the personality types. Some students and both teachers proposed that it is necessary to collect enough information on students and to use them in mixture with the method of small group according to the affective quality.

이 연구에서는 중학교 자유 탐구에서의 소집단 구성 방식이 학생들의 자유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혼합 연구방법으로 조사하였다. 강원도 소재 중학교 2곳에서 1학년 각 2학급씩 4학급(남녀 혼성)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여교사 2명과 총 113명의 학생들이 참여하였다. 두 학교 학생들을 각각 과학 탐구능력 및 성격 유형에 따라 동질집단과 이질집단으로 편성하였으며, 동일 과제로 약 3주에 걸쳐 자유 탐구를 수행하게 하였다. 소집단 구성 방식이 자유 탐구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사후 과학 탐구능력 검사 결과를 통계적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양적 연구를 보완하기 위한 질적 연구로서 학생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및 교사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양적 연구결과, 두 학교 모두 소집단을 동질적으로 구성했을 때가 이질적으로 구성했을 때보다 과학 탐구능력에 대한 개인별 향상 지수의 향상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한편 소집단 구성방식의 효과를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생과 교사 모두 인지적인 특성으로 소집단을 구성하기보다 정의적인 특성에 기초하여 소집단을 구성하는 것이 자유 탐구 수행에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특히 학생들의 경우 성격 유형에 따른 소집단 구성 방식을 가장 선호하였다. 또한 자유 탐구를 수행했던 일부 학생들과 지도교사들은 소집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학생들에 대한 정보를 충분히 수집할 필요가 있으며, 그와 같은 정보를 학생들의 정의적 특성에 따른 소집단의 구성 기준과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제안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8). 중학교 교육과정 해설III: 수학, 과학, 기술.가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 김선자, 김기한, 박종석, 박종욱 (2007). 성별 소집단 구성에 따른 상호작용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59-569.
  3. 김수경, 김명숙, 이은경, 하민수, 김동훈, 김중복, 차희영, 김성하, 강성주, 김정률 (2007). 중학생의 과학 탐구 능력 측정을 위한 평가 도구의 개발.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5(2), 163-177.
  4. 김지영, 성숙경, 박종윤, 최병순 (2002).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실험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57-767.
  5. 노태희, 박수연, 임희준, 차정호 (1998).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1), 61-70.
  6. 노태희, 서인호, 한재영, 전경문, 차정호 (2000).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의사소통 불안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1), 174-182.
  7. 노태희, 차정호, 박혜영, 김경은 (2002).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08-516.
  8. 노태희, 차정호, 전경문, 정태호, 한재영, 최용남 (1999). 개념 학습에 적용한 협동학습 전략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3), 400-408.
  9. 박병렬, 김범기 (2002). 과학 실험 수업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이 중학생들의 탐구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2(1), 1-15.
  10. 박수경 (2006). 집단보상과 협동기술 훈련이 초등학생의 과학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7(2). 121-129.
  11. 박종윤, 유혜숙 (2001).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3), 635-647.
  12. 안창규, Thomas Okland (2005). SSI 학생유형검사의 해석과 활용. 한국가이던스.
  13. 오경의, 김영수 (2003). 고등학교 과학과목의 수준별 교육 과정 운영에서 소집단 구성에 따른 협동 학습의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1(3), 265-271.
  14. 이양락 (1997). 협동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지식, 탐구 능력 및 학습 환경 인식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5. 이윤미, 유정문 (2003). 중학교 과학 영역에서 성별에 따른 소집단 구성방법의 협동학습에 대한 효과. 한국지구과학회지, 24(3), 141-149.
  16. 이형철, 문주영, 배진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협동 학습에서 소집단 구성을 달리한 효과.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 27(4), 446-454.
  17. 임희준, 노태희 (2001).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68-676.
  18. 임희준, 최경숙, 노태희 (1999). 학습자의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학습과 개별학습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9(1), 137-145.
  19. 전경문, 강훈식, 노태희 (2003). 문제 해결 전략을 사용하는 해결자.청취자 활동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57-65.
  20. 전경문, 여경희, 노태희 (2000). 협동학습 과정에서의 언어적 행동과 화학 문제 해결력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2), 234-243.
  21. 정영란, 손대희 (2000). 협동학습 전략이 중학교 생물학습에서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611-623.
  22. 정현철, 박영신, 황동주 (2008).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51-162.
  23. 조희형,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2011). 중학교 2.3학년 과학 자유탐구 교수.학습 및 평가. 서울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4. 차정호, 박혜영, 김경순, 노태희 (2005).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 대한화학회지, 49(6), 575-583.
  25. 한재영, 노태희 (2002). 과학 수업에서의 소집단 활동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및 인성과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99-507.
  26. 한재영, 한수진, 노태희 (2002).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에 따른 집단 구성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717-724.
  27.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in physical science laboratory groups on 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28. Cohen, E. (1994). Restructuring the classroom: Condotions for productive small group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4(1), 1-35. https://doi.org/10.3102/00346543064001001
  29. Cooper, J., Prescott, S., Cook, L., Smith, L., & Mueck, R. (1990). Cooperative learning and college instruction: Effective use of student learning teams. Long Beach: California State University.
  30. Dembo, M. H., & McAuliffe, T. J. (1987). Effects of perceived ability and grade status on social interaction and influence in cooperative group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9, 415-423. https://doi.org/10.1037/0022-0663.79.4.415
  31. Gillies, R. M. (2000). The maintenance of cooperative and helping behaviours in cooperative group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0(1), 97-111. https://doi.org/10.1348/000709900157994
  32. Gillies, R. M. (2004).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during small group learning. Learning and Instruction, 14, 197-213. https://doi.org/10.1016/S0959-4752(03)00068-9
  33. Gillies, R. M. (2008). The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behaviours, discourse and learning during a science-based learning activity. School Psychology International, 29(3), 328-347. https://doi.org/10.1177/0143034308093673
  34. Hake, R. (1998). Interactive engagement versus traditional methods: A six-thousand-student survey of mechanics test data for introductory physics courses. American Journal of Physics, 66(1), 64-74. https://doi.org/10.1119/1.18809
  35. Hart, C., Mulhall, P., Berry, A., Loughran, J., & Gunstone, R. (2000). What is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Or can students learn something from doing experiment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7), 655-675.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9)37:7<655::AID-TEA3>3.0.CO;2-E
  36. Hassard, J. (1990). Science experiences: cooperative learning and the teaching of science. Menlo Park, CA: Addison-Wesley Publishing Company.
  37. Hoffer, T. B. (1992). Middle school ability group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4(3), 205-227. https://doi.org/10.3102/01623737014003205
  38. Johnson, D. W., & Johnson, R. T. (1999). Making cooperative learning work. Theory into Practice, 38(2), 67-74. https://doi.org/10.1080/00405849909543834
  39. Johnson, D. W., & Johnson, R. T. (2003). Joining together: Group theory and group skills, 8th ed. Boston, MA:Allyn and Bacon.
  40. Kempa, R. F., & Orion, N. (1996). Students' perception of co-operative learning in earth science fieldwork. Research in Science and Technological Education, 14(1), 33-41. https://doi.org/10.1080/0263514960140103
  41. Lazarowitz, R., & Tamir, P. (1994). Research on using laboratory instruction in science. In Gabel, D. (Ed).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New York: Macmillan.
  42. National Research Council(2000). How people learn: Brain, mind, experience, and school.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
  43. Palincsar, A. S. (1998). Social constructivist perspectives on teaching and learning.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345-375.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9.1.345
  44. Rogoff, B. (1994). Developing understanding of the idea of community of learners. Mind, Culture and Activity, 1, 209-229.
  45. Ross, J. (1995). Effects of feedback on student behavior in cooperative learning groups in a grade 7 math class.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96, 125-143. https://doi.org/10.1086/461818
  46. Salomon, G., & Globerson, T. (1989). When teams do not function the way they ought to.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3, 89-99. https://doi.org/10.1016/0883-0355(89)90018-9
  47. Shachar, H., & Sharan, S. (1994). Talking, relating and achieving: Effects of cooperative learning and whole-class instruction. Cognition and Instruction, 12, 313-353. https://doi.org/10.1207/s1532690xci1204_2
  48. Sharan, S. (1990). Cooperative learning: Theory and research. Praeger Publishers, London, UK.
  49. Sharan, Y. (2010). Cooperative learning for academic and social gains: valued pedagogy, problematic practice.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45(2), 300-313. https://doi.org/10.1111/j.1465-3435.2010.01430.x
  50. Slavin, R. E. (1996).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 43-69. https://doi.org/10.1006/ceps.1996.0004
  51. Slavin, R. E., & Cooper, R. (1999). Improving intergroup relations: Lessons learned from cooperative learning programs. Journal of Social Issues, 55(4), 647-663. https://doi.org/10.1111/0022-4537.00140
  52. Stevens, R. (2003). Student team reading and writing: A cooperative learning approach to middle school literacy instruction.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9, 137-160. https://doi.org/10.1076/edre.9.2.137.14212
  53. Watson, S. B., & Marshall, J. E. (1995). Effects of cooperative incentives and heterogeneous arrangement on achievement and interaction of cooperative learning groups in a college life science cours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2(3), 291-299. https://doi.org/10.1002/tea.3660320308

Cited by

  1. The Influences of Pair Activity on Characteristics of Science Imaginary Pictures Drawn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ir Perceptions of Science Imaginary Drawing vol.34, pp.2,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2.0175
  2. Exploring the Effects of Grouping by Learning Style of Gifted-Student in Science on the Verbal Interaction vol.58, pp.4, 2014, https://doi.org/10.5012/jkcs.2014.58.4.406
  3. The Effects of an Instruction Using Geologic Planar Figures on High School Students’ Ability of Spatial Visualization and Geologic Spatial Ability vol.36, pp.3,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3.280
  4. 중학교 과학영재 학생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과 실태 vol.23, pp.3, 2012, https://doi.org/10.9722/jgte.2013.23.3.373
  5. 과학교육을 위한 전략적 실행공동체의 형성 가능성 탐색 -과학중점학교를 중심으로- vol.37, pp.1, 2017,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1.0169
  6. 공통맥락 형성의 관점에서 살펴본 마찰력에 대한 소집단 토론의 특징 vol.37,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7.37.2.0301
  7. '모두를 위한 과학교육'을 실현하기 위한 과학 학습 정체성에 대한 사회문화적 접근 연구 동향 분석 vol.38, pp.2, 2012,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2.1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