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a Group According to Leader's Leadership in Scientific Inquiry Activity in Elementary School

초등학생의 과학 탐구활동에서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모둠 내 언어적 상호 작용 분석

  • Received : 2012.03.26
  • Accepted : 2012.06.11
  • Published : 2012.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 of the linguistic interaction according to leadership type of the leader in the scientific inquiry activity groups and examine how leadership factors affect the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a group. In this investigation, leaders among 12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hosen by considering results of the leadership diagnosis that tested 3 leadership factors: vision and promotion, assignment responsibility, and decision-making. The members of the groups were organized according to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groups were assigned to perform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The linguistic interaction was largely divided into the cognitive domain and the affective domain for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requency of linguistic interaction within a group sorted by leadership type is more influenced by the cognitive domain than the affective domain. The highest frequency of linguistic interaction appeared within the group that had vision and promotion type leader. Assumedly, the vision and confidence of the vision and promotion type leader produced such an outcome. While solving the assignments, linguistic interaction in all three groups had more cognitive domain than affected domain. Linguistic interaction in cognitive domain displayed only low level of linguistic interaction in relation to the experiment itself: high level of linguistic interaction barely occurred. In the case of affected domain, active participation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maintaining the mood: Interactions related to restricting the group members actions to solve the assignment appear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for maintaining the mood.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탐구활동에서 모둠 리더의 리더십 유형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과 리더가 지니고 있는 리더십 요소가 모둠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하여 알아보는 것이다. 비전과 추진, 과제책임, 의사결정 세 가지 리더십 요소별로 모둠의 리더를 선정하여 과학탐구능력, 학업성취도평가의 항목으로 모둠원을 구성하여 과학탐구활동을 실시하면서 언어적 상호 작용을 분석하였다. 비전과 추진 모둠이 상대적으로 가장 많은 언어적 상호작용의 빈도수를 보였는데, 이는 리더 속에 내재되어있는 비전과 추진 리더십의 '비전'과 '자신감'의 요소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세 모둠 모두 과제해결과 관련하여 인지적 측면이 정의적 측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많았다. 인지적 측면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는 실험 현상과 관련하여 낮은 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이 대다수였고, 상위수준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적은 빈도수로 일어났다. 정의적 측면에서는 행동참여가 분위기조절보다 더 많은 빈도수를 보였다. 이는 모둠에서 분위기 조절보다는 과제 해결을 위한 모둠원의 행동 제어와 관련된 상호작용이 많았기 때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순민(2004). 과학적 맥락의 논의 과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의과정 요소의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 구양삼, 박금홍, 이국행, 소라(2007). MBL과학실험에서 모둠유형에 따른 성취도와 학생들의 관점 연구. 과학교육논총(전북대과학교육연구소), 32권, 67-76.
  3. 김미숙, 박효정, 유효현, 전미란, 박춘성(2006).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 II :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 김선자, 김기한, 박종석, 박종욱(2007). 성별 모둠 구성에 따른 상호작용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559-569.
  5. 김조연, 신애경, 박국태, 최병순(2001).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 탐구 실험의 효과 및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분석. 대한화학회지, 45(5), 470-480.
  6. 김현경(2008). 과학고 화학 토론수업에서 모둠별 언어적 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현주, 변선미(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8. 김현경, 최병순(2009). 과학고 토론수업을 위한 수업모형 개발과 적용 과정에서 나타난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4), 359-372.
  9.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 능력 측정 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10. 성숙경(2005).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한 과학탐구실험에서 언어적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1. 성숙경, 최병순(2007).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124-139.
  12. 신애경(2006). MBL 실험 수업의 소집단 활동에 서 나타난 학생들의 언어적 상호작용 특성. 공주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전영석, 장은정(2010). 리더십 향상을 위한 초등과학 영재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29(3), 252-261.
  14. 최병순, 김지현, 신애경(2010a). Thinking Science 활동에서 리더의 성격에 따른 모둠내 언어적 상호 작용 특징. 초등과학교육, 29(3), 364-377.
  15. 최병순, 박주영, 성숙경(2010b). 과학실험수업에서 포용적 리더가 모둠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24-139.
  16. Alexopoulou, E., & Driver, R. (1996). Small-group discussion in physics: Peer interaction modes in pairs and fou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3(10), 1099-1114.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612)33:10<1099::AID-TEA4>3.0.CO;2-N
  17. Anderson, T., Howe, C., Soden, R., Holiday, J., & Low, J. (2001). Peer interaction and the learn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in furthe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al Science, 29, 1-32. https://doi.org/10.1023/A:1026471702353
  18. Chang, H, P., & Lederman, N, G. (1994). The effects of levels of cooperation with in physical science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1(2), 167-181. https://doi.org/10.1002/tea.3660310207
  19.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21. Oliveira, A. W., & Sadler, T. D. (2008). Interactive Patterns and Conceptual Convergence During Student Collaborat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5(5), 634-658. https://doi.org/10.1002/tea.20211
  22. Palinscar, A. S., and Herrenkohl, L. R. (2002). Designing collaborative learning context. Theory into Practice, 41(1), 26-32.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1_5
  23. Rohrbeck, C. A., Fantuzzo, J. W., Ginsburg-Block, M. D., and Miller, T.R. (2003). Peer-assisted learning interventions wi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meta-analytic review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5(2), 240-257. https://doi.org/10.1037/0022-0663.95.2.240
  24. Slavin, R. E. (1996).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and achievement: What we know, what we need to know.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1(1), 43-69. https://doi.org/10.1006/ceps.1996.0004
  25. Vygostky, L, S. (1978).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26. Webb, N. M., and Palinscar, A. S. (1996). Group processes in the classroom. In D. C. Berliner & R. C. Calfree(Eds.), Handbook of Education Psychology. NY: Macmillan.

Cited by

  1. Exploration of Problem Solving Program including Creative Thinking Skills in the Idea Generation and Verification Stages as Method for Fostering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 vol.34, pp.1, 2015, https://doi.org/10.15267/keses.2015.34.1.095
  2. 초등학교 '렌즈의 이용' 단원 탐구활동에서 나타나는 동질 모둠별 언어적 상호작용의 특징 분석 vol.28, pp.6, 2017, https://doi.org/10.3807/kjop.2017.28.6.3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