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Two-dimensional Numerical Simulation of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n the Mokpo Coastal Zone

목포해역의 점착성 퇴적물 이동에 관한 2차원 수치모의

  • 최종화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 정태성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08.23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Sedimentary environment in coastal zone has been changing due to a large number of coastal structures and continuous coastal development. As a result, the environment has been changing. In particular, the economic and environmental damage can occur due to cohesive sediment transport closely related with the fate of pollutants. Due to large sea wall construction the ebb dominance in the Mokpo coastal waters has been clearer. Cohesive sediment transport was simulated by the EFDC model. The simulated SS showed good agreements with the observed SS. From the sensitivity analysis of sediment parameters, we found out that the erosion rate, the critical shear stresses for erosion and deposition, and the settling velocity are important factors in cohesive sediment transport modeling.

연안 해역은 해안구조물 건설과 간척 등의 연안 개발로 인해 해안의 퇴적환경이 크게 변화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많은 환경변화가 발생하였다. 특히 점착성 퇴적물은 오염물질을 흡착하고 이동하여 환경적으로 큰 변화를 야기한다. 목포해역은 최근에 많은 해안구조물의 건설로 인해 낙조우세가 점점 심해지는 등의 환경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지역이다. 이 지역의 점착성 퇴적물을 채취하여 수리실험하고 얻은 침식률 및 침식한계전단응력의 퇴적물 이동모의 활용가능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부유사 농도에 대한 모의 결과는 관측자료와 일치하는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수리실험을 통해 결정된 침식률을 사용하는 것이 수치모의에서 정확성을 개선하는 데 기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모의과정에서 침식률, 침식한계응력, 침강속도, 활성층 두께 등의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환, 임병선 (1998). 방조제 건설로 인한 목포해역에서의 오염 확산 양상 변화. 대한토목학회논문집, 18(II-6), 613-622.
  2. 국립해양조사원 (1994). 수로기술연보.
  3. 국립해양조사원 (2002). 수로기술연보.
  4. 김만곤, 양수현, 태동현, 황규남 (2011). 목포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침식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양공학회지, 25(1), 14-21.
  5. 김효섭 (2010). 인공구조물 설치/제거에 의한 해양환경예측모델링 기술개발 1차년도 연차실적계획서.
  6. 김효섭 (2011). 인공구조물 설치/제거에 의한 해양환경예측모델링 기술개발 2차년도 연차실적계획서.
  7. 대림산업 (2003). 목포시관내 국도대체 우회도로 건설공사 해양조사.
  8. 정의택, 김용묵, 김동호, 황규남 (2012). 준 폐만 점착성 퇴적물의 퇴적매개변수 산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한국해안.해양공학회 논문집, 24(3), 159-165. https://doi.org/10.9765/KSCOE.2012.24.3.159
  9. 정태성 (2010). 해안 점착성 퇴적환경변화에 대한 표준형 수치모형 개발방향. 2010년 분과위원회 연구사업보고서, 한국수자원학회.
  10. 정태성, 김태식, 정동국 (2006). 목포해역 점착성 퇴적물의 수송에 관한 수치 모의.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9(1), 36-44.
  11. 정태성, 최종화 (2010). 목포해역 낙조류 우세현상의 수치모의. 한국해안.해양공학회, 22(5), 333-343.
  12. 정태성, 최종화 (2011). EFDC 해수유동모형의 계산시간 효율화. 한국해양환경공학회지, 14(2), 121-129.
  13. Lick, W. and McNeil, J. (2001). Effects of sediment bulk properties on erosion rates. The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266, 41-48. https://doi.org/10.1016/S0048-9697(00)00747-6
  14. Maa, J.P.-Y., Kwon J.-I., Hwang K.N. and Ha, H.-K. (2008). Critical bed-shear stress for cohesive sediment deposition under steady flows. J. of Hydraulic Engineering, 134(12), 1767-1771.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2008)134:12(1767)
  15. Mehta, A.J. (editor). (1993). Nearshore and Estuarine Cohesive Sediment Transport. American Geophysical Union.
  16. Mehta, A.J., Mcanally, W.H., Hayter, E.J., Teeter, A.M., Schoellhamer, D., Heltzel, S.B. and Carey, W.P. (1989). Cohesive sediment transport II: Application. J. of Hydraulic Engineering, 115(8), 1094-1112. https://doi.org/10.1061/(ASCE)0733-9429(1989)115:8(1094)
  17. Tetra Tech Inc. (2007a).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User Manual, USEPA, Version 1.01.
  18. Tetra Tech Inc. (2007b). The Environmental Fluid Dynamics Code, Theory and Computation, Volume 2 : Sediment and Contaminant Transport and Fate.
  19. Wang, Y.H. (2003). The intertidal erosion rate of cohesive sediment: a case study from Long Island Sound.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56, 891-896. https://doi.org/10.1016/S0272-7714(02)00215-9

Cited by

  1. A Study on the Sediment Deposition Height Computation at Gunsan Port Using EFDC vol.46, pp.5, 2013, https://doi.org/10.3741/JKWRA.2013.46.5.531
  2. Numerical Modeling of Sediment Transport during the 2011 Summer Flood in the Youngsan River Estuary, Korea vol.25, pp.2, 2013, https://doi.org/10.9765/KSCOE.2013.25.2.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