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 through Fashion Design

패션 디자인을 통한 정치·사회적 발언

  • 고현진 (건국대학교 의상디자인 전공)
  • Received : 2012.01.09
  • Accepted : 2012.03.25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through fashion design, by comparing with more activated statements in the general design area. To achieve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First of all, the meaning of design politics was defined and the cases of design practice of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were reviewed and classified historically. Traditionally, designs have been inextricably linked with political authorities and ideologies. As propaganda, it has been used for power authority to seize power and maintain dominance. On the contrary, they could be an instrument to resist and criticize against contemporary power authority and dominant. Next, the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were traced historically through fashion design on the basis of the two previously reviewed categories. And then, comparing political and social statements between design and fashion design, the contents and ways of their expressions were similar. In design, there were more various ways when the designers were leading collective behavior, but in fashion design, there were more leading voices of socio-political organizations and resistant counter culture groups. Now, new trends are rising constantly where individual designers' creations express many different socio-political beliefs. This study which inquires designers' political and social involvement will be helpful in making people rethink the social role of fashion design and encouraging conscious fashion design activism.

Keywords

References

  1.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2. 김민수 (2007), 필로디자인-삶과 철학으로 시대를 디자인한 22인의 이야기, 서울: 그린비. pp. 29-30.
  3. 한지은, 정성혜 (2011), 미셸 오바마의 패션 색상 연구 - 패션 정치의 관점에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1), p. 91
  4. 이상현 (2008. 8. 11), "디자이너, 사회에 개입하다", 자료 검색일 2011. 12. 26, http://magazine.jungle.co.kr
  5. 김민수 (1998), 21세기 디자인 문화탐사, 서울: 솔, p. 35.
  6. 김민수 (2000), 허공 속의 한국적 예술 민주화, 디자인 문화 비평 02 정치, 디자인, 권력, 디자인문화실험실 편, 서울: 안그라픽스, p. 84.
  7.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p. 76-77.
  8. 전혜란 (2009), 비판적 리얼리즘 미술의 전개양상과 그 정치.사회적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110.
  9. 이택광 (2008), 세계를 뒤흔든 미래주의 선언, 서울: 그린비, p. 49, p. 51.
  10. 이택광 (2008), 세계를 뒤흔든 미래주의 선언, 서울: 그린비, pp. 47-52.
  11. Heller, Steven (1997), Design Literacy: Understanding Graphic Design, 강현주 역 (2001), 디자이너, 세상을 읽고 문화를 움직인다, 서울: 안그라픽스. pp. 7-8.
  12. Art into Life: Russian Constructivism 1914-1932 (1990), NY: Rizzoli, p. 83.
  13.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4-25.
  14.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26.
  15. 이병종 (2004), 디자인과 권력 - 독일 제3제국의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208-209.
  16. Evans, Richard J. (2006), The Third Reich in Power, NY: Penguin Books, p. 305, p. 309.
  17. Meggs, Philip, B. (1998), History of Graphic Design (Third Edition), 황인화 역 (2011), 그래픽 디자인의 역사, 서울: 미진사, p. 293.
  18. Lasn, Kalle et al. (1999), Adbusters, 길예경, 이웅건 역 (2004), 애드버스터: 상업주의에 갇힌 문화를 전복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p. 200.
  19. 디자인문화실험실 편, op. cit., p. 11, p. 69, p. 73.
  20. Berman, David B. (2009), Do Good Design : How Design Can Change the World, 이민아 역 (2010), 디자이너를 위한 디자인 혁명, 서울: 시네마북스, p. 67.
  21.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3.
  22.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3-34.
  23. Foster, Hal, et al. (2004), Art since 1900: Modernism, Antimodernism, Postmodernism, 배수희 외 역 (2007), 1900년 이후의 미술사, 서울: 세미콜론, p. 172
  24.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21-22.
  25.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99.
  26.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7
  27.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9.
  28. Heller, Steven (1997), Design Literacy: Understanding Graphic Design, 강현주 역 (2001), 디자이너, 세상을 읽고 문화를 움직인다, 서울: 안그라픽스. p. 20.
  29.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32-33.
  30. Heller, Steven (1997), Design Literacy: Understanding Graphic Design, 강현주 역 (2001), 디자이너, 세상을 읽고 문화를 움직인다, 서울: 안그라픽스. pp. 20-22.
  31.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15
  32. 자료검색일 2011. 12. 19, http://www.seditionaries.com
  33.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5-26.
  34.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6, p. 18.
  35.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34, p. 7.
  36. Glaser, Milton & Ilic, Mirko (2005), The Design of Dissent, 박영원 역 (2006), 불찬성의 디자인, 서울: 지식의 숲, pp. 60-61.
  37.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77.
  38.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2.
  39. 송진원 (2010), 사회적 디자인의 표현특성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8.
  40.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242.
  41.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57.
  42. Barnard, Malcolm (1996), Fashion as Communication, London & NY: Routledge, p. 28.
  43. Barnard, Malcolm (1996), Fashion as Communication, London & NY: Routledge, p. 63.
  44. 한지은, 정성혜 (2011), 미셸 오바마의 패션 색상 연구 - 패션 정치의 관점에서,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11(1), pp. 89-102, p. 91
  45. 이승옥 (2005),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디자인과 정치 성향의 관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pp. 101-110, p. 109.
  46. Humphreys, Richard (1999), Futurism, 하계훈 역 (2003), 미래주의, 파주: 열화당, p. 38, p. 64.
  47. Lista, Giovanni (2001), Futurism, Paris: Terrail, pp. 150-151.
  48.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205.
  49. Guenther, Irene V. (1997), Nazi "Chic"? German Politics and Women's Fashions 1915-1945, Fashion Theory: The Journal of Dress, Body & Culture, Issue 1, Steele, Valerie edit, pp. 29-58
  50. 곽승희, 최현숙 (2006), 티셔츠 문양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이를 응용한 디자인 연구, 복식, 56(7), p. 6.
  51. 자료검색일 2011. 12. 6, http://nymag.com/daily/fashion/2008/02/marc_jacobs_brings_back_the_hi.html
  52. 곽승희, 최현숙 (2006), 티셔츠 문양의 커뮤니케이션 기능 및 이를 응용한 디자인 연구, 복식, 56(7), p. 7.
  53. Renfrew, Elinor & Renfrew, Colin (2009), Developing A Collection, Lausanne: AVA Publishing SA, p. 67.
  54. Barnard, Malcolm (1996), Fashion as Communication, London & NY: Routledge, p. 6.
  55. 문지영 (2009), 1920년대 프랑스 '남장여자(Garconnes)'의 이미지와 표상, 프랑스사 연구, 20, pp. 142-143.
  56. 문지영 (2009), 1920년대 프랑스 '남장여자(Garconnes)'의 이미지와 표상, 프랑스사 연구, 20, p. 149, pp. 139-140.
  57. Wilson, Elizabeth & Taylor, Lou (1989), Through the Looking Glass, London: BBC Books, p. 41.
  58.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213.
  59.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p. 216-217.
  60. 이승옥 (2005),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디자인과 정치 성향의 관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p. 102.
  61.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192.
  62. Barnard, Malcolm (1996), Fashion as Communication, London & NY: Routledge, p. 41.
  63. 서현수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타이포그래피에 관한 연구, 복식, 54(2), p. 141.
  64. Polhemus, Ted (1994), Street Style-from side walk to catwalk, London: Thames and Hudson, p. 2.
  65. 김성훈, 양병화 (2005), 사회 마케팅과 공익광고 캠페인, 서울: 커뮤니케이션 북스, p. 1.
  66. 김영철 (2010), 한국의 저항문화운동과 사회적 디자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67.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p. 57-59.
  68. Lipovetsky, Gilles (1987), L'Empire de L'ephemere, 이득재 역 (1999). 패션의 제국, 서울: 문예출판사, p. 391.
  69. Renfrew, Elinor & Renfrew, Colin (2009), Developing A Collection, Lausanne: AVA Publishing SA, p. 66.
  70. Dazed & Confused (2002. 9), #93, p. 125.
  71. 이희남 (2009), 현대패션에 표현된 문자 문양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 42.
  72. Wilcox, Claire(2004), Vivienne Westwood, London: V&A Publications, p. 5, p. 10.
  73. 자료검색일 2011. 12. 26, http://www.style.com
  74. 이은정 (2009), 티셔츠에 표현된 그래피티 특성에 관한 연구-대중과의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20.
  75. 이승옥 (2005), 비비안 웨스트우드의 패션디자인과 정치 성향의 관계,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7(2), p. 109.
  76. 자료검색일 2011. 12. 19, http://www.moschino.com
  77.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36.
  78. 자료검색일 2011. 12. 26, http://www.stellamccartney.com
  79. 한희진 (2003), 바바라 크루거 작품에 나타난 정치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66.
  80. 서강석 (2002), 티셔츠 그래픽에 나타난 시각적 유희의 사회적 의미,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 5.
  81. Wilson, Elizabeth (1985), Adorned in Dreams, London: Virago press, p. 244.
  82. 서동진 (2009), 디자인 멜랑콜리아, 서울: 디자인 플럭스, p. 143, p. 187.
  83. Lasn, Kalle et al. (1999), Adbusters, 길예경, 이웅건 역 (2004), 애드버스터: 상업주의에 갇힌 문화를 전복하라, 서울: 현실문화연구, p. 12, p. 216.
  84. McQuiston, Liz (2004), Graphic Agitation 2 - Social and Political Graphics in the Digital Age, London: Phaidon, p. 79.

Cited by

  1. The Statement in KYE Collection by Designer Kathleen Kye vol.67, pp.4, 2017, https://doi.org/10.7233/jksc.2017.67.4.001
  2. 유럽 골드워크 자수의 시대별 변천과 사회·문화적 가치 vol.28, pp.4, 2012, https://doi.org/10.29049/rjcc.2020.28.4.5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