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Effective Microorganism Applications on Growth, Yield and Fruit Nutrient Contents in Hot Pepper

유용미생물 처리가 고추의 생육 및 과실성분에 미치는 영향

  • 윤성탁 (단국대학교 생명자원과학대학) ;
  • 김영소 (평택시 농업기술센터) ;
  • 이명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인숙 (평택시 농업기술센터)
  • Received : 2012.05.22
  • Accepted : 2012.08.28
  • Published : 2012.09.28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on growth, yield and fruit nutrient contents of two cultivars ('Muhanjilju' and 'Daetong') of hot pepper. The number of injection of EM cultivated are 6 times from the pepper plant seedlings until harvested in both cultivars. Stem girth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whereas lowest in no EM control. In 'Muhanjilju', the number of branches was highest (79.3) in the treatment of Bacillus subtilis whereas in 'Daetong' was highest (119.0) as trea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Yield of the red hot pepper fruits that sum of two varieties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of Rhodopseudomonas capsulatas (53.1kg FW per 10a). Regardless of EM treatments, average yield was 8% higher in 'Daetong' than is 'Muhanjilju' (33.8kg vs 31.2kg per 10a). The incidence of antracnose was lowest by the Rhodopseudomonas capsulatas treatment, which led to the highest yield. As for the effect on fruit mineral nutrients, total 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in both varieties,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was obtained from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 both varieties.

고추재배시 발생하는 탄저병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 농업용 유용미생물을 활용하여 농약사용량을 경감시키며 고추의 수량 및 기능성 물질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는 노지재배법을 규명하고자 실시한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공시한 두 품종간 경직경 및 분지수는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균처리간에는 경직경, 주경장, 분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품종간 비교를 보면 '무한질주'보다는 '대통' 품종의 초장 및 초폭이 길고 분지수가 많았다. 생고추 수량은 광합성균 처리구가 53.1kg/10a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고초균이 34.9kg/10a을 나타내었으며 관행구는 18.5kg/10a로 가장 낮았다. 탄저병 발생율은 유산균 처리구가 14개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행구가 13개였으며 광합성균 처리구가 6개로 가장 낮았다. 품종별 평균수량을 보면 '대통'은 33.8kg/10a로 '무한질주'의 31.2kg/10a에 비해 약 8% 높았다. 붉은 생고추 0.5g 속에 들어있는 무기물 함량은 칼륨과 나트륨 성분을 제외하고는 균처리간 고도의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 균 처리별 무기물 함량을 살펴보면 총 질소함량은 '무한질주'에서는 유산균 처리구가 1.8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인산($P_2O_5$) 함량은 두 품종 모두 고초균 처리구가 0.72%로 가장 높았다. 망간(Mn) 함량도 균처리간, 품종간 고도의 유의적 차이가 인정되었다. '무한질주'의 망간(Mn) 평균함량은 30.86ppm이었고, '대통' 품종은 38.55ppm을 함유하고 있어 '무한질주'보다 '대통' 품종의 망간 함유량이 약 25% 높았다. Carotenoid 총 함량은 '무한질주' 및 '대통' 모두에서 고초균 처리구가 각각 $371.6{\mu}g/g$, $322.2{\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관행구의 평균 carotenoid 함량 $209.24{\mu}g/g$에 비해 78~54%나 높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민․박현수․권기록․임태진․박희수. 2008. 고추와 Capsaicin의 항산화 효능 비교. 대한약침학회지 11(1): 109-118.
  2. 곡경승․권기록․임태진․김동희. 2008. 고추추출물과 Capsaicin이 지방세포 대사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침학회지 11(1): 149-162.
  3. 이건웅. 2008. 바실러스균을 이용한 고추역병의 생물학적 방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4. 전학문. 2002. 환경보존형농업과 미생물농업. 도서출판 펜과 파스텔, 서울. pp. 3-95.
  5. 조명철. 2008. 표준영농교본(개정) No.115 고추재배. 농촌진흥청.
  6. 문원․이승구. 2000. 재배식물생리학. 한국방송통식대학교 출판부, 서울. p. 14, pp. 134- 1186.
  7. Rodale J. I., 최병칠 역. 1982. 유기농업. 복음출판사, 서울. pp. 15-42.
  8. 고추산업동향.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enews.rda.go.kr. Accessed Mar. 4, 2009.
  9. 농업관측 2011. 11호: 양념채소 수급동향과 전망. KERI. http://www.keri.org.AccessedNov.11,2011.
  10. Kim H. H., S. P. Hong, and J. G. Hwang. 1998. Biological Functions and Production Technology of Carotenoids, J. Kor. Soc. Food Sci. Nutr. 27(6): 1297-1306.
  11. Kawada T., K. I. Hagihara, and K. Iwai. 1986. Effects of capsaicin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 fat diet. J. Nutr. 116: 1272-1278. https://doi.org/10.1093/jn/116.7.1272
  12. Yoshiok M., S. St-pierre, V. Drapeau, I. Dionne, E. Doucet, M. Suzuki, and A. Tremblay. 1999. Effects of red pepper on appetite and energy intake. Br. J. Nutri. 82: 115-123.
  13. Chung M. J., J. H. Shin, S. J. Lee, S. K. Hong, H. J. Kang, and N. J. Sung. 1998. Chemical compounds of wild and cultivated horned rampon, Phyteuma japonicum Miq. Kor. J. Food & Nutr. 11: 437-443.
  14. Yoon J. B., D. C. Yang, W. P. Lee, S. Y. Ahn, and H. G. Park. 2005. Genetic resources resistant to anthracnose in the genus Capsicum. Kor. J. Hort. Sci & Tec. 23(1): 29.
  15. Jee H. J., S. S. Shin, J. H. Lee, W. I. Kim, S. J. Hong, and Y. K. Kim, 2010. Conidial Disperse of the Pepper Anthracnose Fungus Colletotrichum acutatum and Its Density on Infected Fruits. Res. Plant Dis. 16(1): 101-105. https://doi.org/10.5423/RPD.2010.16.1.101
  16. 小林達治. 1993. 光合成細菌で環境保全, 農山漁村文化協會, 東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