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Geriatric Oral Health on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in Ulsan Province

울산지역 노인의 구강건강이 노인의 전반적 건강상태와 사회활동에 미치는 영향

  • 최유진 (영산대학교 치위생학과) ;
  • 권수진 (부산과학기술대학교 치위생과) ;
  • 류황건 (고신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12.02.20
  • Accepted : 2012.02.29
  • Published : 2012.03.30

Abstract

This study is to observe the effect of oral health of elderly on overall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to provide basic data for oral health improvement program for the elderly and development of related policie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July 25th to July 29th, 2011, and used 145 copies for this research analysis.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it is observed that all of 4 sub factors of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have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overall health status of elderly and social activity also h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with oral health. As a result of regression analysis, the functional limitation out of sub factors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health status and psychological effect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social activity. Based on the above result, it is observed that, at the time of rapidly entering to an aging society, the life quality related to oral health of elderly which is part of overall health and overall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areas that are recognized by the elderly have significant correlation. And,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oral health affecting health status and social activi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more researches on the development of oral health program and development of assessment tool that can be easily employed should be made.

Keywords

References

  1. 구영경(2010), 노인의 구강위생행태와 주관적 구강 건강,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
  2. 윤현숙, 김영법, 허소영(2006), 한국 노년학 연구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노년학, Vol.26(3);447-460.
  3. Rowe J. W. & Kahn R. L.(1998), Successful aging, New York : Pantheon Books, pp.433-440.
  4. 김 욱(2006), 경로당 이용 노인의 자아존중감과 영향요인연구, 노인복지연구, Vol.32:271-293.
  5. 나항진(2004),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노인 여가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4(1), pp.53-70.
  6. 양민희(2009), 한국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3.
  7. 김지화(2007), 구강보건이 전신건강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
  8. 신선정, 정세환(2011), 강원도 일부 노인에서의 노인구강건강평가지수(GOHAI)의 타당도와 신뢰도, 대한구강보건학회지, Vol.35(2);187-195.
  9. 장선희, 최미혜(2011), OHIP-14를 이용한 일부 요양기관 노인들의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4);475-487.
  10. 조영식, 임순연, 황혜림(2011), 50대 이상 장노년층의 구강건강 관련 삶의 질과 구강 건강 결과의 관련성, 치위생과학회지, Vol.11(4);305-310.
  11. 박정란, 김혜진(2011), 65세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요구도가 구강건강영향지수(OHIP-14)에 미치는 영향,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6);961-971.
  12. 이명선, 임선아, 김진(2007), 노인의 구강건강 영향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조선대학교 통계연구소 논문집, Vol.9(1);.19-31.
  13. 박영애(2006), 노령인구에서 전신건강과 구강건강과의 관련성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보건과학대 학원 석사학위논문, pp.27-28.
  14. 이민선, 신선정, 정세환(2011), 강원도 일부 농촌 지역 노인의 사회경제적 위치와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연관성, 한국치위생학회지, Vol.11(5); 707-715.
  15. Atchison KA, Dolan TA.(1990), Development of the Geriatric Oral Health Assessment Index. J Dent Educ, Vol.54;680-7
  16. 전예슬(2009), 가구유형에 따른 한국 노인의 건강 상태 비교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44-45.
  17. 윤명희(2005), 노년기 가치관과 사회활동과의 관 계, 한서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31.

Cited by

  1. Health Care Utilization of Age Group in the Elderly on the Korean Health Panel vol.8, pp.3,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3.049
  2. Subjective Xerostomia and Jaw Functional Limitation Relate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vol.8, pp.1,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1.087
  3. 일부지역 60대 이상 노인의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주관적인 구강건강인식과 구강건강지식도 vol.17, pp.1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485
  4. 한국 노인의 주관적 구강건강평가와 삶의 질 관련성 연구 vol.19, pp.4, 2019, https://doi.org/10.5392/jkca.2019.19.04.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