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중년기 성인의 우울, 피로와 삶의 질 간의 관련성 - 진주지역을 중심으로 -

  • Received : 2012.04.26
  • Accepted : 2012.05.09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fatigue and quality of life (QOL) in middle-aged adults in Jinju city. This surve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10 and 230 responses from the survey were used.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The average score of the participants' depression was $13.16{\pm}8.26$ out of 60. the average fatigue score was $21.46{\pm}4.79$ out of 44. The average QOL score was $85.90{\pm}9.49$ out of 130. Among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participants level of QO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gender, educational level, exercise. There was a significantly corrleation among depression, fatigue and QOL. The results revealed that depression, educational level, exercise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to affect the QOL in middle-aged adults. Low level of depression,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active exercise were closely correlated with QOL. To improve QOL in middle-aged adulthoods for the community, the programs which include lowering depression, encouraging exercise should be designed.

Keywords

References

  1. 임소진, 어성연(2011), 중년기 성인들이 인지하는 주관적 삶의 질의 영향요인 분석: 생태학적 요인들을 고려하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Vol.15(4);129-147.
  2. 송경희, 정상희(2009), 한국 성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 평가에 관한 연구, 대한치과위생학회지, Vol.11(1);25-43.
  3. 백정원, 남희은, 류지선(2012), 대학생의 건강증진 실천의지가 자기효능감, 행복, 생활만족, 여가만족에 미치는 영향,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6(1);173-183.
  4. 한수정(2004), 중년기 성인의 운동실천과 삶의 질, 한국보건간호학회지, Vol.18(1);14-26.
  5. 김희경(2006), 연령집단에 따른 중년성인의 피로와 영향 요인 비교분석,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2(4);273-281.
  6. C.S. Burckhardt(1985), The impact of arthritis on quality of life, Nursing Research, Vol.34(1);11-16.
  7. 박인숙, 김도연, 강창렬(2011), 뇌졸중 노인의 기능 장애정도, 일상생활 수행능력, 우울과 삶의 질 간의 관계, 보건의료산업학회지, Vol.5(2);173-186.
  8. 김영숙(2011), 저용량 방사성옥소치료를 받는 갑상선암 환자의 피로와 삶의 질 및 관련 요인,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2.
  9. 박옥임, 김정숙, 정영해(2000), 농촌지역 중년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농업교육학회지, Vol.36(4);89-100.
  10. 이영휘(2002), 중년남성의 삶의 질에 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 Vol.32(4);539-549.
  11. 김진영(2009), 한국 성인집단에서 연령과 우울의 관계, 보건과사회과학, Vol.26;87-113.
  12. 성근석(2009), 우울과 삶의 질에 관한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1차년도(2007)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68.
  13. G.E. Barrios(1990), Feeling of fatigue and psychopathology: a conceptual history, Comprehensive Psychiatry, Vol.31(2);140-151. https://doi.org/10.1016/0010-440X(90)90018-N
  14. 변영순, 박미숙(2001), 성인의 만성피로와 그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Vol.8(3);302-313.
  15. M.R.M. Visser, E.M.A. Smets(2009), Fatigu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ancer patients: how are they related?, Support Care Cancer, Vol.6;101-108.
  16. 차운정(2001), 중년여성의 생활사건과 피로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33.
  17. 김옥수, 김애정, 김선화, 백성희, 양경미(2003), 청, 중년층의 피로, 우울, 수면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Vol.33(5);618-624.
  18. http://stat.nongae.net/html/index.asp?dd_yy=2011
  19. 민성길, 이창일, 김광일, 서신영, 김동기(2000),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간편형 척도(WHOQOL-BREF) 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Vol.37(3);571-577.
  20. 박은옥(2011), 성별에 따른 성인의 사회적 지지와 우울에 관한 연구, 여성건강간호학회지, Vol.17(2);169-177.
  21. 정순둘, 구미정(2011), 우울 영향요인: 베이비부머, 예비노인, 현재노인의 비교, 노인복지연구, Vol.52;305-324.
  22. 김철환, 신호철, 박용우(2000), 만성피로 및 만성피로 증후군의 유병률, 가정의학회지, Vol.21(10);1288-1298.
  23. 안홍모(2010), 제4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한국 성인 남/녀의 생애주기에 따른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요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51.
  24. 정남영(2005), 40대 남성의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pp.16-29.
  25. 이영미(2007), 대학생의 삶의 질과 관련요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Vol.24(2);77-91.

Cited by

  1. A Study on Body Image, Sexual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aged Adults vol.9, pp.2, 2015, https://doi.org/10.1016/j.anr.2014.12.001
  2. Quality of Life and Its Correlated Factors among Elderly People with Diabetes in a Community vol.8, pp.1, 2014, https://doi.org/10.12811/kshsm.2014.8.1.075
  3. The Influence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over 50 Years Old by Stress Recognition, Depression, and Suicidal Thinking vol.9, pp.2, 2015, https://doi.org/10.12811/kshsm.2015.9.2.057
  4. Relationships between obesity, blood and urinary compositions, and dietary habits and depressed mood in Koreans at the age of 40, a life transition period vol.46, pp.3, 2013, https://doi.org/10.4163/jnh.2013.46.3.261
  5. Association between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Middle-aged between Men and Women, and Oral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n Depressive Symptoms (PHQ-9) vol.11, pp.4, 2017, https://doi.org/10.12811/kshsm.2017.11.4.179
  6. Comparison of Fatigue Severity and Quality of Life between Unexplained Fatigue Patients and Explained Fatigue Patients vol.39, pp.3, 2018, https://doi.org/10.4082/kjfm.2018.39.3.180
  7. 베이비부머 세대 남성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경로분석 vol.10, pp.4, 2012, https://doi.org/10.12811/kshsm.2016.10.4.167
  8. 한국 노인의 우울과 현존 치아수의 관련성 :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vol.19, pp.5, 2012, https://doi.org/10.13065/jksdh.20190059
  9. 전통시장 상인의 지각된 운동 유익성 및 장애성, 유능감, 우울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vol.29, pp.1, 2012, https://doi.org/10.5807/kjohn.2020.29.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