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녹지배치 및 식재구조 변화 연구

  • Received : 2012.06.11
  • Accepted : 2012.08.20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improved method by analyzing the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and planting structure of apartment complexes in Seoul. 12 survey sites, which have obvious differences,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hange of floor area ratio, underground parking place, and green space ratio. We divided the survey sites into four types that high green ratio(over 40%) apartment on natural ground, low green ratio(under 40%) apartment on natural ground, low green ratio(under 40%) apartment on artificial ground, and high green ratio(over 40%) apartment on artificial ground each period based on green space ratio and ground structure, plant crown volume, planting density, and planting pattern. The main factors of change of green space arrangement were green space ratio and ground structure. The Green space ratio was changed by the floor area ratio with constructing underground parking place and floor area ratio was adjusted by government policy and economic status. Average width of front green area has been changed from 10.0m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for 3.5m, 2.7m, and 4.5m each period. The average width of the buffer green area has been changed from 15.0m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of 7.7m, and 2.7m by extending parking place in the low green ratio apartment of artificial ground, so buffer green areas have been reduced and disconnected. So buffer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es has been extended that the average width of the buffer green area was 3.8m caused by growing recognition of green since 2001. The ratio of native plant in canopy layer was increased from 45.1 % in the case of the high green ratio apartment of natural ground in 1980~1983 to 55.6%. Average plant crown volume increased from $1.27m^3/m^2$ in high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for $3.47m^3/m^2$ in a low green ratio apartment on natural ground. But average plant crown volume is $0.27m^3/m^2$ in the high green ratio apartment of the artificial ground plant density of canopy layer was changed from 5 individuals per $100m^2$ to 14.5 individuals per $100m^2$. We should construct the buffer green area with natural ground and get the function of ecological and beautiful environment regarding to garden concept in case of front green area, width 4.5m.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increasing green volume by multi-layer planting with shade woody species and flower woody species in case of back-side green area, width over 5.0m. We should get the function of covering the wall and increasing green landscape by planting with high woody species in case of side green area. We should apply the ecological planting technique to buffer green area and connect buffer green area to inner green area in apartment complexes.

본 연구는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시기별 녹지배치구조와 식재구조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여 보다 친환경적인 아파트단지 내 녹지조성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지는 서울시에 조성된 아파트단지 중 조성시기, 용적률, 지하주차장에 의한 지반현황, 녹지율의 차이가 뚜렷한 아파트단지 12개소를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지 유형화는 시기별로 녹지율과 지반현황을 기준으로 녹지율이 높은(40% 이상) 자연지반 아파트, 녹지율이 낮은(40% 미만) 자연지반 아파트, 녹지율이 낮은(40% 미만) 인공지반 아파트, 녹지율이 높은(40% 이상) 인공지반 아파트 네 가지로 구분하였다. 아파트단지 녹지배치 구조의 가장 근원적 변화요인은 녹지율과 인공지반 여부로 용적률이 상승하면서 주차장 면적비율도 높아져 상대적으로 녹지율은 낮아졌다. 녹지배치구조가 가장 많이 변한 녹지유형은 전면녹지와 완충녹지로 전면녹지는 녹지율이 높은 자연지반 아파트의 평균 녹지 폭 10.0m에서 3.5m, 2.7m, 4.5m로 시기별로 축소 변화하였다. 완충녹지는 녹지율이 높은 자연지반 아파트에서 평균 녹지 폭 15.0m로 단지외곽 경계부를 연결하였으나, 녹지율이 낮은 인공지반 아파트에서 주차장 확대로 평균 녹지 폭이 7.7m, 2.7m로 점차 축소되고 일부 구간은 단절되었으나, 2001년 이후 녹지에 대한 인식변화로 다시 평균 녹지 폭이 3.8m로 넓어지면서 연결되었다. 녹량 변화를 살펴보면, 녹지율이 높은 자연지반 아파트 녹지용적계수가 $1.27m^3/m^2$이었고, 식재밀도가 높아지면서 녹지율이 낮은 자연지반 아파트의 녹지용적계수가 $3.47m^3/m^2$로 가장 높았다. 반면에 녹지율이 높은 인공지반 아파트의 녹지용적계수는 $0.72m^3/m^2$로 매우 낮은 상태이었다. 식재밀도는 교목 아교목층의 경우 5.0주/$100m^2$에서 14.5주/$100m^2$로 증가하였다. 아파트단지 녹지를 보다 친환경적이고 기능적으로 조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녹지율 40% 이상의 아파트단지 내 전면녹지는 녹지 폭 4.5m 이상으로 확대하여 정원개념의 경관 식재지로 조성하고, 후면녹지는 녹지 폭 5.0m이상으로 확대하고 복층구조로 식재하여 녹지량을 증진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측면녹지는 수고가 높은 수종을 식재하여 벽면 차폐와 녹음기능을 증진하고, 완충녹지는 자생수종을 자연림에 가까운 다층구조로 조성하는 생태적 배식기법을 적용하면서 단지내부녹지와 연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경(2000) 도시 식물군집의 구조적 특성 및 자연성 복원을 위한 식생 모델에 관한 연구.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권전오(1997) 중부지방 자연식생분석을 통한 생태적 배식모델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권태식,김용수(1990) 대구시 아파트단지의 외부공간구성 및 만족도에 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8(1): 1053-1068.
  4. 김경환(2007) 도시 인구규모 분포와 도시 인구성장 패턴에 관한 분석. 지역연구 23(1): 27-41.
  5. 김기수(2008) 용적률에 따른 공동주택단지 주차공간과 녹지공간의 정량적 질 지표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논문집 10(1): 133-140.
  6. 김남춘, 최준수, 문석기(1988) 주요 조경수목의 크기예측 모델에 관한 연구: 느티나무, 스트로브잣나무, 백목련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6(1): 1027-1035.
  7. 김정호, 이경재, 김정호(2004) 용적률 변화에 따른 공동주택단지내 녹지 구조 변화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1): 42-52.
  8. 김종엽(1999) 자연식생구조를 고려한 완충녹지 배식 모델.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대한주택공사(2000) 단지계획기준. 대한주택공사 보고서.
  10. 박원규, 임선화(2009) 아파트단지 외부공간의 친환경요소 적용수준에 따른 만족도 비교 연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5): 13-27.
  11. 신범식(1991) 재건축에 의한 노후 아파트의 주거환경 개선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4: 103-113.
  12. 오구균(1987) 자연식생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한 배식설계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유인표(1999) 아파트단지 완충녹지 개선 방향 연구: 서울 수서 아파트단지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윤수진(2009) 친환경건축물 공동주택단지 내 비오톱 조성의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이경재, 한봉호, 이수동(2004) 서울시 아파트단지내 조경수목 배식특성 및 개선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2): 236-248.
  16. 이규목(1998) 해방 후 한국의 도시경관 변천 및 그 요인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6(2): 1-14.
  17. 이동욱(2009) 서울시 아파트단지의 녹지배치 및 식재구조 변화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상진(2003) 환경친화적인 지구단위계획 수립을 위한 환경생태적 계획 방안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이옥하, 이경재(2000) 조경수목의 생육환경을 고려한 적정 식재간격의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3(1): 34-48.
  20. 이준복, 심경구(1998) 서울지역 공원녹지 식재밀도의 적정성에 관한 연구: 문정 훼미리 아파트 단지내 공원녹지를 사례로. 한국조경학회지 26(2): 219-228.
  21. 장하경, 안근영, 이은희(2007) 수목생육 조건을 고려한 조경수목과 아파트 건물의 최소 이격거리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1): 1-8.
  22. 지재성, 박재로, 이노섭(1996) Green Town 개발사업 I.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보고서.
  23. 최일홍(1999) 공동주택단지의 식재밀도 계획기준.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사)한국조경학회(1990) 조경식재 설계론. 서울: 문운당.
  25. 한봉호(2000) 생태도시 구현을 위한 도시녹지축의 생태적 특성 평가 및 식재모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Booth, N. K. and J. E. Hiss(1993) 정원계획과 설계. 서울: 대우출판사.
  27. Hackett, B.(1979) Planting Design. London: E. & F. N. Spon Ltd.
  28. Monk C. D., G. I. Child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https://doi.org/10.2307/1933901
  29. Neveh, Z. and A. S. Lieberman(1983) Landscape Ecology. New York: Springer-Verlag.
  30. Robinson, N.(1992) Planting Design Handbook. Hampshire, England: Gower Publishing.

Cited by

  1. Comparative Analysis of Anion Concentration by the Type of Roadside Buffer Green vol.23, pp.7, 2014, https://doi.org/10.5322/JESI.2014.23.7.1339
  2. A Basic Study on the Features of Public Open Space Plan in Establishing Residential Complexes vol.27, pp.8, 2018, https://doi.org/10.5322/JESI.2018.27.8.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