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tudy on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특성화고 학습된 무기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연구

  • Received : 2012.08.01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kind of activities by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ho have a sense of learned helplessness do after school, and then to inquire if there would be any of differences between their school activities and after school activities. The students in J specialized highschool for vocational education, located in D city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f improving learning motivation for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We selected 15 out of them as the subjects who were judged to be suitable for this study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is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b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in the following. First,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can be divided into 3 groups; leisure activities, learning activities, and sustenance activities. Most of th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doing leisure activities such as playing with a computer, watching TV, doing something with their friend, and killing time. Secondly, the character of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of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tudents' school activities connected with their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Based on the results we need to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students' daily activities after school so as to help the students with learned helplessness, especially in specialized school.

본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이, 방과 후에 어떤 형태의 일상 활동을 하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학생들의 학습된 무기력 성향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D시의 J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고등학생으로, 학습된 무기력학생 대상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중, 본 연구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학생 15명을 연구자가 임의표집법(convenience sampling)에 의거하여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관찰과 심층면접을 활용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은 여가활동, 학습활동, 생활유지활동으로 구분할 수 있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여가 활동 (컴퓨터 게임, TV 시청, 친구와 어울려 돌아다니기, 하는 일 없이 빈둥거리기)에 많은 시간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의 학교 밖 일상 활동은 학교생활과는 다른 형태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학교에서는 무기력 성향을 보이던 학생들이 방과 후 일상 활동에서는 학교에서와는 다른 모습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나, 학교 현장에서의 무기력 성향이 학교 밖 일상 활동까지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보여진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특성화 고등학교에 많이 존재하는 학습된 무기력 성향 학생들을 조력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방과 후 일상 활동 특성에 대해서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05). 직업교육체제 혁신 방안.
  2. 권면기(2009). 컴퓨터 시뮬레이션 게임이 몰입과 사회적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 김병석, 조은경, 이명우(1998). 사이버세계와 청소년 상담. 청소년상담문제연구보고서, (30).
  4. 김병숙(2010). 선택적 직업이미지가 특성화고등학생의 진로수정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5. 김아영(2007). 관찰연구법. 서울: 교육과학사.
  6. 김영천(2012). 질척연구방법론.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7. 김의철, 김영희(2004).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2), 103-137.
  8. 김재만(1980). 듀이철학. 서울: 태영사.
  9. 김주아(2009). 특수목적고.특성화고 학교선택 행위와 학교의 특성화 전략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10. 김현철(2007). 연구방법 2 표본의 추출과 분석. 서울: 교육과학사.
  11. 법제처(2012). [On-line Available]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24850&efYd=20120420#0000.
  12. 박금녀(2012).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학교폭력성향 감소를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3. 박노찬(2008). 특성화 대안학교 내 학생들 간의 문화 차이에 관한 사례연구: 영산성지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4. 박미란(2012). 역사교과서 교과 집필자의 역할과 인식에 관한 질적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15. 박재환 외(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한울아카데미.
  16. 박행모, 문승태, 김희수(2008). 농업계열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의 교육 만족도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3). 33-53.
  17. 백욱현(2006). 면접법. 서울: 교육과학사.
  18.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2009) 교육학 용어사전. 하우동설.
  19. 송달용(2007). 특성화 고등학교 평가준거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미간행.
  20. 송인순(2008). 자아개념과 불안이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1. 신기명(2006). 학습무기력 (중판). 서울: 교육신서.
  22. 안영화(2001).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조사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3. 우정원, 장수한(2009). 청소년 방과 후 시간활용 실태와 청소년의 일탈행동과의 관계. 교류분석과 심리사회치료 연구, 6(1), 69-85.
  24. 이미리(2002). 청소년 초기 일상 활동 경험의 특성과 스트레스 수준. 대한가정학회지, 40(1), 69-84.
  25. 이미리(2000). 일상생활의 어떠한 경험이 초기 청소년의 폭력행동과 관계가 있는가, 연구보고서. 한국청소년 개발원.
  26. 이상규(2011). 방과 후 활동이 청소년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전문계 고등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7. 이성진(2004). 교육심리학서설. 교육과학사.
  28. 이숙(1999). 특성화 고등학교 교육계획사례에 의한 교육 요소의 특성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29. 이영애(2002). 고등학생의 방과 후 일상 활동과 학업성취도 및 자아정체감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0. 이용숙, 이재분(1991). 국민학생들의 가정에서의 시간 사용에 대한 연구 학습 활동과 학습의 의미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5(1), 71-95.
  31. 전미애(2010). 전문계 고등학교 학습된 무기력 학생을 위한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32. 정재희(2006). 특성화고 학생의 몰입(flow) 경험과 진로 결정 효능감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3. 조희옥(2011). 학습된 무기력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 고립, 공감을 매개로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4. 홍석일 (2012). 특성화 고등학교 남학생의 일탈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35. Abramson, L. Y., & Seligman, M. E. P.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6, 681-687.
  36. Dweck, c. s., & Reppucci. (1973). Learned helplessness and reinforcement in childre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25, 109-116. https://doi.org/10.1037/h0034248
  37. Hiroto, D. S., & Seligman, M. E. P. (1975). Generality of Learned Helplessness in M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1, 311-327. https://doi.org/10.1037/h0076270
  38. Orbach, I., & Hadas, Z. (1982). The elimination of learned helplessness deficits as a function of induced self-esteem.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16, 511-523. https://doi.org/10.1016/0092-6566(82)90009-5
  39. Seligman, M. E. P. (1975). A Helplessness on Depression, Development and Death. San Francisco W. H. Freeman.
  40. Seligman, M. E. P. (2006). Learned optimism : how to change your mind and life. New York : Vint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