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ng and Analyzing Construction Textbook by Elaboration Theory - Centered with National Textbook of 7th curriculum and the new revised curriculum

정교화이론에 의한 건설교과서의 교과내용 비교.분석 - 7차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의 국정교과서 중심으로

  • 박지연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 박준성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
  • 박완신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
  • 장영일 (충남대학교 건설공학교육과)
  • Received : 2012.08.02
  • Accepted : 2012.09.21
  • Published : 2012.09.30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as to apprehend the displaying componen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en types of construction textbooks used in Technical high schools by elaboration theory by Ferigeluth, and to supply preliminary data for the following revising textbooks. To achieve them, first, comparable units were excerpted by analyzing between the national textbooks of 7th curriculum and the new revised curriculum used in Technical high schools. Second, each five types of 7th and new curriculum textbook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seven requisites in the Elaboration theory by Reigeluth. As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elaborating process like conceptual, procedural, and theoretical elaboration has been applied to the different subjects according to their properties. Second, cognitive strategy activator among the seven strategies was widely used. Whereas, analogy was not applied to all the ten types of the text books. In addition, Learning prerequisite sequence was presented with only simple picture and explanation, and it was inadequately used in practice. Third, summary was more used in 7th curriculum text than the new revised text. Fourth, six strategy components were widely used to all texts except construction and materials in the five types of texts. Lastly synthesis of theory and practice was more used than summary in theory subjects and learner control was more used in the subject of the synthesis of theory and practice.

본 연구의 목적은 Reigeluth 의 정교화이론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교 건설 교과서 10종을 비교 분석하여 제시 요소를 파악하고 차후 교과서 편찬 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첫째, 공업계 고등학교 건설과의 7차 교육과정 교과서와 2007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를 분석 하여 비교가능한 대단원을 추출하고 둘째, 정교화 이론에 의한 7가지 전략 요소에 비추어 7차 교육과정 교과서 5종과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 5종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정교화 과정은 각 과목별 성격에 따라 개념적, 절차적, 이론적 정교화가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둘째, 7가지 전략요소 중 인지전략의 활성자가 가장 활발히 활용되고 있으며 비유는 10종 교과서 모두에서 활용되고 있지 않았고, 선수학습능력의 계열화 전략은 간단한 사진과 설명으로 제시되었을 뿐, 실제적으로 선수학습능력을 진단해보는 요소는 전 교과서가 미흡하였다. 셋째, 7차 교육과정 교과서가 개정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하여 요약자 전략이 활발히 활용되었다. 넷째, 5종의 교과서 중 토목재료 시공을 제외한 전교과서는 6가지 전략 요소를 활발히 활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론과목에서 이론실습통합 과목보다 요약자 전략이 많이 사용되었고, 학습자 통제 전략은 오히려 이론실습통합 과목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 외(2011). 건축 계획 일반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2. 강준묵 외(2002). 측량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3. 강준묵 외(2011) 측량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4. 교육과학기술부(2010). 초.중등학교 교과용도서 국.검.인정 구분고시.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0-1호
  5. 교육인적자원부(2007).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6. 김두준 외(2011). 토목 재료.시공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7. 김성진(2007)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전기.전자기술' 단원의 정교화 이론에 의한 내용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은겸, 임진근(2002). 역학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9. 김은겸 외(2011). 역학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0. 김홍철 외(2002). 토목 재료.시공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1. 대전광역시 교육청(2002). 대전광역시 실업계 고등학교 직업 교육 현황 및 발전방안(1). 대전광역시 교육청
  12. 문해곤, 김현덕(2011). 정교화 교수이론에 근거한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 정보통신 기술 '단원 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은연, 김석삼(2009). 정교화 이론에 의한 '기계의 이해' 단원의 내용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서명석 외(2011). 건축 구조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5. 심민희, 김미정, 김영남(2011) 정교화이론에 기초한 중학교 1학년 기술.가정교과서 '청소년의 영양과 식사' 단원 분석.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3), 37-51
  16. 안상덕 외(2002). 건축 계획 일반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17. 이용환 외(2004). 정교화이론에 의한 제 7차 교육과정 실과(기술)교과서 내용분석. 한국농업교육학회지, 36(2), 49-64
  18. 이효원, 이영문(2010). 정교화 이론에 의한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기술과 발명' 단원의 내용분석.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임덕희, 정석창(2003). 건축 구조 교과서. 교육과학기술부
  20. 주현정, 조영남(2010). 'Reigeluth '의 정교화 이론에 따른 과학과 ' 계절의 변화' 단원 수업설계.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하봉수, 김현수(2009). 정교화 이론에 의한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에너지와 수송기술 '단원의 분석.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황민정, 박완신, 장영일(2011). 건설공학 교육분야 중등임용시험 개선방안에 관한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6(2), 257-272
  23. Charles M. Reigeluth(2005).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아카데미프레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