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ontemplation of Creative Practice Book though Art Activity in Creative Education

창의교육에 있어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실습도서에 대한 고찰

  • Received : 2012.08.09
  • Accepted : 2012.10.04
  • Published : 2012.10.28

Abstract

The 21st century is the era of the center of the Originality(of thought). It also emphasizes creativity and creativ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new changes are dreaming. Creative education through art grasp the essence of things, seek express oneself, and brings cognitive ability. An educatee promote the development of creativity and insight on things other than the existing. New thinking will gain the ability to make rational faculty of the mind and principle. Creative education implement in homes, schools, communities, public agencies, private organizations, and running through the creative environment, but the number of trainees are exposed to extremely rare. The creative practice book in charge of creative education of the dissemination insuffici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in reality. The creative practice book requires a new approach. It can be seen easily accessible environment where everyone should be able to provide for nationwide. In this respect, the creative practice book through art to begin consideration, is studied a whole spectrum, and be published in variety of practice books.

21세기는 창의(創意) 중심의 시대이다. 교육정책 또한 창의성을 강조하며 창의를 바탕으로 새로운 변화를 꿈꾸고 있다. 예술을 통한 창의교육은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고 본인이 느낀 것을 추구하고 인지능력 향상만 가져오는 것뿐 아니라 피교육자의 창의성 개발을 촉진시키며 사물에 대한 통찰력과 기존의 것과는 다른 새로운 사유와 법칙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얻게 된다. 창의교육은 가정, 학교, 지역사회, 공공기관, 사설기관 등을 통하여 실행되고 있지만 창의적 환경에 노출되는 피교육자의 수는 극히 드물다. 창의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다양한 방법 중 가장 보급력이 높은 창의실습도서의 연구와 개발은 아직 미흡한 현실이다. 창의교육실습도서의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며 창의교육을 범국민적인 차원으로 넓혀가려면 손쉽게 볼 수 있도록 누구나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예술 활동을 통한 창의교육 실습도서에 대한 고찰을 시작하게 되었으며 널리 연구되어 다양한 방식의 창의실습도서가 저서 되었으면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앤 뱀포드, 예술이 교육에 미치는 놀라운 효과, 한길아트, 1998.
  2. 이동연, 예술교육을 넘어서 열개의 문화 고원, 한길아트, 2008.
  3. 심옥화,.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119, 1997.
  4. 심옥화, "창의성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에 관한 연구", 창의력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122, 1997.
  5.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22, 2002.
  6. 윤현근, "영상매체를 통한 창의미술교육에 대한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pp.11-12, 2010.
  7.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740156
  8. R. Steiner, "Anthroposophische Menschenkunde und Padagogik," 치료교육학 코스, pp.93-118, 2001.
  9. 충청남도 교육청,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 관련 좋은 책- 초등학교 6학년, 충청남도 교육청, 2003.
  10. http://ko.wikipedia.org/wiki/7%EC%B0%A8_% EA%B5%90%EC%9C%A1%EA%B3%BC%EC %A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