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Alcohol-use Disorders among Firemen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와 음주사용장애와의 관련성

  • 조선덕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과) ;
  • 박재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직업환경의학교실)
  • Received : 2012.01.18
  • Accepted : 2012.02.1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Cross-sectional study was carried out on 456 firemen in Gunpo region in Suwon as the subject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and low risk job stress groups, and AUDIT among firemen. The level of job stress was measured by using KOSS-SF, PTSD by using IES-R-K and drinking level by using AUDIT-K to categorize the subjects into AUDIT group 85(23.7%) and normal group 274(76.3%). When the median value of job stress of all the working people of the country was used as the reference level, 124 subjects belonged to high risk group (34.5%) and 235 subjects to low risk group (65.5%). From the sociodemographic perspective,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UDIT in accordance with the age, smoking, educational and income levels. In job characteristic, work duration, type of work, work time and numbers of cases impact the increase in drinking. However, PTSD has not illustrated significant relevance with AUDIT. High level of association was illustrated between the job-stress and drinking level in the domains of interpersonal conflict, inadequate rewards and insufficient job control. Job stress was deeme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determining the drinking level with high level of importance in interpersonal conflict (or=11.089, 95% CI:4.985~24.669), inadequate rewards(or=3.598, 95% CI:1.732~7.472), and insufficient job control(or=2.232, 95% CI:1.199~4.156).

본 연구는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고위험군과 저위험군에 따른 음주사용장애와의 관련성을 규명하려는 목적으로 수원, 군포지역 소방공무원 45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단면연구이다. 직무스트레스는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KOSS-SF)척도,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개정판(IES-R-K), 음주수준은 알코올 간이선별검사법(AUDIT-K)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음주사용장애군 85명(23.7%), 정상군 274명(76.3%)으로 분류하였다. 직무스트레스를 전국 근로자 중위수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 고위험군 124명(34.5%), 저위험군 235명(65.5%) 이었다. 인구사회학적 영역에서는 연령, 흡연, 교육수준, 가구소득에 따라서 음주사용장애와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직무특성 영역에서는 근무경력, 근무부서, 근무형태, 출동건수가 음주수준을 증가시켰다. 외상후스트레스장애는 음주수준에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직무스트레스는 관계갈등, 보상부적절, 직무자율 영역에서 음주수준과 관련성이 높았다. 직무스트레스가 음주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관계갈등(or=11.089, 95% CI:4.985~24.669), 보상부적절(or=3.598, 95% CI:1.732~7.472), 직무자율(or=2.232, 95% CI:1.199~4.156) 영역에서 그 중요성이 높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성재 (1996) 알코올리즘 재발에 관한 이론적모형 구축, 박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2. 김종성, 오미경, 박병강, 이민규, 김갑중, 오장균 (1999) 한국에서 AUDIT를 통한 알코올리즘의 선별기준, 대한가정의학회지, 제 20권, 제9호, pp. 1152-11529
  3. 강경화, 이강숙, 김석일, 맹광호, 홍현숙, 정춘화 (2001) 일부 소방공무원의 음주와 직무스트레스와의 관련성,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제13권, 제4호, pp. 401-412
  4. 김건형, 김정원, 김성훈 (2006) 일부 소방공무윈의 직무스트레스로 인한 사회심리적 건강, 피로도 및 수면영향 연구,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8권, 제3호, pp. 232-245.
  5. 강상경, 권태연 (2008) 우울과 음주의 관계에 대한 연구 : '긴장감소가설'과 '독성가설'에 대한 검증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연구회, 제36호, pp. 253-280.
  6. 보건복지부 (2006)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7. 신명식 (2002) 한국성인의 문제음주행태 관련요인 분석, 한국알코올과학회, 제3권, 제1회, pp. 111-130.
  8. 신성원 (2006) 경찰공무원의 일상적, 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원광대학교.
  9. 소방방재청 (2008) 소방공무원 외상후스트레스 실태 분석 연구, 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10. 이병욱, 이충헌 (2000) 한국어판 알코올 사용장애 진단검사 (AUDIT: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의 개발: 신뢰도 및 타당도 검사, 한국중독정신의학, 제4권, 제2회, pp. 83-92.
  11. 은헌정, 권태완, 이선미, 김태형, 최말례, 조수진 (2005) 한국판 사건충격척도 수정판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44권, 제3호, pp. 303-310.
  12. 윤석환, 최숙정, 신동훈, 정인성, 하정숙 (2007) 일부 지하철 근로자의 소방공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 비교,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9권, 제3호, pp. 179-186.
  13. 유지현, 박기환 (2009)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심리 사회적 변인들 : 우울, 불안, 대처방식 및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제28권, 제3호, pp. 833-852.
  14. 조길영 (1998) 소방공무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경상남도 하위직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상대대학교.
  15. 진정화 (2008) 군 후방병원 근로자들의 직무스트레스 정도와 관련 요인: 한국형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 단축형을 이용하여, 석사학위논문, 한림대학교
  16. 장세진, 고상백, 강동묵, 김성아, 강명근, 이철갑, 정진주, 조정진, 손미아, 채창호,김정원, 김정일, 이형수, 노상철, 박재범, 우종민, 김수영, 김정연, 하미나, 박정선, 이경용, 김형렬, 공정옥, 김인아, 김정수, 박준호, 현숙정, 손동국 (2005) 한국인 직무스트레스 측정도구의 개발 및 표준화, 대한산업의학회지, 제17권, 제4호, pp. 297-317.
  17. 장세진, 고상백, 강명근, 차봉석, 박종구, 현숙정, 박준호, 김성아, 강동묵, 정성실, 이경재, 하은희, 하미나, 우종민, 조종진, 김형수, 박정선 (2005) 우리나라 직장인 스트레스의 역학적 특성, 예방의학회지, 제38권, 제1호, pp. 25-37.
  18. 최경숙 (2001) 일부 산업재해 환자들에서 외상후 스트레스장애,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19. 한동훈, 김수영, 김주혁, 천성수 (2009) 소방공무원과 그 외 대상의 외상후스트레스 관련 비교, 사회안전학회발표논문집, 제1권, 제1호.
  20. 통계청 (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제4기 2년차 보고서.
  21. Alexander, L.L. and Beck, K. (1990)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Journal of Advanced Nurses, Vol. 15, No. 7, pp. 843-849. https://doi.org/10.1111/j.1365-2648.1990.tb01916.x
  22. Birch, D. Ashton, H. and Kamail, F. (1998) Alcohol, drinking, illicit drug use, and stress in junior house officers in nroth-east England. Lancet, Vol. 352, pp. 785-786.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0679-4
  23. Carsten Spitzer, Manuela Dudeck, Heike Liss, Stefan Orlob, Michael Gillner, Harald J. Freyberger (2001)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forensic inpatients,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 Psychology, Vol. 12 No. 1 , pp. 63-77. https://doi.org/10.1080/09585180121757
  24. Dayliy, D.C. and Marlatt, G.A. (1997) Managing your drug or alcohol problem, Therapy Works.
  25. Guidotti, T.L. (1992) Human factors in firefighter: ergonomic-cardiopulmonary and psychpgenic stress-related issuse, Int Arch Occup Environ Health, Vol. 64, No. 1, pp. 1-12. https://doi.org/10.1007/BF00625945
  26. Hammen, C. (1991) Generation of stress in the course of unipolar depression, Journal of bnormal Psychology, Vol. 100, pp. 555- 561. https://doi.org/10.1037/0021-843X.100.4.555
  27. Heinrichs, M., Wagner, D., School, W., Soravia, L., Hellhammer, D. and Ehlert, U. (2005) Predicting posttraumatic stress symptom from pretraumatic risk factors: A 2-year prespective follow-up study in fighters, Am J Psychiatry, Vol. 162, No. 12, pp. 2276- 2286. https://doi.org/10.1176/appi.ajp.162.12.2276
  28. Lindquist Thalina L. Beilin Lawrence J. Knuiman Matthew (1997) Infuemce of lifestyle, coping, and blood pressure in men and women, Hyperension, Vol. 97, No. 29, pp. 1-7.
  29. Leon Grunberg, Sarah Moore, Edward Greenberg (1999) Work stress and self reported alcohol use: the moderating role of escapist reasons for drinking, Journal of occupation health psychology, Vol. 4, No. 1, pp. 29-36. https://doi.org/10.1037/1076-8998.4.1.29
  30. North, C., Tivis, L., McMillen, J., Pfefferbaum, B., Spitaznagel, E., Cox, J., et al. (2002) Psychiatric disorders in rescue workers after the Oklahoma City bombing, Am J Psychiatry, Vol. 159, No. 5, pp. 857-859. https://doi.org/10.1176/appi.ajp.159.5.857
  31. Norman, S, B, Tate, Anderson, KG & Brown, S, A (2007) Do truma history and PTSD symptoms influence addiction relapse context? Drug and Alcohol Dependence, Vol, 33, pp. 25-32.
  32. Regehr, C., Hill, J. and Glancy, G. (2000), Individual predictors of traumatic reactions in firefighter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Vol. 188, No. 6, pp. 333-339. https://doi.org/10.1097/00005053-200006000-00003
  33. San Jose, Van Oers JA, Van de Mheen H., Garretsen, H.F. and Mackenbach, J.P. (2000), Drinking patterns and health outcomes; occasional vresus regular drinking, Addiction, Vol. 95, pp. 865-872. https://doi.org/10.1046/j.1360-0443.2000.9568654.x
  34. Weiss, D.S. and Marmar, Cr (1996) The Impact of Event Scal- Revised, In Wilson JP, Keane TM(eds) Assessing Psychological Truma and PTSD. Guilford Press, Newyork, pp. 399-411.

Cited by

  1. Incident shock and Related Factors in Rescue Workers vol.14, pp.5,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5.22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