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f Long-Term Trends in Lake Water Quality Observations

호소 수질자료의 장기변동 추세분석

  • 김응석 (선문대학교 토목공학과) ;
  • 윤조희 (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
  • 이재운 (국립환경과학원 낙동강물환경연구소) ;
  • 최현일 (영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Received : 2011.12.09
  • Accepted : 2012.01.10
  • Published : 2012.02.29

Abstract

Most lakes are more than 50 years old in Korea, and the vulnerability to water pollution in lake areas has increased due to the increase of inflow pollutant loads caused by human activities. This study has investigated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for the six lakes in Geum River basin through an analysis of long-term water quality trends. It is observed that most results from the six lakes show unstable periodicities in long-term water quality observations and all lakes have low water quality with a level IV and above. Water quality improvement is required for the four lakes except Tapjeong Lake and Boryeong Lake, and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s are urgently needed especially for Sapgyo Lake where the water quality has been continuously deteriorating. On the other hand, Boryeong Lake well managed for water control and use in multi-purpose dam operations keeps water quality high compared with other lakes under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in this study can make a contribution to the water quality management plan incorporating long-term seasonal water quality changes.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의 호소가 50년 이상 되었으며 인간 활동으로 인한 오염물질 유입량의 증가로 호수지역의 수질 오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금강수계 6개 지점의 호소를 대상으로 장기간의 수질자료의 추세를 분석하여 호소 수질특성을 분석하였다. 추세분석 결과 6개 호소의 대부분이 불안정한 주기성을 나타내었으며, 6개 저수지 모두가 수질등급 이상으로 수질이 좋지 않았다. 6개 호소 중 탑정지와 보령호를 제외한 나머지 4개 호소의 경우는 수질개선이 필요한 상태이며 특히, 삽교호의 경우는 수질이 지속적으로 악화되어 수질관리가 절실히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보령호의 경우는 다목적댐으로 이수 및 취수를 위해 관리되고 있어 다른 호소와 비교해서 상대적으로 좋은 수질을 유지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장기적인 호소의 계절적 수질변화특성을 고려한 수질관리 대책에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보현 (2006) 시계열분석을 이용한 수질오염 변화 연구, 학위논문(석사), 계명대학교 대학원.
  2. 서동일, 이은형 (2002) 용담댐의 영향분석을 위한 대청호 수질모델링,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6호, pp. 737-751. https://doi.org/10.3741/JKWRA.2002.35.6.737
  3. 오광영, 김진수, 송창섭, 권성일, 송철민 (2007) 충북지역 농업용 지수지의 오염실태 조사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pp. 987-992.
  4. 유지연 (2005) 시화호 수질경향분석과 시계열모형에 관한 연구, 학위논문(석사),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5. 윤정희, 유영복, 이재운 (2007) 금강수계 호소와 하천의 수질특성 에 관한 통계분석,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 2007공동추계학술발표회 논문집.
  6. 이재운, 김지연, 현길수 (2010) 시공간적 금강 유역의 수질변동분석, 한국수처리학회 논문집, 한국수처리학회, 제18권, 제3호, pp. 79-86.
  7. 이혜진, 서정관, 정현기, 탁보미, 이재관 (2010) 주남저수지 유역의 오염원과 수질변동에 따른 식문플랑크톤 군집, 한국환경과학회지, 제19권, 제11호, pp. 1445-1456.
  8. 임창수, 신재기 (2002) 삽교호유역의 수질자료를 이용한 군집분석 및 요인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5권, 제2호, pp. 141-159.
  9. 정세웅 오정국, 고익환 (2005) CE-QUAL-W2 모형을 이용한 저수지 탁수의 시공간분포 모의,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8호, pp. 655-664.
  10. 조현경 (2011) 낙동강 주요지점에서 유량-수질의 관련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과학회지, 제20권, 제3호, pp. 373-384.
  11. 정용락, 류환, 김유경, 예령, 정세웅 (2007) 선택취수에 따른 대청호 탁수 조절효과 및 수질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40권, 제8호, pp. 601-615.
  12. 환경부 (2009) 호소환경조사지침.
  13. 한국농어촌공사 (2010) 농업용저수지 유형별 수질예측모델 적용방안 연구.

Cited by

  1. Water Quality Improvement Plans based on the Analysis of Pollutant Discharge Characteristics and Water Quality Modelling of Seokmun Reservoir Watershed vol.39, pp.10, 2017, https://doi.org/10.4491/KSEE.2017.39.10.581
  2. Patterns and Trends of Water Level and Water Quality at the Namgang Junction in the Nakdong River Based on Hourly Measurement Time Series Data vol.27, pp.2, 2018, https://doi.org/10.5322/JESI.2018.27.2.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