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Programs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방재교육훈련 활성화방안 연구

  • 서정표 (연세대학교 대학원, 소방방재청) ;
  • 조원철 (연세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부)
  • Received : 2012.01.12
  • Accepted : 2012.03.14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Education on disaster prevention, one of the Non-structural Disaster Countermeasures, is being carried out by many institutions such as the "Central Civil Defense and Disaster Prevention Institute", other central or local government and related-institutions, in compliance with Article 34 of the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ic Act.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however, has been facing a lot of problems, as people still do not have enough educational opportunities to expand their skills in the field of disaster prevention. For example, lack of infrastructure such as educational facilities, experimental spaces and equipment has been an issue as well as the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s such as tabletop exercise, role play, and field experience have not yet settled down. In other hand, traditional teaching methods such as supplier-oriented education are still the ones prevailing, therefore, it is not easy to obtain good results in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In this sen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problems in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and sought ways to revitalize specific programs as means of enhancing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as followings. First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enactment of 'Act for Revitalizing Education and Training Experts in Disaster Prevention'. Secondly, it presents a way of enhancing educational infrastructure through the organizational extension of the existing National Disaster Management Institution. Lastly, it suggests the extension of consumer oriented educational curriculums and participatory learning methods along with constant feed-back system in disaster prevention education.

비구조적 재해대책의 주요 수단 중 하나인 방재교육훈련은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 34조를 근거로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이 주축이 되어 중앙 및 지방자치단체와 유관기관 등에서 방재관련 교육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법적 제도적 장치의 부재로 말미암아 교육기회의 부족과 전문성이 없고 업무지식 및 경험부족 등으로 인해 미숙한 재해대처가 발생되고 있다. 또한 시설 환경적 측면에서 교육훈련시설, 안전체험 공간, 기자재 등 인프라가 열악하다. 한편, 교육 운영측면에서도 토론식 탁상훈련(TTX), 역할연기, 현장체험 등 참여형 교육보다는 전통적인 강의기법과 공급자 위주의 교육운영 등으로 인해 교육훈련의 성과가 저조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방재역량 강화를 위한 일환인 방재교육훈련의 활성화 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법적 제도적인 측면에서 방재교육훈련을 총괄 조정 가능토록 가칭 "방재교육훈련 활성화 및 전문인력 양성에 관한 법률" 제정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며, 둘째, 시설 환경적인 측면에서는 교육훈련을 담당한 조직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도록 가칭 "국립방재교육인력원"으로의 기구의 확대와 교육인프라 보강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교육운영 측면에서는 수요자 중심의 교육커리큘럼, 참여형 교육 기회의 확대와 함께 지속인 교육훈련 환류장치의 마련 등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감사원 (2003) 자연대비실태 감사결과.
  2. 국무총리실 재난관리 개선 민관합동TF (2011) 기후변화 대응 재난관리개선 종합대책(안).
  3. 김복자 (2008) 지방공무원의 교육훈련 실태와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아주대학교.
  4. 김양수 (2007) 지방공무원 교육훈련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목포대학교
  5. 소방방재청 (2010.01) 소방방재 교육연구시설운영 활성화 방안연구 (2차보고서).
  6. 소방방재청/인천대학교위기관리센터 (2010.03) 방재.민방위분야 교육연구시설 운영활성화 방안 연구.
  7. 정기국회 정책자료집 (2007) 대국민 방재의식 제고 및 역량강화를 위한 방재안전교육 및 전문인력양성의 필요성, 국회행정자치위원회 국회의원 박기춘.
  8.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2009) 선진 일류 방재교육기관 도약을 위한 중장기발전대책.
  9.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2011) 2011년도 교육훈련계획.
  10. EM-DAT The International Disaster Database Center for Research on the Epidemiology of Disaster-CRED, http://www.emdat.be/database

Cited by

  1. A Study on the Current Condition and Development Plan of Disaster Relief in Korea vol.13, pp.5, 2013, https://doi.org/10.9798/KOSHAM.2013.13.5.1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