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Materials and Incombustible Function of Light-weight Concrete Panel used Bottom Ash

Bottom Ash골재 사용을 위한 제조기술 및 이를 사용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난연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 오재훈 (한국국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 박선영 (한국국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 이재욱 (한국국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 박효석 (한국국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 문종욱 (한국국제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 Received : 2011.10.20
  • Accepted : 2012.03.1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The higher and bigger buildings are, the huger the scale of fire is. As the height of buildings gets greater, the amount of lightweight concrete increases to be used for dividers and separation wall taking the weight of the building into conside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using only materials for weight lightening, at a fire, expansion, explosive fracture and emission of toxic gas would occur, so damage of life and property is concerned. For this reason, in this research, we studied light weight materials which used Bottom Ash, a byproduct of a thermoelectric power plant, as main materials, instead of imported light weight materials. Through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coating more than 5 mm Bottom Ash particle with less than 3 mm Bottom Ash particle, the air hole, the advantage of Bottom Ash, is maintained, and the absorption, the disadvantage of it, is improved. As a result, it satisfied all the requirement such as the absorption, compressive strength, and unit weight like the basic light weight concrete panel, and the absorption is improved by more than 50%, compared to Non-Coating Bottom Ash. In the experiment of incombustibility, we also studied great manufacturing technology of light-weight-concrete passed through KS F ISO 1182,2271(incombustible materials).

건물의 고층화 대형화에 따라 화재규모 또한 대형화 되고 있다. 고층건물일수록 건물의 하중을 감안하여 경계벽 및 칸막이벽에 적용하기 위한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사용이 늘어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화재안전 성능은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경량화만을 위한 골재를 사용한 경우 화재시 연소의 확대 및 폭렬, 유독가스방출 등이 발생되어 인명 및 재산의 피해가 우려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입산 경량골재를 대채하여 화력발전소 부산물인 Bottom Ash를 주 골재로 사용하는 경량골재를 연구하였다. 5 mm이상의 Bottom Ash 입자에 3 mm이하 Bottom Ash 입자를 Coating하는 제조기술을 통하여 Bottom Ash의 장점인 기공을 유지하고, 단점인 흡수율을 개선 시켯으며. 난연성능 평가에서 KS F ISO 1182,2271(불연재료시험)을 통과 하는 난연성을 확보한 경량콘크리트 제조기술을 연구하였다. 그리고 흡수율, 압축강도, 단위중량 등에서 기본적인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성능을 만족하였고, Non-Coating Bottom Ash에 비해 흡수율을 50%이상 개선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이승한 (1995) Bottom Ash를 이용한 경량기포콘크리트의 절전도 특성, 콘크리트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제7권, 제2호.
  2. 문종욱 (2002) 고강도 플라이애쉬 경량모르타르 개발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 최세진 (2003) Bottom Ash를 잔골재 대체재로 사용한 콘크리트의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학술발표논문집, pp. 19-24.
  4. 조병완 (2004) 알칼리 활성화 석탄회(Fly Ash, Bottom Ash) 인공경량골재 및 콘크리트 적용,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제16권, 제6,호 pp. 751-757.
  5. 김형두 (2006) 화재시 고강도 콘크리트의 폭열현상에 관한 고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0권, 제2호.
  6. 박대오 (2007) 경량골재 종류 변화에 따른 경량콘크리트의 특성 연구.
  7. 정진연 (2007) 축소시편을 이용한 Bottom Ash 경량콘크리트 패널의 차음성능평가.
  8. 김강덕 (2007) 석탄 바닥재와 점토를 이용한 인공경량골재 제조, 한국결정성장학회지, 제17권, 제6호, pp. 277-282.
  9. 권인규 (2009) 건축물 내화성능평가 표준화 로드맵 개발,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3권, 제4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