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nfluence of Movie Promotion Exposure on Viewers' Satisfaction: Focusing on Motive and Involvement in the case of 'Snowpiercer'

영화 프로모션 노출이 영화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봉준호의 <설국열차, 2013>에 대한 관람 동기와 관여도를 중심으로

  • 최배석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문화예술콘텐츠학과)
  • Received : 2013.10.25
  • Accepted : 2013.11.07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individuals' exposure to movie-promotion activities offered by a movie-maker influence their satisfaction of viewing it. This study also explored whether individuals' motive for viewing a movie and personal involvement with it have an effect on their satisfaction of viewing it. The data from nationwide survey with a stratified sampling were analyzed (N = 451). This study found that (1) The more frequent exposure to movie-promotion activities,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a movie; (2) The stronger motive to view a movie,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it; (3) The higher involvement with a movie, the greater satisfaction of viewing it; (4) In the strong motivated group and the high involved group, the influence of individuals' exposure to the movie promotion activities is effective for individuals' satisfaction of viewing it. And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영화 프로모션 노출이 관객의 영화 이용 충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나를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영화 <설국열차>를 분석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영화 프로모션에 대한 관객의 노출 빈도, 영화에 대한 관람 동기, 일반적인 영화에 대한 관여도 등의 변인이 영화에 대한 관람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성별, 학력별, 지역별 비례할당(proportionate allocation) 방식에 근거해 전국적으로 표본을 수집해 이메일 설문조사(N = 451)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설국열차>에 대한 프로모션 노출의 빈도가 증가할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감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동기가 강할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커졌다. 셋째, 영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을수록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는 커졌다. 넷째, <설국열차>에 대한 프로모션 노출의 빈도는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동기가 강한 집단과 영화에 대한 관여도가 높은 집단에서 <설국열차>에 대한 관람 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이론적 현실적 함의와 향후 과제를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휴종, 한국영화산업 돌파는 없는가,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1999.
  2. A. Hauser, 백낙청 역(1999), The social history of art,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서울: 창작과 비평, 1953.
  3. 박승현, 정완규, "한국 영화시장의 흥행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2006-2008년 개봉작품을 중심으로", 언론과학연구, 제9권, 제4호, pp.243-276, 2009.
  4. 정윤희, "경험재의 지속적 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험요인과 비 경험요인을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5권, 제1호, pp.49-80, 2010.
  5. 이명훈, 이영환, 박성훈, "외부재 및 공공재 정의의 조화", 한국재정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08.
  6.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306
  7. 예종석, 김동욱, "인터넷 이용충족, 플로우 및 개인적 성향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학 연구, 제14권, 제2호, 2003.
  8. A. H. Eagly and S. Chaiken, "The Psychology of Attitudes," Public Opinion Quarterly, Vol.17, No.3, 1993.
  9. L. Donohew, P. Palmgreen, and J. D. Rayburn, "Social and psychological origins of media use: A lifestyle analysis," Journal of Broadcasting & Electronic Media, Vol.31, pp.255-278, 1987. https://doi.org/10.1080/08838158709386663
  10. 남호현, 커뮤니케이션 매체에 의한 영화정보가 소비자지식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11. B. A. Austin, "Film of an art Film Audience," Journal of Communication, Vol.34, pp.74-87, Winter, 1981.
  12. V. Mahagan, E. Muller, and R. A. Kerin, "Introduction Strategy for New Products with Positive and Nagative Word-of-Mouth," Management Science, Vol.30, pp.1389-1404, 1984. https://doi.org/10.1287/mnsc.30.12.1389
  13. R. J. Faber and T. C. O'Guinn, "Effect of Media Advertising and other Source on Movie Selection," Journalism Quaterly, pp.371-377, 1984.
  14. C. Janiszewskic, "Preattentive Mere Exposure Effect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20, No.3, 1993.
  15. 김명소, 한영석, "합리적 행위이론과 계획된 행동이론에 의한 온라인 구매행동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3호, pp.17-32, 2001.
  16. M. Fishbein and I. Ajzen,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Addison-Wesley, MA: Reading, 1975.
  17. B. A. Austin and T. F. Gordon, "Movie Genres : Toward a Conceptualized Model and Standardized Definitions," In Austin, B. A.(Eds), Curent research in film : Audience, Economics and Law, New York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87.
  18. B. R. Litman, "Predicting Suess of Theoretical of Movies," Journal of Popular Culture, Vol.16, pp.159-173, 1983. https://doi.org/10.1111/j.0022-3840.1983.1604_159.x
  19. B. R. Litman and L. S. Kohl, "Predicting Financial success of motion picture: The 80's Experience,"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2, pp.35-50, 1989. https://doi.org/10.1080/08997768909358184
  20. B. A. Austin and T. F. Gordon, "Movie Genres : Toward a Conceptualized Model and Standardized Definitions," In Austin, B. A.(Eds), Curent research in film : Audience, Economics and Law, New York :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1987.
  21. J. Eliashberg and M. S. Sawhney, "Modeling Goes to Hollywood: Predicting Individual Differences In Movie Enjoyment," Management Science, Vol.40, pp.1151-1173, 1994(9). https://doi.org/10.1287/mnsc.40.9.1151
  22. E. C. Hirshman and M. B. Holbrook, "Hedonic onsumption : Emerging Concepts, Methods, and Proposi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46(sum), pp.2-101, 1982.
  23. M. Kindem, Hollywood's movie star system; A historical overview, In Kindem & Gotham(Eds.), The American Movie Industry: The Business of motion Picture, Southern Illinois Univ., pp.79-94, 1982.
  24. W. T. Wallace, A. Siegerma, and M. B. Holbrook, "The Role of Actors and Actresses in the Success of Film ; How Much is a Movie Star Worth," Journal of Cultural Economics, Vol.17, pp.1-27, 1993(6).
  25. 신선미, 영화 관람의 기대형성 및 평가, 구전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26. S. Sochay, "Predicting The Performance of Motion Pictures," Journal of Media Economics, Vol.7, pp.1-20, 1994.
  27. R. E. Petty, J. T. Cacioppo, and D. W. Schumann,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advertising effectiveness: The moderating role of involvemen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0, pp.135-146, 1983. https://doi.org/10.1086/208954
  28. J. G. Delia, "Constructivism and the study of human communication," Quarterly Journal of Speech, Vol.63, pp.66-83, 1977. https://doi.org/10.1080/00335637709383368
  29. J. T. Cacioppo and R. E. Petty, "The Meed for Cogn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ehology, Vol.42, No.1, pp.116-131, 1982. https://doi.org/10.1037/0022-3514.42.1.116
  30. H. M. Lyon, M. Startup, and R. P. Bentall, "Social cognition and the manic defense: Attributions, selective attention, and self-schema in bipolar affective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Vol.108, pp.273-282, 1999. https://doi.org/10.1037/0021-843X.108.2.273
  31. 김영석, 설득 커뮤니케이션, 나남, 2010.
  32. 김성훈, "제품관여도 및 제품지식에 따른 온라인 구전정보 활용 연구", 광고학연구, 제14권, 제1호, pp.257-258, 2003.
  33. 김수범, 영화 마케팅 PR론, 나남출판, pp.33-34, 2005.
  34. 박찬욱, 문병준, "관여도와 제품지식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 제품유형과 제품지식 측정방법의 조정적 역할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11권, 제1호, pp.75-99, 2000.
  35. R. E. Petty, J. T. Cacioppo, and R. Goldman, "Personal involvement as a determinant of argument-based persuas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pp.847-855, 1981. https://doi.org/10.1037/0022-3514.41.5.847
  36. 최문성, 소비자의 영화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37. Y. S. Sung, "Effect of Product Familiarity on Consumer Decision Marking: A Longitudinal Experimental Study of New Product Purchas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Vol.5, No.2, pp.128-141, 1996.
  38. S. S. Kirschenbaum, "Influence of Experience on Information Gathering Strategi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77, No.3, pp.343-352, 1992. https://doi.org/10.1037/0021-9010.77.3.343
  39. S. W. Kozlowski and J. K. Rater, "Information Acquisiton Processes: Jracing the Effects of Prior Knowledge, Performance Level, Search Constraint, and Memory Demend,"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Vol.49, pp.282-301, 1991. https://doi.org/10.1016/0749-5978(91)90052-U
  40. M. Brucks, "The Effects of Product Class Knowledge on Information Search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pp.1-16, 1985.
  41. E. J. Johnson and J. E. Russo, "Product Familiarity and New Informa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8, pp.151-155, 1981.
  42. G. N. Punj and R. A. Staelin, "Model of Consumer Information Search Behavior for New Automoblil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9, pp.336-380, 1983.
  43. J. R. Bettman and C. W. Park, "Effect of Prior Knowledge and Experience and Phase of Choice Process on Consumer Decision Processes: A Protocol Analysi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7, pp.234-248, 1980. https://doi.org/10.1086/208812
  44. B. T. Johnson, "Effects of involvement on persuasion: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Vol.106, pp.290-314, 1989. https://doi.org/10.1037/0033-2909.106.2.290
  45. J. L. Sherry, "Flow and media enjoyment," Communication Theory, Vol.14, pp.392-410, 2004.
  46. T. E. Uggiero, "Uses and gratifications theory in the 21st century," Mass Communication and Society, Vol.3, pp.3-37, 2000. https://doi.org/10.1207/S15327825MCS0301_02
  47. J. Eliashberg and S. M. Shuganm, "Film Critics; Influences or Predictors?," Journal of Marketing, Vol.61, pp.67-78, 1997(4).
  48. J. R. Bettman, E. J. Johnson, and J. W. Payne, Consumer Decision Marking, Handbook of Consumer Behavior, Pretic-hall, Inc., 1991.
  49. 김용, 영화의 관람 전 태도형성 요인과 관람 만족의 선행 및 결과 변수에 관한 연구,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50. 도선재, 온라인 구전정보의 방향성, 관여도, 사전 지식이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신문방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51. 로버트 C. 홀럽, 최상규 옮김, 수용의 미학, 예림기획, 1999.
  52. 양윤, 김혜영, "단순노출이 소비자 태도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2권, 제1호, pp.43-68, 2001.
  53. 양윤, "인지욕구, 자기감시 및 사용상황이 소비자 정보 획득 과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9권, 제2호, pp.61-80, 1995.
  54. 이석원, SNS정보의 특성요인이 영화 관람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중앙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55. 이재석, "Pine과 Gilmore의 경험경제이론에 따른 입체 영화체험; 체험가치 및 만족도에 관한 연구; 영화'아파타'를 중심으로", 관광.레저연구, 제23권, 제5호, pp.281-298.
  56. 이혜진, 반응양식, 사전지식, 인지욕구가 소비자 의사결정 전략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7.
  57. 찰스 애프론, 김갑의 역, 영화와 정서, 영화진흥공사, (주)새한정보, 1993.
  58. J. W. Alba and J. W. Hutchinson, "Dimensions of Consumer Experti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13, p.41, 1987(3).
  59. J. M. Linton and J. A. Petrovitch, "The Application of Consumer Information Acquisition Approach to Movie Selection," Current Research in Film, pp.24-45, 1988.
  60. C. W. Park and U. P. Lessing, "Familarity and Its Impact on Consumer Decision Biases and Heuristic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8, pp.223-230, 1981. https://doi.org/10.1086/208859
  61. 안성아, 김태준, "영화 시장에서 광고효과 검증에 관한 연구", 문화경제연구, 제7권, 제1호, pp.109-126, 2004.
  62. 이종철, "관객의 영화선택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마케팅 변수에 관한 연구", 영화연구, 제23권,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