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Effect of the Valence of Best Reply on the Conformity of General Reply

베스트 댓글의 방향성이 일반댓글의 동조효과에 미치는 영향

  • 문광수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 김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 오세진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Received : 2013.10.14
  • Accepted : 2013.12.02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valence for best reply on the conformity of general reply in online environment. A total of 194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participant assigned randomly in three experimental groups(positive, negative, and control). Participants were asked to read online news article, best reply and general 6 replies, and then, to write their own opinions in the reply section. In addition, the level of self-expression and issue commitment were measured. The contents of reply participants written was categorized three valence(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by the four experimenters' judgment. The mean of inter-rater reliability was 84.9%.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vel of self-expression and issue commitment were comparable across experimental conditions. However, the result of cross-table analysis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ence of general reply across experimental conditions.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valence of general reply between positive and negative experimental group and positive and control group, but there i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egative and control group.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뉴스에 대한 베스트 댓글이 일반 댓글의 동조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었다. 참가자는 총 194명이었으며, 참가자들은 통제집단(61명), 긍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66명), 부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67명) 중 한 집단에 무선할당 되었다. 참가자들은 온라인 뉴스 기사와 긍정적 또는 부정적인 베스트 댓글을 읽고 하단에 제시된 댓글 난에 자신의 의견을 댓글 형식으로 작성하였으며, 주제 관여도와 자기표현 정도를 묻는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참가자들이 직접 작성한 댓글은 4명의 연구자가 읽은 뒤 댓글 방향성을 긍정, 부정, 중립으로 분류하였으며, 평가자간 신뢰도는 평균 84.9%였다. 분석 결과, 실험 집단에 따른 주제 관여도와 자기표현 정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어, 실험 집단 간 동질성이 확보되었다. 그리고 교차분석 결과, 실험 집단에 따라 긍정, 부정, 중립적 댓글 빈도가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증 결과, 통제집단과 긍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 그리고 긍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과 부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 간 댓글 방향성에는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었으나, 통제집단과 부정적 베스트 댓글 집단 간 댓글 경향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방송통신위원회, 인터넷이용행태가 고정형에서 모바일 중심으로 변화, 2012.
  2. 이재신, 이민영, "댓글 읽기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정보학보, 제42권, pp.249-279, 2008.
  3. 김지영, "인터넷 주객전도", 동아일보, 2005(12).
  4. 정일권, 김영석, "온라인 미디어에서의 댓글이 여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여론동향 지각과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49권, 제1호, pp.29-56, 2006.
  5. 김병철, "인터넷 신문 댓글의 상호작용적 특성 분석", 사이버커뮤니케이션학보, 제14권, pp.147-180, 2004.
  6. 안태형, "인터넷 토론 게시판 댓글의 유형 연구", 우리말연구, 제26권, pp.311-333, 2010.
  7. 천현숙, 마정미, "TV 광고 크리에이티브 요소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TV CF. co. kr 의 광고 댓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14 권, 제4호, pp.99-14, 2012.
  8. K. M. Elliott, Understanding consumer-toconsumer influence on the web, Doctoral Dissertation, Duke University, 2002.
  9. 박은아, 김영우, 서현숙, "온라인 사용 후기 정보의 영향력: 제품 유형에 따른 차이 분석",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pp.584-585, 2007.
  10. 이승경, "네티즌 80%, 기사와 댓글 함께 읽는다", 미디어 오늘, 2006(9).
  11. 박창호, "폭력과 우리 사회; 인터넷 댓글과 폭력성", 사회 이론, 제42권, pp.93-122, 2012.
  12. 이재신, 성민정, "온라인 댓글이 기사 평가에 미치는 영향: PR 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제9권, 제4호, pp.7-45, 2007.
  13. 한국인터넷 진흥원, 2006년 인터넷주제심층조사 요약보고서(웹 2.0 시대의 네티즌 인터넷 이용 현황: 참여와 공유의 인터넷), 2006(8).
  14. C. A. Kieslcr and S. B. Kiesler, Conformity. Reading, MA: Addison-Wcslcy, 1970.
  15. M. L. Platt and S. A. Huettel, "Risky business: the neuroeconomics of decision making under uncertainty," Nature Neuroscience, Vol.11, No.4, pp.398-403, 2008. https://doi.org/10.1038/nn2062
  16. S. E. Asch, Social Psychology, New York: Prentice Hall, 1952.
  17. S. E. Asch, "Opinions and social pressure," Scientific American, Vol.19, pp.31-35, 1955.
  18. A. Dino, S. Reysen, and N. R. Branscombe, "Online interactions between group members who differ in statu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Vol.28, pp.85-93, 2009. https://doi.org/10.1177/0261927X08325916
  19. R. Micheal and E. Oskar, "Conformity on the internet-The role of task difficulty and gender differe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28, pp.1587-1595, 2012. https://doi.org/10.1016/j.chb.2012.03.023
  20. E. J. Lee, "When and how does depersonalization increase conformity to group norm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Communication Research, Vol.33, pp.423-447, 2006. https://doi.org/10.1177/0093650206293248
  21. E. J. Lee and C. Nass, "Experimental tests of normative group influence and representation effects in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when interacting via computers differs from interacting with computer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Vol.28, pp.358-364, 2002.
  22. 김경모, "온라인 뉴스 확산과 여론 형성", 언론과학연구, 제12권, 제4호, pp.35-72, 2012.
  23. 박성호, "여론형성공간으로서 인터넷 자유게시판의 저널리즘적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언론과학연구, 제5권, 제3호, pp.191-226, 2005.
  24. 최동성, 최성은, 최용준, "인터넷 포털뉴스 댓글의 여론 형성과정의 특성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제8권, pp.311-358, 2008.
  25. W. Duan, B. Gu, and A. B. Whinston,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product sales-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ovie industry," Journal of Retailing, Vol.84, pp.233-242, 2008. https://doi.org/10.1016/j.jretai.2008.04.005
  26. 손지연, 어숙희, "화장품 온라인 쇼핑 시 온라인 구전 정보의 방향성이 소비자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미용학회지, 제14권, 제3호, pp.929-945, 2008.
  27. 손진아, 이은영, "인터넷 의류쇼핑에서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 중 방향성과 동의성이 소비자 구매활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제 31권, 제8호, pp.1157-1167, 2007.
  28. 박찬, 유창조, "온라인 구전커뮤니케이션이 상품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표사용후기와 답글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제17권, 제1호, pp.73-93, 2006.
  29. S. Basuroy, S. Chatterjee, and S. A. Ravid, "How critical are critical reviews? The box office effects of film critics, star-power and budgets," Journal of Marketing, Vol.67, pp.105-117, 2003.
  30. 김창희, "정치적 여론의 형성과 조작 그리고 인터넷", 지방자치연구, 제10권, pp.87-105, 2002.
  31. 음수연, "온라인 토론을 통한 여론형성", 정보통신정책, 제17권, 제22호, pp.1-24, 2005.
  32. 권상희, 김익현, "온라인 댓글 인식과 댓글 활동의 관계에 관한 연구: 댓글의 신뢰도와 인터넷뉴스 수용자의 수용경향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 학보, 제42권, pp.44-78, 2008.
  33. 고영재, 신경아, 한미정, "온라인뉴스 확산행동 혹은 의견 게재행동에 참여하는 이용자 특성에 대한 연구", 홍보학연구, 제16권, 제4호, pp.119-164, 2012.
  34. 천덕희, 이현주, "여행업의 온라인 구전정보 특성이 신뢰와 구전수용 및 확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객만족경영연구, 제14권, 제1호, pp.83-100, 2012.
  35. 신서영, 이범준, 차성미, "외식 정보 온라인 구전 특성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 정보원 신뢰도의 매개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식품영양학회지, 제24권, 제2호, pp.217-225, 2011.
  36. J. T. Cacioppo, R. E. Petty, C. F. Kao, and R. Rodriguez, "Central and peripheral routes to persuasion: An individual difference perspectiv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pp.1032-1043, 1986. https://doi.org/10.1037/0022-3514.51.5.1032
  37. 정일권, "이해당사자 집단의견과 여론의 차별성 지각의 조건에 관한 연구: 정보원, 관여도, 사회적 정체성, 자기 의견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보, 제50권, 제4호, pp.279-301, 2006.
  38. 이경렬, 김상훈, "인터넷 배너광고 정보처리과정에서 조정변인으로서의 관여도 및 인지욕구의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제52권, pp.73-90, 2001.
  39. T. S. Robertson, "Low-commitment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16, pp.19-24, 1976.
  40. R. E. Petty and J. T. Cacioppo, The elaboration likelihood model of persuasion, Communication and Persuasion, New York: Springer, pp.1-24, 1986.
  41. 나은영, "전달자의 전문성 및 메시지의 수와 질이 저, 중, 고 관여수준을 지니는 태도의 변화량과 인지반응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15권, 제1호, pp.17-37, 2001.
  42. 김한수, 소비자지식과 관여가 구전정보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1993.
  43. N. Ellison, R. Heino, and J. Gibbs, "Managing impression online: Self-presentation processes in the online dating environment",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1, No.2, pp.415-441, 2006.
  44. R. E. Albert and M. L. Emmons, Stand up, speak out, talk back!: The key to self-assertive behavior, New York: Pocket Books, 1975.
  45. 정규진, 자기표현과 외모관리 행동 및 신체노출 관련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46. R. G. Miltenberger, Behavior modification: Principles and procedures, (4th ed.), Canada: Cengage Learning, 2008.

Cited by

  1.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Online News Best Comments vol.19, pp.8, 2018, https://doi.org/10.9728/dcs.2018.19.8.14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