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Economic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Korea: Evaluated by Scale Economies and Elasticity of Substitution

우리나라 사회복지지출의 경제성과 분석: 규모의 경제와 대체탄력성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3.09.02
  • Accepted : 2013.10.25
  • Published : 2013.12.28

Abstract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iciency of social welfare expenditure in Korea by analyzing marginal productivity, scale economies, and elasticity of substitution that could be obtainable from a production function. By virtue of VES production function, such productive indicators are easily identified. If once the efficiency is revealed in the production process, it brings to a positive impact to increase the level of income. Empirical evidences are shown that the public expenditure is operated systematically in comparing with the private one. This is mainly due to the fact that the system of the public sector is well-established. It implies that an operational system for the private sector ought to be built up in a short period of time. Otherwise, increasing in expenditure by a private sector would not be helpful to improve efficiency in the production side. Accordingly, level of income.

본 연구는 사회복지정책의 운용에 있어서 형평성뿐만 아니라 효율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를 반영하여 공급측면에서의 생산구조, 즉 생산효율성, 규모의 경제 및 생산요소의 대체탄력성을 산정하여 사회복지지출이 소득증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의 경우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성장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는 하지만 생산효율성이 낮기 때문에 사회복지지출이 경제적인 생산요소로 기능하기 위해서는 개선되어야 할 부분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회복지지출의 효율성이 주로 공공지출을 통해 달성되고, 민간지출의 효율성이 낮은 특성도 복지정책에서 고려해야 할 요인이다. 이런 현상은 민간지출의 운용체계가 공공지출의 시행체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체계적이지 못한 것에 기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공지출을 중심으로 복지정책을 수행하면서 민간부문의 사회복지 관련 운용체계를 확립하는 것이 시급하다 하겠다. 즉, 민간부문에서 단순하게 사회복지지출의 양적인 확대만을 하게 되면 생산측면으로부터 비효율성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최승호, "경제적 글로벌라이제이션과 사회복지 정책간의 발전적인 관계", 사회보장연구, 제20권, 제3호, pp.1-25, 2004.
  2. 이석원, "세계화와 복지정책: OECD 국가들에 대한 경험적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12권, 제1호, pp.351-376, 2003.
  3. 고경환, "2012 OECD 공표로 본 우리의 사회복지 지출 특성과 시사점", 보건복지포럼, 제194권, pp.85-95, 2012.
  4. 홍경준, 송호근,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와 지속: 1990년 이후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55권, pp.205-230, 2003.
  5. 오봉욱, "차상위 계층의 생활실태와 복지정책 개선방안 연구", 2012 춘계 종합학술대회, 한국콘텐츠학회, pp.91-92, 2012.
  6. 권순애, 김교정, "사회서비스 시장화에 따른 비영리 사회복지조직의 시장지향성과 조직성과 관계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5호, pp.227-242,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227
  7. 김미혜, 정진경, "한국의 사회복지비 지출 변화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19권, 제1호, pp.1-21, 2003.
  8. 황규선, 권승, "인구구조 변화가 사회복지지출을 포함한 국가재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적 분석", 사회보장연구, 제21권, 제4호, pp.37-55, 2005.
  9. 원종욱, 임완섭, 김태은, 사회환경에 따른 복지지출수요와 경제주체별 재정부담능력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0. 원종욱, 이주하, 김태은, OECD 국가의 사회복지 지출과 재정건정성 비교연구,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1. 남상호, 사회복지지출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9.
  12. 안종범, 김을식, "복지지출수준의 국제비교", 재정논집, 제19집, 제1호, pp.1-27, 2004.
  13. Jochen, Hartwig, "Is Health Capital Formation Good for Long-Term Economic Growth?-Panel Granger-Causality Evidence for OECD Countries," Journal of Macroeconomics, Vol.32, pp.314-325, 2010. https://doi.org/10.1016/j.jmacro.2009.06.003
  14. B. H. Baltagi and F. Moscone, "Health Care Expenditure and Income in the OECD Reconsidered: Evidence from Panel Data," Economic Modelling, Vol.27, pp.804-811, 2010. https://doi.org/10.1016/j.econmod.2009.12.001
  15. S. Beraldo, D. Montolio, and G. Turati, "Healthy, Educated and Wealthy: A Prime on the Impact of Public and Private Welfare Expenditures on Economic Growth," Journal of Socio-Economics, Vol.38, pp.946-956, 2009.
  16. D. E. Bloom, D. Canning, and J. Sevilla, "The Effect of Health on Economic Growth: A Production Function Approach," World Development, Vol.32, No.1, pp.1-13, 2003
  17. 박경돈, "복지와 경제성장간의 실증적 분석: 잠재성장모형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재정, 제15권, 제3호, pp.161-183, 2011.
  18. 문영희, 원일, "경제성장과 재정지출간의 인과관계분석: 경제개발지출 및 사회복지지출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교육, 제21호, pp.225-248, 2013.
  19. B. D. Jones, "Public Policies and Economic Growth in the American States," Journal of Politics, Vol.52, No.1, pp.219-233, 1990. https://doi.org/10.2307/2131426
  20. S. Alam, A. Sultana, and M. S. Butt, "Does Social Expenditures Promote Economic Growth? A Multivariate Panel Cointegration Analysis for Asian Countries," European Journal of Social Sciences, Vol.14, No.1, pp.44-54, 2010.
  21. T. Kim, "Globalization and State-supported Welfare: A Test of the Curve-linear Hypothesis in OECD Countries," International Social Work, Vol.52, No.2, pp.209-222, 2009. https://doi.org/10.1177/0020872808099731
  22. T. Persson and G. Tabellini, "Is Inequality Harmful for Growth?," American Economic Review, Vol.84, pp.600-621, 1994.
  23. Harri, Ramcharran, "Estimating Productivity and Returns to Scale in the US Textile Industry," Empirical Economics, Vol.26, pp.515-524, 2001. https://doi.org/10.1007/s001810000068
  24. H. D. Vinod, "Nonhomogeneous Production Functions and Applications to Telecommunications," Bell Journal of Economics Management Science, Vol.3, No.2, pp.531-543, 1972. https://doi.org/10.2307/3003036
  25. H. D. Vinod, "Application of New Ridge Regression Methods to a Study of Bell System Scale Econom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Vol.71, pp.835-841, 1976. https://doi.org/10.1080/01621459.1976.10480955
  26. Mikhail, Kouliavtsev, S. Christoffersen, and Phillip Russel, "Productivity, Scale and Efficiency in the U.S Textile Industry," Empirical Economics, Vol.32, pp.1-18, 2007. https://doi.org/10.1007/s00181-006-0069-2
  27. 이현재, "한-중-일 3국 농산물 생산함수를 이용한 규모의 경제 분석", 농업경영.정책연구, 제40권, 제1호, pp.79-102, 2013.
  28. http://stat.mw.go.kr
  29. http://ecos.bok.or.kr
  30. http://kosis.kr
  31. 김명직, 장국현, 금융시계열분석, 경문사,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