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mprovement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n the 6th Edition of KDC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체육학 분야의 분류체계 개선방안

  • 이희진 ((주)서지정보 문헌정보과) ;
  • 김정현 (전남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Received : 2013.11.07
  • Accepted : 2013.12.11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general problems concerning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in the KDC 6th edition based on comparative analysis of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system, and suggested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m. Results of this study are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hile the academic classification divided items focusing on theoretical disciplin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sociology, or business administration, the library classification divided them into details according to sport entries. Second, We examined the classification status of the physical education field of the collection database in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The number of physical education field data was 38,585, and of them, that of books having classification codes starting with 692(physical education, sports) was 22,870. This shows that data actually have been published mainly based on academic characteristics rather than sport entries, which causes a problem due to concentration of many data on one classification code.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keywords around these classification codes. Third, modified classification of items was basically performed through the academic system of the physical education and the keyword analysis, and the typical KDC classification system was maintained as much as possible.

이 연구는 체육학 분야의 학문적 특성과 분류체계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체육학 분야의 분류특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KDC 제6판 체육학의 분류체계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체육학의 학문분류체계는 체육학이론, 체육사회학, 체육심리학, 체육경영학 등 이론적인 분과학문 위주로 연구영역이 구분되어 있는 것에 비해, 문헌분류체계는 스포츠 위주의 세목으로 전개되어 있다. 둘째, 국립중앙도서관의 유별 자료 분석결과 전체 344만여건 중 체육학 자료는 38,585건이며, 그 가운데 특히 692(체육학, 스포츠)에 22,870건이 집중되어 있다. 이는 스포츠 항목보다 이론적인 학문에 기반한 자료들이 많이 출판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로 인해 하나의 분류기호에 많은 자료가 집중되는 문제점이 있다. 여기서는 이러한 분류항목을 중심으로 주제어 분석을 하였다. 셋째, 분류명사나 항목의 세분전개는 체육학의 학문적 특성과 주제어 분석을 반영하여 수정 전개하였으며, 항목간의 이동은 최소화 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국가과학기술표준분류 체계. [cited 2013.11.5]. .
  2. 구창모. 2006. 스포츠사회학의 학제적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체육학회지 인문.사회 과학편, 45(6): 117-131.
  3. 국립중앙도서관. 2013. 대한민국 국가서지 2012. 서울: 국립중앙도서관.
  4. 김광회, 김병준, 김우성, 박동호. 2011. 체육학개론. 서울: 레인보우북스.
  5. 김수정. 2013. KDC 제6판 디자인학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24(3): 53-72.
  6. 김자후. 2012. KDC 5판 기초법학 부문 개선방안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5-22.
  7. 김정현. 2012.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의류학 분야의 수정 전개 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3): 101-120.
  8. 박소영, 이근모. 2007. 한국스포츠사회학회지 연구동향 분석 : 1993-2005. 한국체육학회지, 46(1): 259-268.
  9. 박재혁, 김비연. 2013. 통계학의 학문적 특성에 따른 KDC 문헌분류의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2): 399-422.
  10. 여지숙, 공성훈, 오동근. 2013. KDC 제5판 건축학 분야 전개의 개선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7(2): 359-376. https://doi.org/10.4275/KSLIS.2013.47.2.359
  11. 유진. 200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내용분석 : 1990-2004.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15(4): 17-32.
  12. 윤경희. 1992. 체육학의 학문적 구조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13. 이재운. 2006. 體育學의 學問的 構造의 變化可能性 探索.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14. 이창수. 2013. KDC 역사보조학 분야 분류체계의 개선방안.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4(3): 29-49.
  15. 정옥경. 2010. KDC 예술류(600) 분류항목전개의 변천에 대한 연구. 한국비블리아학회지, 21(3): 109-122.
  16. 주정연. 1999. 국제특허분류의 스포츠 분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17. 진성태. 2013. 체육학개론. 서울: 대경북스.
  18. 최종삼, 손수범. 2006. 스포츠 체육학 개론. 서울: 보경문화사.
  19. 최태훈, 권오일. 2007. 체육원리의 이해. 서울: 광림북하우스.
  20. 한경신. 2012. 한국십진분류법 한국음악 분류체계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3(4): 297-316.
  21. 한국도서관협회. 2009. 한국십진분류법, 제5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2. 한국도서관협회. 2013. 한국십진분류법, 제6판.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3. 한국연구재단. 2012. 학술연구분야 분류표. [cited 2013.11.5]. .
  24. 한국학중앙연구원. 201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cited 2013.11.5]. .
  25. 日本圖書館協會. 1995. 日本十進分類法, 新訂9版. 東京: 日本圖書館協會.
  26. Dewey, Melvil. 2011.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and Relative Index, 23th ed. Dublin, Ohio: OCLC Online Computer Library Center.
  27. Library of Congress. 2007.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 G. Recreation. Washington D.C.: Library of Congress, Cataloging Distribution Service.

Cited by

  1. A Study on Improvements of Construction and Architecture Fields in the 6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 vol.31, pp.3, 2014, https://doi.org/10.3743/KOSIM.2014.31.3.007
  2. 한국십진분류법 기록관리학 분야 분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vol.27, pp.3,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16.27.3.025
  3. KDC 제6판 심령연구 및 비학, 초심리학 분야(187)의 용어 변경 및 주기사항 보완에 대한 연구 vol.31, pp.2, 2013,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2.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