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doption and Future Tasks of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for Agricultural and Rural Resources Conservation

농업·농촌자원 보전을 위한 국가중요농업유산 도입과 향후 과제

  • 박종준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김상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이응철 (일본 사가대학교 농학부)
  • Received : 2013.10.02
  • Accepted : 2013.11.28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The paradigm of agricultural and rural policies has shifted from food production and profitability to the competitiveness of rural areas through the discovery, grants and use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resources' potential value. This study aims to discover the value of the agriculture and rural resources and intend to offer the method for discovering resources and its value as the agricultural heritage. To this end, the functions and values of the agricultural and rural resource, the criteria and procedure of Globally and 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which is leading institutions were investigated. The policy implications were proposed in the process and series of steps of discovery and evaluation of the pluralistic value of the agriculture and rural resources and agricultural heritage designation and management.

Keywords

References

  1. 김란기, 2005, 문화유산보호에 있어서 문화적 경관의 새로운 전개, 건축역사연구 14(4): 288-304.
  2. 김미희, 안윤수, 박덕병, 안옥선, 신동일, 2007, 식량 작물재배에 관한 전통농업기술의 개발가치 평가, 농업사연구 6(1): 1-47.
  3. 김상범, 2005,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향토자원정보의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4): 104-111.
  4. 김상범, 손호기, 김은자, 2013, 경관보전을 위한 농업․농촌유산 보전과 활용에 관한 고찰, 휴양 및 경관계획연구소 논문집 7(1): 39-47.
  5. 김은자, 이상영, 김영, 조순재, 초․중․고 교과서의 농업․농촌 다원적 기능 수록 연구, 한국지역사회생활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6. 김인숙, 최은숙, 1991, 농촌여성 노동의 화폐적 가치 평가를 위한 일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29(2).
  7. 남지호, 2010,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농림축산식품부, 2012a, 농어업 유산제도 본격 도입, 보도자료, 2012년 4월 4일.
  9. 농림축산식품부, 2012b, 농어업유산 지정 관리 기준, 농림축산식품부 고시 제2012-285호.
  10. 농림축산식품부, 2013, 국가중요농업유산 1․2호 지정, 보도자료(2013년 1월 21일).
  11. 농촌진흥청, 2012, 농업․농촌의 가치평가.
  12. 박상미, 2011, 정보의 완전성과 농업유전자원 가치 관계 분석,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3. 박익수, 2009, 미국 농촌역사경관의 국가문화재 등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1(2): 9-18.
  14. 방한영, 2004, 농촌마을의 지역유산활용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6(2): 53-64.
  15. 서교, 이지민, 김한중, 정남수, 조순재, 이정재, 2003, 농촌의 잠재적 가치에 의한 농촌지역개발 평가지표, 농촌계획 9(1).
  16. 서명철, 박광래, 고병구, 정원교, 2008, 영농활용자료를 통한 공익기능 계량화 평가, 한국토양비료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17. 서우석, 강대구, 정남용, 김재호, 이윤조, 2006, 초등학교 교과과정과 교과서에 농업․농촌의 기능 및 가치 반영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4):1-31.
  18. 석대권, 안옥선, 2007, 농촌구전자원을 이용한 특수자원 산업화 방안, 향토사연구 19.
  19. 손호기, 김상범, 2010, 농촌체험 마을경관의 보전가치 평가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지 17(4)
  20. 손호기, 김상범, 신용광, 2012, 농업․농촌 유산제도화를 위한 해외사례연구, 농업경영․정책연구 39(4):841-869.
  21. 신용광, 김현중, 김상범, 유승훈, 2012, 농업 유산자원의 경제적 가치평가, 농업경영정책연구 39(4).
  22. 신용광, 이상영, 김영, 2004, 농촌 다원적 기능의 경제적 가치와 편익이전, 농촌계획 10(1): 1-7.
  23. 안옥선, 김미희, 장환희, 2008, 향토자원 범위 설정 및 향토산업육성사업 지원 대상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4. 안윤수, 김은자, 김영, 서정호, 2005, 농촌의 사회문화적 공익기능 가치 평가, 농촌사회 15(1): 175-213.
  25. 완도군, 2013, 청산도 구들장논 FAO GIAHS 등재 준비 국문 신청서.
  26. 유진채, 이희찬, 2003, 조건불리지역 농업․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가치평가, 농업경제연구 44(1): 111-130.
  27. 윤순덕 박공주(2006) 노년기 농촌생활의 가치에 대한 델파이 연구, 농촌계획 12(3): 97-106.
  28. 윤원근, 최식인, 2012, 한국 농어업유산제도의 정립 방향, 농촌지도와 개발 19(2): 465-495. https://doi.org/10.12653/jecd.2012.19.2.465
  29. 이상영, 김상범, 2005, GIS를 이용한 농촌공익 자원 정보의 효율적 관리방안연구, 농촌경영정책연구 32(1): 142-154.
  30. 이승래, 1982, 농업자원경제학의 연구대상에 관한 고찰, 농업경영정책연구 9(1): 67-80.
  31. 이응철, 이가라시, 이성국, 김건엽, 윤희정, 2012, 農村.農業の多面的機能としての健康資源と福祉力 第1報)-韓国.慶尚北道の超高齢化社会対策にお ける健康長寿村と地域開発を事例に-, 佐賀大学農学部彙報97:37-55.
  32. 이점선, 2002, 농촌여성의 노동실태 및 정당한 가치 평가와 지위향상, 최고농업경영자과정 논문집 8.
  33. 이진희, 이재근, 이영이, 김형대, 2012, 전통산업경관의 명승적 가치: 다랑이 논, 독살, 염전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30(3): 14-27.
  34. 이해준, 2006, 농촌 전통지식자원으로서 구전자료의 가치, 향토사연구 18.
  35. 임근욱, 이혁진, 박해정, 2012, 농경전통 세계유산의 관광자원 연구, 한국사진지리학회지 22(2): 187-201.
  36. 임정빈, 2003, 농업의 다원적 기능에 대한 국제적 논의 내용과 주요 쟁점, 농업생명과학연구 37(3): 83-90.
  37. 임형백, 이성우, 2004, 농촌사회의 경관 유지 기능에 대한 가치평가, 한국지역개발학회지 16(3).
  38. 장동헌, 소순열, 유찬주, 2006, 도시농업의 인식 및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전주시 도시민을 사례로, 지역사회연구14(3): 91-105.
  39. 정남수, 2005, 농촌어메니티 자원의 평가를 위한 조사표와 항목 개발, 농촌계획 11(4).
  40. 제주특별자치도, 2013, 흑룡만리 제주밭담 GIAHS 신청서.
  41. 정현욱, 이동기, 2002, 농촌자원을 이용한 그린투어리즘: 순창군을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6(3): 67-85.
  42. 채광석, 김관수, 2007, 농지의 비농업수익가치에 관한 연구, 경제학연구 55(3): 63-84.
  43. 최수명, 황한철, 한경수, 김영주, 1997, 농촌계획지원용 지역자원평가시스템 구축(I), 농촌계획 3(1): 54-67.
  44. 최윤지, 유소이, 최현자, 2002, 여성농업인 노동의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에 관한 소고,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13(1).
  45. 최재웅, 김동엽, 2006, 농촌 문화경관 관련 시책과 마을숲, 당산숲의 위상 제고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4(3): 41-58.
  46. 황정임, 김은자, 이상영, 이성우, 2009, 농촌사회문화적 공익기능의 경제적 가치, 농촌지도와 개발 16(3):643-668.
  47. 허주녕, 김태곤, 2012, 비모수적 방법을 이용한 도시농업의 다원적 기능 가치평가, 한국유기농학회지 20(4): 431-445. https://doi.org/10.11625/KJOA.2012.20.4.431
  48. 허준, 2007, 농촌어메니티자원 발굴 및 조사기법의 특성분석: 서천군을 사례로, 농촌계획 13(2): 75-84.
  49. CEMAT, 2003, European Rural Heritage Guide.
  50. OECD, 2006, The New Rural Paradigm: Policies and Governance.
  51. OECD, 2000,
  52. Bergstrom, J. C., 1998, Exploring and Expanding the Landscape Value Terrain, Faculty Paper Series FS 98-20, Exploring and Expanding the Landscape Value Terrain, Faculty Paper Series FS 98-20, August, Department of Agricultural and Applied Economics, University of Georgia, Athens, Georgia, US.
  53. www.fao.org
  54. www.giahs.org.
  55. www.giahs.org., Procedures for Application and designation of a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2012.
  56. www.giahs.org., Template for GIAHS proposal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GIAHS) Initiative, 2012.

Cited by

  1. A Study on Landscape Evaluation Indicators for Agricultural and Fishery Heritage vol.43, pp.5, 2015, https://doi.org/10.9715/KILA.2015.43.5.074
  2. Flora, life form characteristics, and plan for the promotion of biodiversity in South Korea’s Glob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 the traditional Gudeuljang irrigated rice terraces in Cheongsando vol.14, pp.6, 2017, https://doi.org/10.1007/s11629-015-3644-1
  3. An Analysis on the Measurement Items to Assess the Landscape Valu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Heritage vol.20, pp.4, 2014, https://doi.org/10.7851/ksrp.2014.20.4.089
  4. Characteristics of Ground-dwelling Invertebrate Communities at Nari Basin and Tonggumi Area in Ulleungdo Island vol.36, pp.1, 2018, https://doi.org/10.11626/KJEB.2018.36.1.021
  5. 세계중요농업유산(GIAHS) 등재지역 농업유산의 특성 분석 vol.22, pp.4, 2016, https://doi.org/10.7851/ksrp.2016.22.4.171
  6. The Requirement for Early Childhood Agricultural Literacy Education vol.49, pp.3, 2013, https://doi.org/10.23840/agehrd.2017.49.3.23
  7. Research Progress in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China-Nationally Important Agricultural Heritage Systems (China-NIAHS) vol.12, pp.1, 2013, https://doi.org/10.3390/su1201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