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reen Tourism Accessibility Evaluation for Policy Making of Rural Closed School - Case By Chungcheongnamdo Province -

농촌폐교 활용 정책수립을 위한 그린투어리즘 접근성 평가 - 충청남도를 대상으로-

  • Chang, Woo-Seok (Chungcheongnamdo Rural Revitalization Support Center) ;
  • Jung, Nam-Su (Dept. of regional Construction Engineering, Kongju Nat'l Univ.)
  • 장우석 (충남농촌활성화지원센터) ;
  • 정남수 (공주대학교 산업과학대학 지역건설공학)
  • Received : 2013.10.21
  • Accepted : 2013.12.23
  • Published : 2013.12.30

Abstract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rural experience, that is important in satisfying needs of green tourism and vitalizing rural economy to use closed school in rural area as experience facility. For using closed school as experience facility, political and institutional assistants are needed in effective equipments and stable operation based on multi-perspective approach and analysis. In this study, we try to evaluate green-tourism accessibility of rural experience facility remodeled from closed school considering regional popula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In evaluating process, gravity potential model are adapted with considering group size of customer and distance-friction coefficient. Distance-friction coefficient is a function of user restriction which depend on possible activity in each experience facility. Green tourism accessibility of experience facility is calculated with summation of accessibility to each region, and we analyzed it as a group by closed school type and location with application in Chungcheongnam-do. We found a correlation between green tourism accessibility of rural closed school and their income.

Keywords

References

  1. 권영종, 1997, 간선도로에서의 접근성관리의 필요성과 실천방안 연구, 국토계획, 32(3), 153-163.
  2. 김기남, 2011, 폐교의 처분과 활용,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대은, 김장환, 신홍범, 2010, 대구광역시 공공체육시설의 공간적 분포 특성과 시설 접근성에 관한 연구,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지, 15(5), 33-48.
  4. 김명룡, 2008, 연구논문 : 농촌전통테마마을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완주 디지털 산내골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15(3), 499-531.
  5. 김재현, 2007, 서울시 문화시설 분포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 동별 문화시설에 대한 접근성 측정을 중심으로 -, 지리교육논집, 51(0), 43-59.
  6. 김황배, 김시곤, 2006, 접근성이론과 GIS 공간분석 기법을 활용한 행정기관의 입지선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26(3), 385-391.
  7. 노정연, 유재영, 2007, 도심 폐교시설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 (구) 수도여고의 활용방안을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 논문집, 32(2), 145-164.
  8. 도현학, 2011, 농촌마을 활성화를 위한 폐교시설의 활용에 관한 연구 :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3(3), 91-98.
  9. 배승종, 2008, 도시수요를 고려한 그린투어리즘 잠재력 평가기법 개발, 농촌계획, 14(4), 109-119.
  10. 서윤정, 박정운, 최진영, 조록환, 조창완, 2012, 농촌지역 유휴시설 활용 활성화 방안, 농촌관광연구, 19(2), 65-88.
  11. 손정렬, 오수경, 2007, GIS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한 서울시 노인주간보호시설의 접근성 연구, 한국지역지리학회지, 13(5), 576-594.
  12. 송경환, 2007, 그린 투어리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보성군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5(2), 171-183.
  13. 신상영, 2003, 직주접근성과 통근통행 : 수도권을 사례로, 국토계획, 38(4), 73-87.
  14. 심재헌, 2012, 교통접근성을 고려한 개별 입지 산업용지의 가격결정요인 분석 - 동남광역경제권 주요도시를 대상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4(1), 87-104.
  15. 윤지헌, 2010, 지역 관광 활성화 전략으로서의 폐교화룡 사례 연구, 관광경영연구, 14(1), 61-84
  16. 이현주, 1998, 사회복지이용시설 접근성에 대한 평가, 사회복지연구, 12(0), 11-129.
  17. 이희연, 이종용, 1997, 교통망체계의 종합 접근성 분석에 관한 연구 - 강남구를 사례로 -, 국토계획, 32(5), 119-135.
  18. 장우석, 2013, 충청남도 농촌폐교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현황분석 - 폐교 운영자를 대상으로 - , 농촌계획, 19(1), 43-54. https://doi.org/10.7851/ksrp.2013.19.1.043
  19. 조대헌, 2004, 공간적 형평성(spatial equity)의 평가방법에 대한 연구 : 도시 공공서비스에의 접근성을 중심으로, 지리교육논집, 48, 100-120.
  20. 채미옥, 1998, 접근성 및 입지요인을 고려한 서울시 지가의 공간적 분포특성, 국토계획, 33(3), 95-114.
  21. 최막중, 김상균, 2002, 고용 및 녹지 접근성을 동시에 고려한 잠재력 모형의 주거 입지 수요 추정, 국토계획, 37(2), 55-63.
  22. 허우긍, 2004, 교통지리정보시스템(GIS-T)에 기반한 접근성 분석, 지리학논총, 43, 1-31.
  23. Hansen. W. G, 1959, How Accessibility shapes land use, Journal of the America Institute of Planners, 25, 73-76. https://doi.org/10.1080/01944365908978307
  24. Jones, S.R., 1981, Accessibility Measures : A Literature Review, TRRL Report 967, Crowthorn.
  25. Mark F. Guagliardo, 2004, Spatial accessibility of primary care: concepts, methods and challenges, International Journal of Health Geographics, 3:3, 0.
  26. Mobley LR. 1998, Effects of selective contracting on hospital efficiency, costs and accessibility, Health Econ, 7(3), 247-261. https://doi.org/10.1002/(SICI)1099-1050(199805)7:3<247::AID-HEC319>3.0.CO;2-J
  27. Murray, G. , Judd, F. , Jackson, H. , Fraser, C. , Komiti, A. , Hodgins, G. , Pattison, P. , Humphreys, J., Robins, G., 2004, Rurality and mental health: the role of accessibility,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8(8), 629-634. https://doi.org/10.1080/j.1440-1614.2004.01426.x
  28. Talen. E, Anselin. L, 1998, Assessing Spatial Equity : an Evaluation of Measures of Accessibility to Public Playgrounds, Environment and Planning, A30(4), 595-613. https://doi.org/10.1068/a300595
  29. Thibeault, R. W. et. Al, 1973, Accessibility Satisfaction Income and Residential Mobility, Traffic Quarterly, 27(2), 289-306.
  30. 국가통계포털, 2010 충청남도 인구 총 조사 읍면동 인구통계자료, http://www.kosis.kr.

Cited by

  1. 폐교 발생 지역의 특성을 기반으로 한 도서관의 폐교 활용 제고에 관한 연구 - 폐교 발생 지역의 사회경제적 지표 분석을 기반으로 - vol.50, pp.1, 2013, https://doi.org/10.16981/kliss.50.1.201903.1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