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In-store Experiences on Store Satisfaction, Sportswear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 Focus on Moderating Role of Impulse Buying Tendency -

스포츠웨어 점포 내 체험요소가 점포 만족도, 브랜드 호의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충동구매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 Received : 2013.08.13
  • Accepted : 2013.10.1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experiential factors in sportswear stores influenced store satisfaction, brand preference, and purchase intention among potential consumers, and to reveal the moderating effects of impulsive buy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6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20s and 30s, who had visited sports brand stores within the past year. To analyze the data, Cronbach's ${\alpha}$, structural model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store satisfaction and experiential factors in sportswear apparel stores. All experiential factors significantly influenced store satisfaction in a positive direction. Second, consumers' store satisfaction positively influenced on brand preference. Third, consumers' store satisfaction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ir purchasing intention. Fourth, consumers' impulsive buying tendency showe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experiential factors. Consumers with low level of impulsive buying tended to be influenced more by 'think', 'relate', and 'sense' experiential factors on their store satisfaction. However, consumers with a high level of impulsive buying tendency revealed that they were mo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act' and 'feel' experiential factors.

Keywords

References

  1. 박지원 (2011), 스포츠 브랜드의 차별화를 위한 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8.
  2. 한국신용평가원 (2013), KIS Industry Outlook 의류 부문 산업 보고서, pp. 1-7.
  3. 조우형 (2012), 아웃도어 브랜드의 체험마케팅과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와의 관계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4-30.
  4. 김우성, 허은정 (2007), 소비자 체험마케팅의 핵심적 특성들과 기여에 대한 고찰, 한국생활과학회지, 169(1), pp. 89-96.
  5. Jones, P. et al. (2010), Retail experience stores: experiencing the brand at first han, Marketing Intelligence & Planning, 28(3), pp. 241-248. https://doi.org/10.1108/02634501011041408
  6. 이병관 (2012), 체험마케팅이 브랜드 태도와 충성도 그리고 마케팅 효과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96.
  7. Schmitt, B. H. (1999), Experiential marketing: how to get customers to sense, feel, think, act, relate to your company and brands, New York: The Free Press, pp. 9-15.
  8. 장홍범 (2009), 체험요소(4Es)에 의한 체험공간연출방법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0-93.
  9. 서미란 (2011), 체험경제이론 요소(4Es)의 표현적 특성을 적용한 기업홍보관 실내계획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4-121.
  10. 차승희 (1999), 충동구매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자극요인들 간의 상관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3-110.
  11. 강은미 (2000), 의복충동구매행동의 영향변수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15.
  12. 이동환 (2012), 스포츠 의류 브랜드 이미지가 충성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8-9.
  13. 박수진 (2008), 스포츠의류소비자의 구매결정요인이 브랜드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8.
  14. 신복선 (1989), 대학생들의 스포츠화 구매행동과 광고에 대한 태도,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15.
  15. 문화체육관광부 (2011), 체육백서, pp. 394-434.
  16. Korean Fashion Industry Index Research (2013), 한국패션마켓 트렌드 전망, pp. 1-4.
  17. 김정우 (2009),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5-18.
  18. 김지선 (2009), 의류 선도매장(Flagship Store)에서의 브랜드 체험유형이 소비자-브랜드 관계와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
  19. 이은경 (2010), 체험마케팅에 의한 스포츠 리테일샵의 VMD 디자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93-95.
  20. Schmitt, B. H. (2003), Customer experience management, New York: John Wiley & Sons, pp. 43-85.
  21. 서은경 (2006), 중․노년층 여성패션매장의 체험마케팅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1-17.
  22. Clatworthy, S. (2012), Bridging the gap between brand strategy and customer experience, Managing Service Quality, 22(2), pp. 108-127. https://doi.org/10.1108/09604521211218936
  23. 박성연. (2006). 매장 내 감각적 체험이 매장 태도와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관리연구학회, 11(3), pp. 1-13. 27)
  24. 서은경 (2006), 중․노년층 여성패션매장의 체험마케팅이 장기적 관계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19.
  25. Weinberg, P., Gottwald, W. (1982), Impulsive consumer buying as a result of emotion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10, pp. 43-57. https://doi.org/10.1016/0148-2963(82)90016-9
  26. Rook, D. W., Hoch, S. J. (1985), Consuming impulse, (Eds.) Morris B. H., Hirschman, E. C., Provo, UT. Association for Consumer Research,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12, pp. 23-27.
  27. 양우식 (1995), 충동구매행동의 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 심리, 내적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4-97.
  28. 김미선 (1996), 물질주의 성향과 충동구매 행동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2-49.
  29. Tauber, E. M. (1985), Why do people shop?, Journal of Marketing, 12, pp. 46-59.
  30. 박준규 (2002),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 CATV 홈쇼핑 시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7-28.
  31. 정준호 (1997), 충동구매의 심리적 과정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0-30.
  32. 이정경, 홍병숙 (2001), 의류 세일 매장의 디스플레이가 충동구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통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 329-354.
  33. 김진아 (2004), 남성 소비자의 패션제품 충동구매의 영향요인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12.
  34. 김혜민 (2011), 패션제품 충동구매에 관한 질적 연구.,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5.
  35. 김현서 (2012). 자아존중감, 의류제품의 가격, 판매촉진유형이 인터넷 상의 의류제품 충동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9-71.
  36. Binter, M. J. (1990), Evaluating service encounters: The effects of physical surroundings and employee responses, Journal of Marketing, 54(2), pp. 69-82. https://doi.org/10.2307/1251871
  37. Martenson, R. (2007), Corporate brand image,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A study of the store as a brand, store brands and manufacturer brands,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5(7), pp. 544-555. https://doi.org/10.1108/09590550710755921
  38. 허주연 (2006), 매장에서의 감각체험이 소비자 감정적 반응, 매장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32-49
  39. 이현진 (2010), 면세점 이용 소비자의 점포 추구혜택에 따른 패션제품 쇼핑성향과 점포 만족도.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6-50.
  40. 이주현 (2010), 점포속성과 점포개성이 점포만족도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112.
  41. 허성봉 (2011), 백화점 VMD 요소의 경험이 고객 유형별 점포 만족도에 미치는 차이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3-45.
  42. Lafferty, B. A. (2007), The relevance of fit in a cause-brand alliance when consumers evaluate corporate credibil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60(5), pp. 447-453. https://doi.org/10.1016/j.jbusres.2006.09.030
  43. 김정우 (2009), VMD와 매장 내 체험요소가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20.
  44. 김란임 (2012), 패션 점포에서 감성 마케팅과 비주얼 머천다이징이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0-89.
  45. Engel, J. F., Blackwell, R. D., Miniard, P. W. (1990), Consumer Behavior. London: Dryden Press, pp. 151-184.
  46. Taylor, S. A., Baker, T. L. (1994), An assessment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formation of consumers' purchase intentions, Journal of Retailing, 70(2), pp. 163-178. https://doi.org/10.1016/0022-4359(94)90013-2
  47. 백재은 (2012), 스포츠 브랜드 광고 모델과 브랜드 인지도, 자기관에 따른 소비자의 구매태도 연구,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0-57.
  48. 김기창 (2012), 스포츠스타를 활용한 광고의 모델 및 브랜드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85-91.
  49. 박성연, 황정은 (2005), 매장 내 체험적 경험이 브랜드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 매니지먼트 리뷰, 23(2), pp. 69-93.
  50. Rook, D. W. (1987), The buying impuls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4(2), pp. 189-199. https://doi.org/10.1086/209105
  51. 하지명 (2002), CATV 홈쇼핑 시 외모관리제품의 충동구매와 구매 후 반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8-31.
  52. 박준규 (2002), 충동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인과 그 결과에 대한 연구: CATV 홈쇼핑 시장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7-30.
  53. Fishbein, M. (1966), The relationship between beliefs, attitudes, and behavior, CA: Academic Press, pp. 200-223.
  54. 송니은 (2012), 보상유형과 보상시기가 호의도와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유통채널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52-61.
  55. 김정목 (2012), 남성 소비자 젠더에 따른 브랜드 호의도에 브랜드 젠더와 판매원 성별이 미치는 영향: 남성복 브랜드 갤럭시와 솔리드 옴므를 대상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68-74.
  56. 김소현 (2007), 브랜드명의 표기언어와 로고의 색상 사용이 소비자 기억, 브랜드 이미지 지각, 태도 및 구매의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2-24.
  57. 이소은 (2008), 의류점포의 VMD와 브랜드 인지도에 따른 구조관계: 감정반응, 브랜드 이미지 및 태도, 구매의도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59-61.
  58. 김세윤 (2012), 골프 의류의 개별브랜드와 기업브랜드에 대한 선호도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72-80.
  59. 이학식, 임지훈 (2009), 구조방정식 모형분석과 AMOS 16.0, 서울: 법문사, pp. 26-47.
  60. 배현경 (2004), 매장 내 감성체험이 매장 애호도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29-48.
  61. 백지희 (2011), 유통 채널 유형별 체험요소가 매장 태도 및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00-108.
  62. 반선아 (2008), 리테일 환경이 구매 전, 구매 후 소비자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산업미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10-115.
  63. 김윤자 (2003), 쇼핑동기 및 점포속성 만족도와 쇼핑 성과에 관한 연구: 의류소매점의 경우, 인천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45-54.
  64. 서용한, 오희선, 전민지 (2011), 의류매장에서의 쇼핑 체험과 충동구매 간 관계에서 의류소비자의 조절초점 역할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011, pp. 176-178
  65. 박은주 (2011), 엔터테인먼트서비스의 이용과 의복충동구매행동의 관계, 복식문화연구, 14(3), pp. 353-365.

Cited by

  1. The Effects of Experience Factors have on Store Satisfaction and Store Loyalty for Experimental Fashion Stores - Focusing on Virtual Experience by Visual Stimuli - vol.66, pp.4, 2016, https://doi.org/10.7233/jksc.2016.66.4.001
  2. The Effects of Lifestyles on Pursuing Benefits and Purchase Intention of Athleisure wear vol.19, pp.6, 2017, https://doi.org/10.5805/SFTI.2017.19.6.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