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Dépaysement of the Animation

애니메이션에 있어서 데페이즈망에 관한 연구

  • 김홍균 (한서대학교 디지털영상연구센터, 한서대학교 영상애니메이션학과)
  • Received : 2013.11.01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Surrealism with the excavation of unconsciousness, seeking for the infinity etc. has established views on aesthetics that conflict traditional western rationalism. The main concern of surrealism is problem of identity and difference. They attempted their own mysterious concept such as 'the marvelous', 'convulsive beauty', 'object chance' etc. These unique views on aesthetics was expressed as various style of art. It is the d$\acute{e}$paysemant that exists one of the typical style in surrealism. D$\acute{e}$paysemant means that objects are taken from be originally place. Therefore, The real world's objects is to leave and change environment from real space as use, ability, meaning of origin. or it is the technique to create surreal illusion that combined to a strange place where relates to extraneous attribute of objects. Namely, objects are newly arranged in expression space. Reconstitutive objects by positioning object over the time and space have given us the marvelous and psychological shock and get unfamiliar meaning and feeling over. This paper is tried to look at the way to use the d$\acute{e}$paysemant which applicated in the media, Especially, focusing on animation. Unlike the other media, animation has its unique artistic characters. First, One of the media characteristics of the animation is creativity images of the hand drawn animation by shooting of frame by frame. The animation image which is created through arrangement obtain life force by unique motility. Works of Norman McLaren and Harry Smith are very interesting that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d$\acute{e}$paysemant. It consists with abstract forms and various moving images to let audience the feel characteristics of film. We can experience from these cases, numerous illusion fantasy like change over from creature to inanimate object, space and time, creation and extinction, repetition and metamorphosis etc. One of the main apparat is the emphasis of d$\acute{e}$paysemant in space of frame. In conclusion, d$\acute{e}$paysemant is one of the most characteristic expression technique of surrealism while having inevitable linkage with animation.

초현실주의는 무한에 대한 동경, 무의식의 탐구 등으로 전통적인 서구 합리주의와 대립하는 미학관을 성립시켰다. 초현실주의의 주된 관심사는 정체성과 차이의 문제이며 '경이', '발작적 아름다움', '객관적 우연' 등과 같은 불가사의한 개념으로 그들만의 독특한 시도를 하였다. 이러한 그들의 독특한 미학관은 여러 가지 예술적 양식을 통해 표현 되어졌다. 그 중의 하나가 바로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표현 장치인 데페이즈망이다. 데페이즈망은 물체를 본래 있던 곳에서 '떼어내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현실적 사물들을 대상으로 하여 그 본래의 용도, 기능, 의미를 현실적 공간에서 이탈, 환경을 변화시켜 그것이 놓여 질 수 없는, 또는 사물의 속성과는 관련성이 없는 낯선 장소에 조합시킴으로 초현실적인 환상을 창조해 내는 기법이다. 다시 말해 표현공간에서 사물 본래의 일상적인 질서나 배경, 분위기 등을 떼어내어, 자기장소를 떠나 존재하는 사물들이 새로이 '배치'하는 것이다. 시간과 공간을 초월하여 '재구성'된 이 사물들은 우리에게 경이와 심리적 충격을 안겨주며, 낯선 의미와 느낌을 전달하게 된다. 본 논문은 매체에 적용된 데페이즈망의 활용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특히 애니메이션의 적용에 논의의 초점을 둘 것이다. 애니메이션은 기타 다른 매체와는 달리 독특한 미학적 특성들을 지니고 있다. 우선 애니메이션은 분절 촬영으로 손에 의해 생성된 창조적 이미지이다. '배치'를 통해 생성된 애니메이션 이미지는 특유의 운동성으로 생명력을 얻는다. 노먼 맥라렌의 <환타지>와 해리 스미스의 <하늘과 땅의 마법>은 이러한 데페이즈망의 구조적 특성을 잘 반영한 흥미로운 작품으로, 추상적 형태와 다양한 움직임으로 이루어져, 관객에게 다양한 영화적 형식을 지각하도록 만든 작품이다. 여기서 우리는 생물과 무생물의 전위, 공간과 시간, 생성과 소멸, 반복과 변형 등 무수한 환상을 체험하게 되는데, 그 주된 장치는 애니메이션 프레임 공간의 데페이즈망을 강화한데서 기인한다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데페이즈망은 초현실주의의 대표적인 예술기법 중 하나인 동시에 애니메이션과 필연적인 연결고리를 갖는 양식이다.

Keywords

References

  1. 박성수, 애니메이션 미학, 향연, 2005.
  2. 조윤경, 초현실주의와 몸의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2008.
  3. 진중권, 진중권의 현대미학 강의, 아트박스, 2003.
  4. 홍준기, 발터벤야민, 모더니티와 도시, 라움, 2010.
  5. Adams Sitney, 박동현 역, 시각영화, 평사리, 2005.
  6. Andre Bazin, 박상규 역, 앙드레 바쟁의 영화란 무엇인가, 시각과 언어, 1998.
  7. Andre Breton, 송재영 역, 쉬르레알리즘 선언, 성문각, 1978.
  8. Fiona Bradley, 김금미 역, 초현실주의, 현대미술운동총서, 2003.
  9. George Sebbag, 최정아 역, 초현실주의, 동문선, 1994.
  10. Graeme Gilloch, 노명우 역, 발터벤야민과 메트로 폴리스, 효형출판, 2005.
  11. Hal Foster, 전영백 역, 욕망, 죽음, 그리고 아름다움, 아트북스, 2005.
  12. Laura Mulvey, 이기형, 이찬욱 역, 1초에 24번의 죽음, 현실문화연구, 2007.
  13. Matthew Gale, 오진경 역, 다다와 초현실주의, 한길아트, 2001.
  14. Pascal Bonitzer, 홍지화 역, 영화와 회화, 동문선, 2003.
  15. Roland Barthes, 김웅권 역, 밝은 방, 동문선, 2006.
  16. Rosie Jackson, 서강여성문학연구회 역, 환상성, 문학동네, 2001.
  17. Suzi Gablik, 천수원 역, 르네 마그리트, 시공아트, 2000.
  18. Victor I. Stoichita, 이윤희 역, 그림자의 짥은 역사, 현실문화연구, 2006.
  19. Vilem Flusser, 김현진 역,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20. Vilem Flusser, 윤종석 역,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21. Walter Benjamin, 조형준 역, 아케이드 프로젝트 1, 새물결, 2005.
  22. Walter Benjamin, 최성만 역, 초현실주의 외, 길, 2008.
  23. 김윤아, "예술 애니메이션 '장인-작가성' 연구", 동국대박사학위논문, 2008.
  24. 이종한, "새로운 예술형식으로써 디지털애니메이션의 환영성에 관한 연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2005.
  25. 김홍균, "노만맥라렌 작품에 있어서 시각적 장치에 관한 연구, 영상미디어협회 논문, 2008.
  26. 김홍균, "애니메이션 프레임의 구조적 장치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논문, 2009.
  27. 김홍균, "애니메이션의 초현실주의적 공간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애니메이션학회논문, 2010.
  28. Donald Crafton, Before Mickey, The Animated Film 1898-1928,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and London, 1982.
  29. Giannalberto Bendazzi, Cartoons, Indiana University Press, 1994.
  30. Robert Russett, Cecile Starr, Experimental Animation,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1976.
  31. Valliere T. Richard, Norman McLaren, Manipulator of Movement, An Ontario Film Book Newark, University of Delaware Press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niversity Press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