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Medical care utilization status and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당뇨병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삶의 질

  • Lim, Ji-Hye (Dept. of healthcare management, Youngsan University) ;
  • Oh, Chang-Seok (Dept. of healthcare management, Youngsan University)
  • 임지혜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 오창석 (영산대학교 의료경영학과)
  • Received : 2013.08.28
  • Accepted : 2013.10.20
  • Published : 2013.10.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identify utilization status of medical care and factors to affect quality of life in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 research selected 6,146 adults aged over 50, who appeared with EQ-5D, from the Korean health panel. We analyzed states of medical care utilization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ne the main factors associated with quality of life in diabetes patients. The result shows that quality of life(EQ-5D) in diabetes i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gender, age, insurance type,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diabetes ambulatory medical cost and the number of ambulatory medical utilization for other diseases. Females, higher age, lower levels of education, medicaid, the lower household income, the higher diabetes ambulatory medical cost, and the higher the number of ambulatory medical utilization for other diseases were the significant factors of lower quality of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social programs and individualized approach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diabetes patients. In the future, these findings can be used as important data for health care policy and assessment.

본 연구는 당뇨병 환자의 의료이용 현황과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2009년 한국의료패널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삶의 질 조사에 응한 만 50세 이상 응답자 6,146건을 대상자로 하였다. 분석대상자의 의료이용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기술통계를 실시하였으며, 당뇨 환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당뇨 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은 성, 연령, 교육수준, 보험유형, 가구소득, 당뇨질환 외래진료비, 기타질환 외래이용 건수 등과 유의하게 관련이 있었다. 여성, 연령이 높을수록, 교육수준이 낮을수록, 의료급여 환자인 경우,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당뇨질환 외래 진료비가 높을수록, 기타질환 외래 이용 건수가 많을수록 삶의 질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당뇨 환자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보다 적극적인 사회적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문제의 원인과 대상에 맞는 구체적인 접근방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보건의료정책 수립에 기초 자료로 의미 있게 활용되어질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