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Trend-analyses of Studies on Estimation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유아교육비·보육비 산정연구 동향분석

  • Received : 2013.04.15
  • Accepted : 2013.08.16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trends of studies on estimation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provided by both the kindergarten and child-care centers. A total of 21 papers including academic journals and policy research reports were collected. The papers were analyzed with the annual trends, research contents, and estimation methods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he studies on estimation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performed earlier than the ones on estimation of cost for child-care services. The research contents were composed of analyzing operating expenses and estimating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Secondly, there were similarities in the estimating processes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but the definition of operating expenses used for the estimation of cost differed. Thirdly,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items of operating expenses inputted to estimate cost and in the calculation procedures of items in studie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what future studies and policy should consider in the estimation of cost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care services.

본 연구는 국내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연구들의 동향분석을 토대로 향후 연구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대상은 국내 학술논문 및 정책연구소와 어린이집연합회 등에서 발간한 연구보고서 중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과 관련된 연구들 총 21편이었다. 본 연구대상인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연구들은 연도별 동향, 연구내용,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방법 중심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비 산정연구들은 보육비 산정연구들에 비해 시기적으로 앞서 수행되었으며 연구내용은 유치원과 어린이집의 운영비 분석과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출로 구성되어 있었다. 둘째,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연구들은 영유아에게 보육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소요되는 세부운영비를 원아 수로 나누어 산출된 영유아 1인당 운영비를 합산하여 유아교육비 보육비를 산출하는 공통점이 있었으나 운영비에 대한 관점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셋째, 유아교육비 보육비 산정 시 투입되는 운영비 항목과 계산과정에 있어서도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향후 연구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석(2001). 유치원 교육재정 분석 및 표준교육비 산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19(2), 1-43.
  2. 강경석(2005). 사립유치원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교육재정학연구, 23(4), 175-198.
  3. 강경석(2005). 유치원 수업과정(반일제, 시간연장제, 종일제)에 따른 표준교육활동경비 산출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4(2), 1-24.
  4. 강경석(2006). 공립 단설유치원과 병설유치원의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5(1), 103-133.
  5. 강경석, 장영숙(2001). 유치원 표준교육활동경비 산출 연구. 유아교육연구, 21(3), 167-189.
  6. 고선미(2000). 유아교사관련 학위논문 경향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교육과학기술부(2013). 유아교육법 시행령.
  8. 권은주, 황갑성(1997). 표준교육비 산출에 의한 사립유치원 교육재정 분석. 유아교육연구, 17(1), 45-66.
  9. 김경회, 문혁준, 김선영, 김신영, 김지은, 서소정, 안선희, 안효진, 이희경, 정선아, 황혜원(2011). 보육학개론. 서울: 창지사.
  10. 김명순(2013). 표준보육과정의 개요. 한국아동학회 2013년 누리과정, 표준보육과정 워크샵, 1.
  11. 김미경(1998). 아동발달에 관한 연구동향에 대한 토론. 중앙유아교육학회 제5회 유아교육학술대회, 79-84.
  12. 김병만(2012). 유아교육정책과 보육정책의 연구동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5-31.
  13. 김상림, 안효진, 이시자(2011). 유아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동향 분석: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11(2), 147-171.
  14. 김영옥(2003). 유아교육연구의 동향 및 과제. 한국교육학회소식지, 237, 5-10.
  15. 김재규, 공은배, 백성준, 이원영(1994). 유치원 표준교육비 산출연구. 유아교육연구, 14(1), 29-50.
  16. 김춘희, 남기원, 우영숙, 최순덕(2011).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교사교육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569-597.
  17. 김현숙(2005). 표준보육.교육단가 산정에 관한 연구. 보건복지포럼, 107, 46-57.
  18. 김현숙(2008). 표준유아교육비용 산정에 관한 일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7(2), 161-188.
  19. 김현숙, 서병선(2008). 보육비 지원체계 개편방안 연구. 보건복지부/숭실대학교.
  20. 김혜금(2010). 보육비 현실화를 위한 표준보육비용 산정. 한국보육시설연합회.
  21. 김혜금, 임양미, 최현수, 조혜영, 염마영(2013). 가정어린이집 보육 운영현황 및 표준보육비 산정에 대한 연구. 한국어린이집총연합회 가정분과위원회.
  22. 노영희(2009). 유아의 내러티브의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1), 303-330.
  23. 마송희(2007). 유아영어교육 연구동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2(5), 185-208.
  24. 마송희(2011). 통합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연구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5(5), 227-247.
  25. 문무경, 천세영, 황현주, 이진경(2012). 표준 유아교육비 산출 연구: 사립유치원을 중심으로. 육아정책연구소.
  26. 문선화(1995). 영유아 보육에서 표준보육단가 산출방식의 재검토 및 개선방안. 한국영유아보육학, 2, 15-37.
  27. 백선희, 김교성(2003). 아동보육비용의 사회적 분담 방안과 재정정책의 방향. 한국영유아보육학, 27, 210-237.
  28. 보건복지부(2012). 보육사업안내.
  29. 보건복지부(2012). 보육통계.
  30. 보건복지부(2013). 보육사업안내.
  31. 서문희(2006). 보육.유아교육 기본보조금의 내용과 과제. 육아정책포럼, 1, 6-19.
  32. 서문희(2010). 보육비.유아교육비 지원이 추가 출산 의사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 4(2), 76-95.
  33. 서문희, 박수연(2008). 보육시설과 유치원 이용시간 유형별 비용 차등적용방안. 육아정책연구소.
  34. 서문희, 양미선, 김은설, 최윤경, 유해미, 손창균, 이혜민(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가구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35. 서현아, 김정주(2010). 유아 다문화 관련 연구의 경향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65, 59-78.
  36. 손원경, 박진희, 전주영(2012). 유아과학교육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6(1), 95-114.
  37. 송명희(2012). 가정어린이집 운영정상화를 위한 정책방안: 보육비용을 중심으로. 전국가정시도연합회 주최 영아보육 질 개선을 위한 대안 마련 토론회, 12-40.
  38. 송정은(2005). 우리나라 보육료 지원제도에 관한 평가. 한국영유아보육학, 12, 259-273.
  39. 송현숙, 이혜리(2013.3.8). 사립유치원 월 100만원 시대. 경향신문.
  40. 염지은(2013.5.28). 0-2세도 유치원 입원 허용추진. 뉴스1코리아.
  41. 유치원 알리미(2013.3.4). http://e-childschoolinfo.mest.go.kr/
  42. 육아정책연구소(2011). 유아교육.보육 주요통계.
  43. 이경란, 정기섭(2011). 유아 다문화교육 연구 경향분석: 2006년부터 2010년까지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교육문화연구, 17(2), 5-28.
  44. 이대균, 백경순(2001). 1990년 전후반기 유아교육관련 학위논문의 동향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6(3), 219-234.
  45. 이대균, 백경순, 김현수(2006). 열린유아교육연구의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1(3), 169-188.
  46. 이미화, 서문희, 이정원, 이정림, 도남희, 권미경, 양미선, 손창균, 김경미(2012). 2012년 전국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47. 이미화, 서문희, 임양미, 이진경(2012). 표준보육료 산출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48. 이승희, 박지은(2006). 보육시설의 표준보육비 산출에 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15(1), 57-79.
  49. 이재무, 송영선(2012). 영유아 보육료 지원정책의 확대시행에 따른 만족도 조사연구. 한국영유아보육학, 72, 379-399.
  50. 이현용(2012.11.15). 박근혜 -보육교사 초과근무 정부지원 추진. 불교방송.
  51. 임양미(2011). 2012년 경기도 민간.가정어린이집 보육료 산정연구.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52. 임양미(2012). 어린이집 비 담임교사 제도에 대한 토론. 경기 보육주간 보육정책 발전방안 토론회, 47-50.
  53. 임양미, 전경숙, 김혜금(2010). 경기도 민간.가정보육시설 보육료 산정연구: 만 3-5세아를 중심으로.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54. 임미정(2012). 유아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부모관련 국외연구 동향. 유아교육학논집, 16(1), 501-522.
  55. 장영숙, 강경석(2005). 종일제 유치원 표준교육활동경비 산출연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4), 413-434.
  56. 장영숙, 이효숙, 유경숙, 황윤세(2002). 교육비 분석을 통한 유치원 교육재정 방향 모색. 유아교육학논집, 6(2), 39-64.
  57. 정설희, 류은주, 안연경(2010). 유아 또래관계 관련 연구동향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5(3), 333-352.
  58. 정설희, 임양금, 안진경(2009). 유아 미술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1998-2008년 학회지 논문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4(4), 297-319.
  59. 정성수(2008). 한국 교육정책학의 최근 연구동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26(4), 191-216.
  60. 정유림(2012.8.27). 겉도는 공공보육 .. 교사와 아이만 지친다. 웰페어뉴스.
  61. 최미숙, 황윤세(2004). 유아발달에 관한 학술지 논문의 연구경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24(5), 187-205.
  62. 프리즘 (2013. 2.28). http://www.prism.go.kr/homepage/main/retrieveMain.do
  63. 하남재, 석재은(2011). 한국의 보육료지원제도는 취업모 친화적인가? 사회복지정책, 38(2), 139-163.
  64. 하채림, 김경윤(2013.5.30). 보육교사 급여 유치원 교사수준으로 올린다. 연합뉴스.
  65. 한국보육진흥원(2013). 전국 어린이집 평가인증률 내부자료.
  66. 한국조세연구원(2005). 표준보육.교육단가 및 적정부담수준에 관한 연구. 한국조세연구원.
  67. 허선, 박효진(2010). 보육료지원제도의 소득계층별 형평성 분석. 한국영유아보육학, 63, 177-201.
  68. 현진권(2010). 보육정책의 방향 모색: 시장과 정부의 역할분담. "보육료 자율화 VS. 규제" 대토론회, 51-54.
  69. 황해익(1998). 유아교육 관련 학위 논문의 연구방법론 고찰: 1980년 이후를 중심으로. 유아교육논총, 8, 111-135.

Cited by

  1. Effects of Nursing Teacher's Efficacy and Professionalism on Childhood Curriculum Performance vol.37, pp.2,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2.43
  2. 가정어린이집 표준보육비 산정 연구 vol.9, pp.5,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037
  3. A critical discours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ies and their local implementation in Korea vol.33,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3.33.6.009
  4. Daycare center directors' operational management, cooperative relationship and demand related to the daycare Center bus running vol.10, pp.4, 2015, https://doi.org/10.16978/ecec.2015.10.4.002
  5. 영아반 보육교사의 교사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안정성, 대인관계 스트레스, 근무환경을 중심으로 vol.38, pp.2, 2013, https://doi.org/10.5723/kjcs.2017.38.2.205
  6. 예비유아교사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회복 탄력성이 교직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vol.20, pp.3,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9.20.3.1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