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s betwee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 이은진 (계명문화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3.04.15
  • Accepted : 2013.08.19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 total of 294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that examined thei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averag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The groups of 3rd and 4th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nd grade group. Second, the teachers' recognition was below average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The groups of 3rd and 4th grade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nd grade group. Third, a meaningful statistical relationship was found betwee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their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s the scor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became higher, the score in attitude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became higher.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의 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었다. 이를 위하여 3년제와 4년제 대학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29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부 회수한 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이 보통정도이며 과학적 태도도 보통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는 3년제 대학의 3학년과 4년제 대학의 3 4학년 집단이 2학년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학년 집단은 1학년 집단보다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가 낮게 나타났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 효능감은 4년제 대학의 경우,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와 유사하게 2학년 집단이 가장 낮은 반응을 나타냈고 3년제 대학의 경우 학년이 높아질수록 과학교수 개인효능감이 높아졌다.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 간에는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으며 이는 과학교수지식이 높을수록 과학적 태도와 과학교수 효능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중에서 과학적 태도가 과학교수 효능감보다 과학교수지식과 더 높은 상관을 나타냈다. 앞으로 예비유아교사 교육에서 과학교수지식과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수방법에 대한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주영(2001). 유아교사의 과학교수 효능감 수준에 따른 과학교육 실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경희(2001). 유아교사와 예비교사의 과학적 지식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다영, 황은희, 이경옥(2012).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교수 태도에 있어서 과학교수 불안의 매개효과 연구. 유아교육연구, 32(6), 287-305.
  4. 김명애(2002). 구성주의 접근에 기초한 탐구증심 과학교육의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아동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5. 김순남, 최혜진(2012). 유아교사의 교직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인에 대한 연구: 배경변인, 발달단계, 책무성 인식을 중심으로.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4), 53-76.
  6. 김영실, 임양금, 최인숙, 안진경(2004). 예비 유아 교사의 과학적 지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불안감과의 관계. 열린유아교육연구, 9(4), 121-136.
  7. 김영옥, 이규림, 조홍자, 차금안(2012). 유아교사의 과학적 지식 수준에 따른 과학활동 불안, 태도 및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7(1), 99-115.
  8. 김현진(2008).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과학 교수태도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8(4), 169-187.
  9. 김효숙(2003). 유치원 과학교육의 운영실태에 관한 연구.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노진형(2008).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지식이 과학적 태도 및 과학교수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12(4), 53-67.
  11. 박성혜(2003a).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측정도구 개발.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105-134.
  12. 박성혜(2003b). 교사들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과 예측변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6), 671-683.
  13. 박성혜(2006). 중등과학교사들의 교수법 및 자기효능감과 태도에 따른 교과교육학지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122-131.
  14. 박해미(2009). "현장수업경험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에 미치는 영향". 열린유아교육연구, 14(6), 539-555.
  15. 백은주, 구정아(2012).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구성주의적 접근 유아과학교육 수업 탐색. 아동학회지, 33(2), 13-35. https://doi.org/10.5723/KJCS.2012.33.2.13
  16. 신은수, 안경숙, 김은정, 안부금(2006). 생활과 환경중심의 영유아 과학교육. 서울: 양서원.
  17. 안경숙(2003). 유아과학활동과 통합된 과학능력 평가도구의 개발: 과학적 태도, 탐구능력, 과학적 개념에 대한 평가.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유경숙(2007). 예비유아교사의 과학적 태도. 아동교육, 16(2), 47-55.
  19. 유병예, 양성은(2013). 예비보육교사의 실습 경험에 관한 과정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3), 95-119.
  20. 윤근영(2007). 초등교사의 발달단계와 수업전문성과의 관계. 초등교육학연구, 14(2), 59-76.
  21. 이경민(2000). 상호작용적 교수법에 의한 과학교육이 유아의 과학적 개념.탐구능력.태도에 미치는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2. 이은진(2010). 과학교수지식(PCK) 신장을 위한 강좌에 참여한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에 대한 관점과 과학교수지식의 변화과정. 열린유아교육연구, 15(5), 33-57.
  23. 이지영(2009). 유아교사의 과학 교과교육학지식 수준에 따른 유아의 물에 대한 과학적 개념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상녀(2013). 팀티칭 현장 수업 장학이 예비유아교사의 수업기술 및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75, 19-41.
  25. 조부경, 백성혜, 이은진(2005). 물에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것에 대한 탐색 활동에 나타난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대한 고찰. 유아교육연구, 25(6), 59-85.
  26. 조부경, 서소영(2001).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22(2), 361-373.
  27. 조부경, 이은진(2007). 유치원 교사의 과학교수지식에 영향을 주는 관련 변인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2(1), 185-205.
  28. 최종식(1999).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교수불안이 학생들의 과학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Bandura, A. (1999). 자기효능감과 인간행동-이론적 기초와 발달적 분석. 김의철, 박영신, 양계민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저 1997 출판).
  30. Bitner, B. L. (1993). ACT science, C-Base science, college science hours, and GPA predector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ttitude toward teaching of science. ERIC Document Reproduction No. 363 508.
  31. Brickhouse, N. W. (1990). Teachers' belief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nd their relationship to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53-62. https://doi.org/10.1177/002248719004100307
  32. Bullough, R. V. (2001). Pedagogical content knowldedge circa 1907 and 1987: A stucy in the history of an ide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655-666.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22-1
  33. Enochs, L, G., & Riggs, I. M. (1990). Futher development of an elements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A preservice elementsry scale. School Science and Mathemetices, 90(8), 694-706. https://doi.org/10.1111/j.1949-8594.1990.tb12048.x
  34. Gauthier, S. A. (1994).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as reflected in the science autobiographi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New Hampshire, NH.
  35. Grossman, P.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6. Kaplan, R. G. (1991). Teacher beliefs and practices: A square peg in a square hole.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international group for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 Reston, VA: Blacksburg.
  37. Luft, J. A. (1999). Teachers' salient beliefs about a problem-solving demonstration classroom in-service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6(2), 141-158.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902)36:2<141::AID-TEA3>3.0.CO;2-P
  38. Martin, D. J. (2001). Constructing early childhood science. NY: Delmar.
  39. Plonczak, I. (2008). Science for all: Empoweri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Citizenship and Social Justice, 3, 167-181. https://doi.org/10.1177/1746197908090081
  40. Scharman, L. C. (1998). Locus of control: A discriminator of ability to foster an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mong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Education, 72(4), 453-465.
  41. Van Aalderen-Smeets, S, I., Walma van der Molern, J. H., & Asma, L, J. F. (2012). Primary teachers' attitudes toward science: A new theoretical tramework. Science Education, 96(1), 158-182. https://doi.org/10.1002/sce.20467
  42. Vitale, M. R., & Romance, N. R. (1992). Using videodisk instruction in an elementary science methods course: remediating science knowledge deficiencies and facilitating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9), 915-928. https://doi.org/10.1002/tea.3660290903

Cited by

  1. Exploring Science Education Anxiety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Using Q-Methodology vol.37, pp.3,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3.69
  2.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vol.11,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