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One to One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on Two-year-olds' Verbal & Nonverbal Reading Response and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일대일 상호작용을 통한 그림책 읽기가 만 2세 영아의 언어적·비언어적 읽기 반응과 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유경희 (가톨릭대학교 유아교육전공, 원스쿨어린이집) ;
  • 최나야 (가톨릭대학교 아동학전공)
  • Received : 2013.08.14
  • Accepted : 2013.10.1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one to one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on infants' reading response and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A total of 50 2-year-olds from 8 child care centers in Incheon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nce a week during 12 weeks.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ad one-to-one with teachers, and their counterparts read the same book in a group. The change in teachers' language teaching efficacy was examined, and their subjective perception was evalua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the inf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verbal respon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oth in the total score and most sub-factors such as naming, responding, asking, demanding, spontaneous utterance, and decontextualized utterance. They also represented a significant ris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total score of non-verbal response and factors like finger indicating, imitating, and accepting. Finally, the teachers who le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d language teaching efficacy, and evaluated the effects of interactive picture book reading with infants very positively.

이 연구는 영아와 보육교사 간의 일대일 상호작용을 통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영아의 읽기반응과 교사의 언어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만 2세 영아 5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2주 동안 매주 1회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영아들에게는 교사가 일대일로 풍부한 상호작용을 하면서 읽어주었고, 통제집단 영아들에게는 동일한 책을 집단으로 읽어주었다. 또한 교사를 대상으로 언어교수효능감의 변화를 살펴보고 심층면접을 통해 인식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 영아들의 언어적 반응의 총점과 하위 범주 중 명명하기, 응답하기, 질문하기, 요청하기, 자발적 대화, 탈상황적 대화에 해당하는 언어적 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들은 비언어적 반응의 총점과 하위 범주 중 손가락으로 지적하기, 따라 하기, 인정하기에서도 통제집단에 비해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실험집단을 이끈 교사들은 언어교수효능감의 증가를 보였고, 풍부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는 영아와의 일대일 그림책 읽기의 효과를 높이 평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명순(1996). 어머니의 문해 신념과 유아-어머니의 상호작용 및 문어의 의미구성 전략 사용에 관한 질적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4(3), 305-323.
  2. 김민화(2005). 그림책 읽기에서 나타난 그림책, 영아, 어머니의 삼자간 의사소통. 어린이 문학교육연구, 6(2), 19-51.
  3. 김연수.곽금주(2010). 영아기 어머니의 언어적 반응성 및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능력과 아동초기 언어능력 간의 관계. 인간발달연구, 17(1), 191-207.
  4. 김재순.김희진(2003). 만 2, 4세 유아와 어머니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1(3), 57-71.
  5. 김정아(2006). 영아 언어발달을 위한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모형의 적용 및 효과.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주아(2007). 그림책을 활용한 만 2세 영아의 몸짓 언어 프로그램 개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주희.이숙희(2005). 유치원 그림책 읽기 수업에서 나타난 교사 관점과 유아 반응. 어린이 문학교육 연구, 6(2), 101-125.
  8. 남 규(2009). 교사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영아의 언어발달 비교.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문혁준(2005). 자녀양육의 최근 연구동향과 과제. 2005년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5-48.
  10. 보건복지부(2013). 영아보육프로그램 운영의 이해.
  11. 신민경(2006). Maternal input and responsiveness in the vocabulary development of children at 13 and 20 months.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어린이도서연구회(2009). 유아문학교육프로그램. 서울 : 창지사.
  13. 윤진주(2008b). 유아의 문식성 발달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태도와 가정의 문식성 환경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7(1), 119-129.
  14. 윤진주(2009). 보육교사의 유아 언어교육 내용지식과 유아 언어교수효능감 및 교실내 언어 환경간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9(3), 5-22.
  15. 이미화(2003).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 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6. 이미화.김명순(2004). 영아를 위한 대화식 그림책 읽기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아동학회지,25(2), 41-57.
  17. 이민경(2003). 영아-어머니 애착 안정성과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 열린유아교육연구, 8(2),161-181.
  18. 이 영(1994). 어린이집과 가정에서의 양육환경과 유아의 언어행동, 애착, 어떻게 다른가?. 삼성복지재단 어린이개발센터.
  19. 이영자.이종숙(1996). 영아의 문해행동 발달과 영아-부모 상호작용 유형의 변화. 유아교육연구, 16(1), 41-65.
  20. 이영자.이종숙.이정욱(1997). 1, 2, 3세 유아의 의미-통사적 발달 연구: 문법 범주 및 문장유형의 발달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17(2), 55-75.
  21. 이윤선.김명순(2013). 영아의 비언어적 의사소통과 어머니의 언어적 행동 및 영아 어휘력 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4(2), 1-25.
  22. 이지연.이근영.장유경(2004). 어머니의 책 읽기 상호작용 유형이 영아의 초기 어휘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7(1), 131-146.
  23. 이지혜.성소영(2011). 상호작용적 그림책 읽기 활동이 영아의 언어발달과 교사의 언어 태도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0(1), 113-140.
  24. 이차숙(1992). 유아의 그림이야기책 읽기 활동에서 어머니의 매개적 역할이 유아의 문식성 발달 과정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5. 지연주.최나야(2012). 교사와 어머니의 문해신념, 그림책에 대한 인식 및 읽기활동 빈도가 유아와의 그림책 읽기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8(6), 5-28.
  26. 채유진(1998). 가정에서의 어머니-영아 간 책읽기 상호작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천화영.황혜정(2013). 가정과 교실의 문해환경이 유아의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1), 25-49.
  28. 최나야.아이종이(2011). 그림책을 활용한 통합적 유아교육활동. 서울 : 교문사.
  29. 최예린.박찬옥(2010). 1세 영아의 그림책 읽기 행동 변화 탐색. 열린유아교육연구, 15(3),425-450.
  30. 한유미(2007). 그림책 보기 상황에서 나타나는 2세 영아 혼자, 또래 간의 비언어적.언어적 행동.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Berk, L. E., & Winsler, A. (1995). 어린이들의 학습에 비계설정: 비고츠키와 유아교육. 홍용희 옮김(1995). 서울 : 창지사.
  32. Bruner, J. S. (1983). Childs talk: Learning to use language. Oxford University Press. Cambridge, MA : MIT Press.
  33. Clarke-Stewart, K. A., & Allhusen, V. D. (2002). Nonparental caregiving. In M. Bornsrein(ed.), Handbook of parenting. Mahwah, NJ : Erlbaum.
  34. Clarke-Stewart, K. A., & Beck, R. J. (1999). Maternal scaffolding and children's narrative retelling of a movie story.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4, 409-434 https://doi.org/10.1016/S0885-2006(99)00018-6
  35. Cook, C. (1988). Self-concept and the disabled reader: Annotated bibliograph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pp. 298-440).
  36. de la Torre Cruz, M. J. (2007). Comparative analysis of expectancies of efficacy in-service and prospective teachers.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641-652.
  37. Dickinson D. K., & Smith, M. W. (1994). Long-term effect of preschool teachers book readings on low-income children's vocabulary and story comprehension. Reading Research Quarterly, 29, 105-122.
  38. Goldfield, Beverly A., & Reznick, J. Steven. (1990). Early lexical acquisition: Rate, content, and the vocabulary spurt. Journal of Child Language, 17, 171-184. https://doi.org/10.1017/S0305000900013167
  39. Gopnik, A., Meltzoff, A. N., & Kuhl, P. (1999). The scientist in the crib. 아기들은 어떻게 배울까? 곽금주 옮김(2008). 파주 : 동녘사이언스.
  40. Hall, B, W. (1992). Attribution that teachers hold to account for student success and failure and their relationship to teaching level and teacher efficacy beliefs. San Francisco, CA.(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49285).
  41. Hart, B., & Risley, T. (1995).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everyday experience if young american children. Baltimore, MD : Brooks.
  42. Hoff-Ginsberg, E. (1991). Mother-child conversation in different social classes and communicative settings. Child Development, 62(4), 782-796. https://doi.org/10.2307/1131177
  43. Honig, A. S. (2000). How to read to very young children. Scholastic Early Childhood Today, 14(1), 28-29.
  44. Makin, L. & Whitehead, M. (2004). 아이들의 문해 어떻게 지도할까? 최나야 옮김(2009). 서울 : 시그마프레스.
  45. Nelson, K. E. (1973). Structure and strategy in learning to talk. Monographs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38, 149.
  46. Ninio, A., & Bruner, J. S. (1978). The achievement and antecedents of labeling. Journal of Child Language, 5, 1-15.
  47. Ninio, A. (1986). Picture-book reading in mother-infant dyads belonging to two subgroups in Israel. Child Development, 51(2), 587-590.
  48. Ortiz, C., Stowe, R. M., & Arnold, D. H. (2001). Parental influence on child interest in shared picture book reading.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6, 263-281. https://doi.org/10.1016/S0885-2006(01)00101-6
  49. Pellegring, A. D., Perimuter, J. C., Galda, L., & Broda, G. H. (1990). Joint reading between black head star children and their mother. Child Development, 61, 443-453. https://doi.org/10.2307/1131106
  50. Roser, N., & Martinez, M. (1985). Roles adults play in preschoolers' response to literature. Language Arts, 62, 435-453.
  51. Senechal, M., LeFevere, J., Hudson, E., & Lawson, E. P. (1996). Knowledge of storybooks as a predictor of young children's vocabula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8(3), 520-536. https://doi.org/10.1037/0022-0663.88.3.520
  52. Snow, C. E., & Goldfield, B. A. (1983). Turn the page please: Situation-specific language acquisition. Journal of Child Language, 10, 551-569.
  53. Snow, C. E., & Ninio, A. (1986). The contracts of literacy: What children learn from learning to read books. In W. H. Teale & E. Sulby (Eds.), Emergent literacy: Writing and reading (pp. 116-138). Nowood, NJ : Ablex Publishing.
  54. Sulzby, E., & Teale, W. H. (1991). Emergent literacy: In R. Barr, M. L. Kamii, P. B. Mosenthal., & P. D. Person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2 (pp. 727-758). NY : Longman.
  55. Valdez-Menchaca, M. C., & Whitehurst, G. J. (1992).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A systematic extension to Mexican day care. Developmental Psychology, 28, 1106-1114. https://doi.org/10.1037/0012-1649.28.6.1106
  56. Vygotsky, L. S. (1978). Mind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Camb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57. Waxman, S. R. (2004). Early word-learning and conceptual development: Everything had a name, and each name gave birth to a new thought. in U. Goswami (ed.), Blackwell handbook of childhood cognitive development (pp.102-126). Singapore : Blackwell Publishing.
  58. Whitehurst, G. J., Falco, F. L., Lonigan, C. J., Fischel, J. DeBaryshe, B. D., Valdez-Menchaca, M. C., & Caufield, M. (1988). Accelerating language development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Developmental Psychology, 24(4), 552-559. https://doi.org/10.1037/0012-1649.24.4.552

Cited by

  1. Reading aloud picture books to children and literacy development vol.34, pp.6,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4.34.6.003
  2. 어린이집 영아반 및 유아반 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vol.11, pp.6, 2015,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097
  3. The effects of Infant’s temperament and teacher efficacy in day care centers on the vocabulary ability of infants aged 10 to 20 months vol.36, pp.6, 2016,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6.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