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n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s Manual for 「Age 3-5 Nuri Curriculum」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 Received : 2013.08.15
  • Accepted : 2013.12.18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eacher's manual for "Age 3 - 5 Nuri Curriculum." The criteria of identity, diversity, openness, democracy, and community were used to investigate 1,470 activities relevant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Nuri Curriculum, which was published in March, 2013. The findings were categorized into life theme, contents area and activity type. In the life theme, multicultural contents appeared most in 'my town' and 'my country,' while the least in 'spring, summer, fall, winter.' In the contents areas, diversity, identity and community appeared more than democracy and openness. And, these contents included social relationships. In the activity type, multicultural contents are analyzed the most frequently in 'math activity' and 'sharing a story.'

본 연구의 목적은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2013년 3월에 발행한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2116의 활동 중 다문화 교육내용과 관련된 총 1470개의 활동을 가지고 '정체성', '다양성', '개방성', '민주성', '공동체성'의 다섯 가지 분석준거로 다문화 교육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된 결과는 생활주제별, 내용영역별, 활동 유형별로 정리되어 제시되었는데 결과, 생활주제별로는 '우리동네'와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교육내용이 다루어졌으며, '봄, 여름, 가을, 겨울' 주제에서 가장 적게 다루어졌다. 내용영역별로는 '다양성'과 '정체성 그리고 '공동체성'의 내용이 많았고, '민주성'과 '개방성'의 내용은 적었다. 그리고 이들 내용은 대부분 '사회관계'에서 다루어지고 있었다. 활동유형별로는 자유선택활동에서는 '수조작영역'에서, 대집단에서는 '이야기 나누기'에서 가장 많은 다문화 교육내용을 다루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견주연(2013). 다문화 유아교실을 만들기 위한 협력적 실행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견주연, 하은실, 정계숙(2012). 유아 교실 내 다문화 교육 수행에 대한 교사 인식 및 실제. 아동학회지, 33(3). 177-192.
  3.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4.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2013).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5. 교육인적자원부(2007). 교사와 유아를 위한 유아사회교육 활동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6. 김숙자, 김윤이(2011). 표준보육과정에 기초한 보육프로그램에서의 다문화 관련 교육내용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5(3), 441-457.
  7. 김숙자, 박세영(2011).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6(1), 307-334.
  8. 김영옥(2002). 유아 다문화 교육 프로그램 모델 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6(2), 5-38.
  9. 박찬옥, 이예숙(2010).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및 방법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4(6), 383-403.
  10. 배재정(2011). 교사가 지각한 유아 다문화교육의 내용. 유아교육연구, 31(4), 143-163.
  11.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 관리본부(2012). 출입국 외국인정책 통계월보. 서울: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관리본부.
  12. 서현아, 천희영, 위수정(2011). 한국과 미국 예비 유아교사의 다문화 관련 경험에 따른 다문화 이해 및 다문화교육 관련 특성에 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4), 69-94.
  13. 서혜은(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 개념에 대한 연구. 동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4. 서혜은, 손유진(2013). 보육교사와 부모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유아교육연구, 33(1), 323-344.
  15. 심미영, 조연경, 곽승주(2013).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교육내용 분석 및 활용. 유아교육학논집, 17(1), 389-415.
  16. 안전행정부(2013). 외국인주민 현황조사. 서울: 안전행정부.
  17. 유영의, 우수경, 이상례(2012). 유치원 교육확동 지도서에 수록된 동화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순천향인문과학논총, 31(3), 245-273.
  18. 윤갑정, 고은경(2011). 유아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인식 연구를 통해 본 유아다문화교육.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1), 233-257.
  19. 이연선, 윤갑정, 견주연(2012). 유아다문화교육의 의미 탐색 및 실제적 제언: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32(3), 117-140.
  20. 장원순, 서강식(2010). 한국 다문화교육내용 체계화에 관한 연구. 서울: 한국다문화가족연구원.
  21. 장혜진(2010). 유아를 위한 다문화 교육의 새로운 방향성 탐색. 유아교육학논집, 14(2), 101-123.
  22. 전혜정, 민성혜, 이민영, 최혜영, 장수지, 조을순(2008). 국제결혼가정 자녀 실태조사 및 성장지원 방안연구. 서울: 보건복지부.
  23. 정명수(2009). 유아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성과 적용효과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4. 조숙영(2012). 5세 누리과정에 기초한 어린이집 프로그램의 '다문화'관련 활동 분석. 열린유아교육연구, 17(6), 447-466.
  25. 채정란(1999).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와 다른 나라 생활주제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최문성, 김순자(2009). 다문화가정 자녀의 자아정체성 확립을 위한 도덕교육의 과제. 윤리교육연구, 19, 91-118.
  27. 황혜원(2012). 다문화주의 관련 쟁점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조사. 다문화교육연구, 5(2), 27-52.
  28. Davis, S., Leman, P., & Barrett, M. (2007). Children's implicit and explicit ethnic group attitudes, ethnic group identification, and seil-esteem.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1(5), 514-525. https://doi.org/10.1177/0165025407081461
  29. Derman-Sparks, L., & ABC Task force. (1989). anti-bias curriculum: Tools for empowering young children. Washington, D. C: NAEYC.
  30. Dewey, J. (1939). Theory of valua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Koppelman, K. L., & Goodhart, R. L. (2005). Understanding human differences: Multicultural education for a diverse America. Boston: Allyn and Bacon.
  32. Ramsey, P. G. (1987). Teaching and learning in a diverse worl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New York: Teacher College Press.

Cited by

  1. 국악장단을 적용한 크로스오버 음악활동이 유아의 다문화 인식에 미치는 영향 vol.10, pp.2,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4.10.2.021
  2.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countries around the world” from a multicultural education perspective vol.36, pp.1, 2013, https://doi.org/10.18023/kjece.2016.36.1.019
  3.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통일교육 내용분석 vol.13, pp.2,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2.115
  4. A Content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JapaneseⅠ based on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vol.24, pp.6, 2013, https://doi.org/10.24159/joec.2018.24.6.6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