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for Validation of th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for Korean Children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 타당화 연구

  • 신나리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 오정순 (충북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3.10.15
  • Accepted : 2013.12.22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II developed by High/Scope for Korean preschool children.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5 children aged three to six attending child care centers and their head teachers. They were observed for at least two months and completed the Korean version of Child Observation Record-II(K-COR-II). K-COR-II consisted of six categories and 32 items which had five-level-rubrics. The results from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dentified one dimension of the scale, there was no evidence of discriminant validity even after face validity was examined. The concurrent validity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revised scale were relatively high. Also, the mean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ps with regard to item discrimin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concluded that K-COR-II can be used as a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 to various aspects of preschool children's development.

본 연구는 루브릭 형태로 개발된 유아 평가 중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증받은 미국 하이스코프 재단의 유아용 Child Observation Record-II를 국내 유아를 대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타당화하여 유아관찰기록척도(K-COR-II)로 명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대전, 경기 및 충북에 소재한 8개 어린이집의 만 3세부터 만 6세 유아 255명과 담임교사 32명을 대상으로 2개월 이상의 관찰 후 K-COR-II를 사용하여 평정을 실시하였고, 공인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K-CDI를 함께 실시하였다. 신뢰도와 문항양호도 검중 및 타당도 검증을 위해 상관분석과 탐색적, 확인적 요인분석 및 AVE와 개념신뢰도 지수를 산출하였다. 그 결과 K-COR-II 각 항목의 내용타당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판별타당도 분석 결과 하위영역 간의 차별성은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확인적 요인분석과 AVE 및 개념신뢰도 지수 산출 검토 결과 집중타당도는 만족스러운 것으로 나타났으며, K-CDI를 이용한 공인타당도 결과 각 영역 간 상관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관찰자간 신뢰도와 영역별 항목간 내적합치도 또한 만족스러운 수준으로 판단되어 신뢰도 또한 확보되었으며, 각 문항별로 상 하 집단 간의 유의한 평균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문항변별도 또한 만족스러운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타당화된 K-COR-II가 유아교육 및 보육현장에서 유아의 발달 수준을 가늠하는데 활용가능한 신뢰롭고 타당한 도구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선영, 신나리, 김향은(2009). 보육. 아동학회지, 30(6), 267-279.
  2. 김용석(2009).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만족도 척도의 개발과 평가. 한국사회복지행정학, 11(3), 127-160.
  3. 김정미, 신희선(2006). K-CDI 아동발달검사 표준화 연구. 아동학회지, 27(4), 39-53.
  4. 범선화, 채정현(2008). 중학교 가정교과 수행평가를 위한 루브릭(rubric) 개발: 실험 실습법에 적용. 한국가정교육학회지, 20(3), 85-105.
  5. 변윤희, 현은자(2005). 유아 창의성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연구: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예술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연구, 25(5), 271-301.
  6. 신은미, 손복영(2011). 유아교사들이 인식하는 유아 주도성의 의미. 한국유아교육연구, 28(4), 465-492.
  7. 안은숙, 이지영(2006). 복지보육과 연계한 지역사회 서비스개발을 위한 욕구도 조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2(1), 17-40.
  8. 우종필(2012). 구조방정식모델의 개념과 이해. 서울: 한나래.
  9. 위영희, 조진형, 이정희, 왕영희, 신유림, 백은주, 이혜란, 이정림, 신나리, 한성희, 민현숙(2011). 유아교육개론. 서울: 오래.
  10. 이미화, 이정림, 여종일, 김경미, 김명순, 이경옥, 이완정, 이정욱, 최일선, 최혜영(2012). 5세 누리과정운영에 따른 유아평가 연구: 평가척도 개발. 서울: 육아정책연구소.
  11. 이은해(1995). 아동발달의 평가 및 측정. 경기: 교문사.
  12. 제주도교육청, 교육과학기술부(2008). 영유아 언어 인지 사회 정서 발달 평가 도구. 제주: 제주도교육청.
  13. 조성연, 이정희, 황혜정, 나종혜, 양성은(2008). 아동관찰 및 행동연구. 서울: 신정.
  14. 한국보육진흥원(2010). 보육교사 전문성 제고를 위한 표준보육과정의 이해와 적용. 서울: 저자.
  15. 한국어린이육영회(1997). 유아관찰척도. 서울: 저자.
  16. 황해익(2009). 유아교육평가의 이해. 서울: 정민사.
  17. Fabrigar, L. R. (1999). Evaluating the use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psychological research. Psychological Methods, 4(3), 272-299. https://doi.org/10.1037/1082-989X.4.3.272
  18. Follari, L. M. (2007).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Defining best practices. In L. M. Follari (Ed.), Foundation and best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pp. 104-124).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19. Goodrich, H. (1996). Understanding rubrics. Educational Leadership, 54(4), 14-17.
  20. Goodrich-Andrade, H. (2000). Using rubrics to promote thinking and learning. Educational Leadership, 57(5), 13-18.
  21. Goodrich-Andrade, H. (2001).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rubrics on learning to write. Current Issues in Education [On-line] , 4(4). Retrieved February 24, 2011, from http://cie.asu.edu/volume4/number4/index.html
  22. Herman, J. L., Aschbacher, P. R., & Winters, L. (1992). A practical guide to alternative assessment.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3.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1992).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4.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3). Preschool Child Observation Record (COR) kit, second edition.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5. High/Scope Educational Research Foundation. (2005). Child Development Observation (COR) information for decision makers. Ypsilanti, MI: High/Scope Press.
  26. Ireton, H. (1992).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Minneapolis, MN: Behavior Science Systems.
  27. Marzano, R. J., Pickering, D. J., & McTighe, J. (1993). Assessing student outcomes: Performance assessment using the Dimensions of Learning model.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8. McAfee, O., & Leong, D. J. (2009). 발달과 학습에 대한 유아평가 [Assessing and guiding young children's development and learning, 4th ed.].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서울: 학지사(원전 2008년 출판).
  29.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2003). Early childhood curriculum, assessment, and program evaluation: Building an effective, accountable system in programs for children birth through age 8. Retrieved September 10, 2010, from http://www.naeyc.org/files/naeyc/file/positions/ CAPEexpand.pdf
  30. Wortham, S. C. (2010). 유아교육과 평가 [Assessmen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5th ed.]. (김경철, 이진희, 최미숙, 황윤세 역). 서울: 정민사(원전 2008년 출판).

Cited by

  1. Development of a Teacher Rating Scale of Childcare Adapta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vol.37, pp.6, 2016, https://doi.org/10.5723/kjcs.2016.37.6.35
  2. 연세 개방주의 교육과정에 기초한 유아 행동발달척도 타당화 연구 vol.13, pp.5, 2013, https://doi.org/10.14698/jkcce.2017.13.05.043
  3. 유아 음악성 평가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vol.15, pp.3, 2019, https://doi.org/10.14698/jkcce.2019.15.03.1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