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ing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for Geography Learning: Focused on Marker Based Methods

지리 학습을 위한 증강현실 적용 방안 연구: 마커기반 방법을 중심으로

  • Park, Jeong-Hwa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Kim, Young-Hoon (Department of Geography Educ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박정환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 김영훈 (한국교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3.10.22
  • Accepted : 2013.12.0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In this paper, we describe two exploratory examples in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AR) for geographical visualization regarding refinement of visual content in geography textbooks and learning motivation of geography students. Currentl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with AR technology and their utilization in the geography classroom have become a new topic in geographical research themes, and this trend has increased. Adequate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geographical materials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for smart education research in geography.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and software, and the implication of marker AR ap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geography in the classroom. For the AR applications to be utilized in geography education, two marker based AR examples, virtual globe and visualization of topographical features, are presented and their utilization aspects are discussed. Finally, from the discussion stated in this paper, it can be inferred that AR is useful for exploring geographical materials, and marker based AR will contribute to progress in spatial science and geographical education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교과서 내의 시각 자료의 구체화와 학습자의 동기 유발 측면에서 최근 주목받고 있는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하여 지리 콘텐츠 개발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스마트 교육 환경에서의 교수-학습 콘텐츠에 대한 관심과 이를 반영하려는 지리교육 연구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마트교육에 적합한 지리 콘텐츠의 개발과 적절한 활용 방안의 제시는 중요한 연구의 출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교과서 지면과 사례를 통해서 마커기반 증강현실의 연계 사례를 제시함으로서 앞으로의 증강현실 기술과 관련지리 콘텐츠의 활용 방안의 실제적 측면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지리수업에서 활용될 수 있는 증강현실 콘텐츠로서 마커기반의 가상 지구의와 지형 정보 시각화 콘텐츠를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증강현실은 스마트교육 환경에서의 지리 콘텐츠의 개발에 직접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기술인 동시에 앞으로 디지털 환경에 기반한 공간정보 및 지리교육 연구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