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and the Suggestion of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TV Historical Drama

TV 역사 드라마의 격구복식을 위한 연구와 제언

  • Kim, Eun-Jung (Dept. Clothing & Textil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 Received : 2012.06.11
  • Accepted : 2012.11.08
  • Published : 2013.01.31

Abstract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stumes of Gyeokgu in different situations and to suggest when and how they should be used in historical drama. Gyeokgu is a type of polo game that was played in Korea and it was also known as Gyeokbong and Bonghee. The accounts of the game show that it was played during the South-North period as recorded in Balhaego, Haedongyeoksa, and Goryeosa until the Joseon period. The scenes of Gyeokgu have been shown in some historical dramas in order to make the story exciting or to show the life of royalty.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South-North period should be suggested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in a formal situation. The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was a sport for royalty. So the Gyeokgu costume in the Goryeo period was required to be worn with Danryeong(團領), Bokdu, and Haw(靴) for the kings and military officers in the early Goryeo period and with Cheollik(帖裡), Balip or Huklip(黑笠), and Haw(靴) from the middle of the Goryeo period. Women could wear Chima(skirt), Jeogori(blouse), Pyo, and Li(履) when they play Gyeokgu in the Goryeo period in the historical dramas. The Gyeokgu in the early Joseon period was a sport for the kings. After the king of Sejong, the Gyeokgu became a martial art for the military officers. The costume of Gyeokgu in the Joseon period should be Red Cheollik(紅帖裡), Kwadu, Jonglip, Gwangjodae(廣組帶), Sagu, and Haw(靴) as recorded in Muyedobotongji in the 18th century. The kings, servants, and military officers could wear the Cheollik and should be made in the different Git(collar), shape of the sleeves, and the proportion of the upper part and the underpart in each period properly. When the citizens play Gyeokgu, they could wear Geon(巾), Baji(pants), Jeogori(shirt), and Gipsin in the late Joseon period.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199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 경기: 한국정신문화연구원, pp. 800-801.
  2. 정형호 (2010), 동아시아 격구의 전승양상과 비교연구, 비교민속학, 41, pp. 255-257.
  3. 정형호 (2010), 동아시아 격구의 전승양상과 비교연구, 비교민속학, 41, pp. 265-266.
  4. 이진웅 (1996),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임금들의 신체 활동과 유희.오락, 한국체육학회지, 35(4), pp. 29-31.
  5. 박문영 (2001), 조선 초기 왕실의 체육활동 연구-격구와 격봉 놀이를 중심으로-,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 2-6.
  6. 이영혜 (2010), 2000년대 대중문화와 사극의상-TV드라마 영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48-50.
  7. 동아국어사전연구회 편 (1990), 새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p. 1657.
  8. 주창윤 (2004), 역사드라마의 역사서술방식과 장르형성, 한국언론학보, 48(1), p. 167.
  9. 주창윤 (2007), 역사드라마의 장르사적 변화과정, 한국극예술연구, 25, pp. 369-398.
  10. 이영혜 (2010), 2000년대 대중문화와 사극의상-TV드라마 영화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 49-51.
  11. 倭漢三才圖會 13, 서울: 국학자료원, p. 540.
  12.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138.
  13. KBS아트비전 (2004), 한국복식도감, 서울: 한국방송출판, p. 76, 96, 97.
  14. 자료검색일 2012. 2. 15, http://www.krpia.co.kr
  15. 海東譯史, 卷41, 交聘通日本始末擊毬條.
  16. 高麗史, 卷1, 태조, 세가.
  17. 허청웨이 (2008), 중국을 말한다 9: 당나라의 기상 , 김동휘 역, 서울: 신원문화사, p. 239.
  18. 高麗史, 卷14, 세가(世家) 권제 14, 예종 병신 11년 (1116).
  19. 高麗史, 卷13, 예종 경인 5년(1110).
  20. 高麗史, 卷19, 명종 갑오 4년(1174).
  21. 高麗史, 卷21, 희종 무진 4년(1208).
  22. 조왕묵 (2006), 우리민족의 놀이문화, 서울: 정신세계사, p. 81.
  23.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p. 119-121.
  24. 世祖實錄, 卷42, 13년 6월 3일(병신).
  25. 한국역사연구회 (2005), 고려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서울: 청년사, p. 135.
  26. 이강칠 (2003), 역사인물초상화대사전, 서울: 현암사, pp. 32-33.
  27. 자료검색일 2012. 8. 30, http://www.newscj.com/news/articleView.html
  28. 유희경, 김문자 (1998), 한국복식문화사, 서울: 교문사, p. 140
  29. 서긍 (2005), 송나라 사신, 고려를 그리다 고려도경, 민족문화추진회 역, 서울: 서해문집, pp. 102-111.
  30. 太祖實錄, 卷1, 총서 35.
  31. Liu Fengwen (2007), Belle Painting of Ancient China, Beijing: China International Press, p. 79.
  32. 正宗實錄, 卷1, 1년 3월 13일(갑신).
  33. 正宗實錄, 卷2, 1년 8월 4일(신축).
  34. 世祖實錄, 卷42, 13년 5월 7일(신미).
  35. 太宗實錄, 卷31, 16년 2월 28일(신묘).
  36. 世宗實錄, 卷32, 8년 4월 11일(갑술).
  37. 世祖實錄, 卷34, 10년 12월 20일(기해).
  38. 中宗實錄, 卷88, 33년 9월 29일.
  39. 光海君日記, 卷34, 2년 10월 8일(기묘).
  40. 仁祖實錄, 卷21, 7년 8월 1일(계축).
  41. 정형호 (1999), 한국격구의 역사적 전승과 변모양상, 제 3 회 국제아세아민속학회 국제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 152.
  42. 世祖實錄, 卷42, 13년 6월 3일(병신).
  43. 宣祖修正實錄, 卷26, 25년 4월 14일(계묘).
  44. 자료검색일 2012. 1. 12, http://yjc.culturecontent.com
  45. 강순제 (2004), 무예도보통지의 <관복도설>을 중심으로 본 한국의 무예복, 한국전통무예 학술 대회,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92.
  46. 자료검색일 2012. 1. 15, http://ko.wikipedia.org
  47. 국립민속박물관 편 (2004), 한국세시풍속 정월, 서울: 국립민속박물관, p. 425.

Cited by

  1. 조선 시대 수학과 수학자에 대한 역사 드라마 vol.14, pp.7,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4.14.07.0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