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전통정원 해외조성을 위한 정원보급 유형 제안 - 공공 공간에 적용될 정원을 대상으로 -

Suggestions on the Types of the Distribution of Gardens for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 Oriented the Garden which is Applicable to the Open Space -

  • 권진욱 (영남대학교 조경학과) ;
  • 박은영 (중부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홍광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황민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Kwon, Jin-Wook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Yeungnam University) ;
  • Park, Eun-Yeong (Dept. of Environmental Landscape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
  • Hong, Kwang-Py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Hwang, Min-H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발행 : 2013.09.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조성하기 위한 보급 및 활성화의 일환으로 한국문화 즉 전통정원의 정체성을 정립하며, 해외에 거주하는 한국인과 자국민들로 하여금 한국전통정원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보편적 실현방안을 마련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이 해외에 조성될 때 개별성을 가질 수 있는 계획 및 설계에 대하여 최소한 지침을 마련하고, 계획가들이 고려하여야 할 방향성을 수립하는 것에 목적을 두었다. 해외에 조성되는 한국전통정원의 유형은 조성목적과 실현되는 공간의 규모에 따라 형식적 다양성을 지니기도 하는 데, 가장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 한국적 경치에 어울리는 정서를 담아야 하고, 누구에게나 인지되고 이해 가능한 설계언어를 내포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한 한국전통정원을 해외에 보급하기 위한 공간 기본유형은 '전시(박람회)형', '정원형', '공원형'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기본유형은 정원 조성 시목적에 부합되는 특성별 프로토타입에 해당하며, 공간 규모적 측면을 고려할 때 전시(박람회)형의 모형을 구성의 최소단위로 설정하며, 도입 기본시설로는 '수목', '정(정자)', '방지(池)와 원도', '화계', '담장' 등의 요소를 권장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한국전통정원의 해외 조성을 위한 계획 및 설계의 기초자료로써 활용의 의미를 가진다.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nd develop a universal way for overseas Koreans and foreigners to have an appropriat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as part of efforts to distribute and promote the overseas establishment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developing planning and design guidelines to ensure that traditional Korean gardens have individuality when they are established overseas and on establishing directional rules for planners. Although traditional Korean gardens may vary in form according to their purposes and spatial scale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at they should incorporate emotions that are well-matched with Korean landscapes and that their design language should be easily recognizable and understandable to everyone. The basic spatial types of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which are presented in this study, include the exhibition(fair) type, the garden type and the park type. These basic types serve as prototypes that correspond to the purposes of the gardens. In consideration of the spatial scale, the exhibition(fair) type is set as the minimum unit for composition, and suggested basic facilities include trees, a well, a pond and an island in the pond, flower beds and fen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as basic information for planning and designing traditional Korean gardens for overseas establishment.

키워드

참고문헌

  1. 구영일, 이재근(2005). 한국현대 조경작품의 한국성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116-134.
  2. 김경돈, 한갑수, 윤영활(2003). 해외에 조성된 한국전통정원의 재현 특성. 삼림과학연구. 19: 39-47.
  3. 김신원(1999). 대학캠퍼스의 아이덴티티 제고에 관한 기초연구. 디자인연구. 2(1): 43-48.
  4. 김용수, 이제화(1989). 인공지를 갖춘 정자에 있어서 조망각도와 선호요인에 관하여. 한국조경학회지. 17(2): 1-14.
  5. 박길룡(1997). 한국건축의 미적차원-현상과 관계. 플러스 9705.
  6. 신병철(2003). 전통조경요소의 시각적 선호인자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1(1): 39-47.
  7. 윤주철, 이관희(2007). 한국전통조경요소의 중요도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86-93.
  8. 이승훈(2005). 한국전통정원의 전통설계요소 표현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이재근(1991). 한국정원의 전통성 구현을 위한 설계방법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9(1): 61-80.
  10. 정성혜, 심우경(1995). 한국전통정원에 대한 경관선호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3(2): 104-112.
  11. 정재훈(2005). 한국전통조경. 파주: 도서출판 조경. p.472.
  12. 정영선, 안정환(2004). 한국 전통정원의 중국 광동성 내 조성사업. 건축역사연구. 13(3): 166-183.
  13. 정일환(2010). 외국도시에 조성되는 한국정원의 전통성 증진방안연구. 서울시립대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조경진, 김정호(2001). 조경설계에 있어서 전통정원의 현대적 재현의 특성. 한국조경학회지. 28(6): 84-95.
  15. 진혜영(2011). 전통 정원 조성 시 도입 가능한 설계 요소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계획학회지. 17(4): 51-60.
  16. 최기수(2003). 전통조경의 현대적 재현에 관한 연구. 한국정원학회지. 21(3): 1-16.
  17. 최정민, 최기수(2007). 한국 현대 조경의 한국성 논의를 위한 기초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5(4): 1-15.
  18. 한국전통조경학회(2009). 동양조경사. 서울: 도서출판 대가. p.308.
  19. 한국전통조경학회(2012). 한국전통정원의 조성기법 및 해외활성화 방안 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보고서.
  20. Aben, Rob & Saskia de Wit(1999). The Enclosed Garden: History and Development of the Hortus Conclusus and its Reintroduction into the present-day Urban Landscape, 010 Publis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