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ation and Vegetation Management for Enhanced Authenticity of Jeju Ohyundan

제주 오현단의 진정성 제고를 위한 시설 및 식생관리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Oh, Hyun-Kyu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Ecological Institute of Korean Peninsula)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오현경 (전북대학교 조경학과 & 한반도생태연구소)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reasonable management plans to reinforce essence of Ohyundan(五賢壇: Five sprit tablets), a sacred site and monument of Jeju,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cultural landscape elements(e.g. architectural structures, installation, letters carved on the rocks, actual vegetation, etc.) while grasping placeness contained in Ohyundan through consideration of its history and transition process of Ohyundan a future being and shrine of Gyulrim Seowon(橘林書院) in Jeju. Results derived from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Ohyundan is noted due to its placeness in that it was a place for Gyulrim Seowon, Jeju's one and only Saaek Seowon(賜額書 院) and it was a symbolic space of exile culture in Jeju. As it is inferred from Gyulrim Seowon, which is dangho(堂號: clan name) of Seowon, orchards surrounding all over places are a signature landscape element that shows placeness of the past Ohyundan. Joduseok(俎豆石: altar stone), representing a core installation of Ohyundan and ancestral tablet of five spirits, created a refined place by putting up common stones around altar and founding blocked stones to wall. This refinement and thrift served basic mind of Neo-Confucianism, and led to of Jeju's Jonyang mind(spend-thrift mind). In conclusion, a practice plan is a prerequisite to restore essence of Ohyundan by actively excluding installations not suitable for placeness or overly designed such as Jeju Hyangrodang(a center for the elderly) and numerous monument houses. On the other hand, together with Joduseok, as letters carved on the rocks such as 'Jeungjoo Byukrip(曾朱壁立)' and 'Gwangpoongdae(光風臺)' and Yoocheonseok serve as a signature landscape that well shows mind of five spirits and teaching of Neo-Confucianism, and also a trace from a confucian viewpoint deeply rooted in Jeju, they are judged as a cultural landscape corresponding to the essence of place in Ohyundan which requires proactive preservation and plans for public relations. Together with this, although many different old big trees such as Pinus densiflora , Pinus thunbergii, Quercus variabilis, Celtis sinenis, Zelkova serrata and Rhus succedanea are a landscape element that increases sacred Ohyundan and commemorative value, now required is thorough entity tree management by assigning serial number on them as many of them were dead or removed resulting from transition process of land use. Further, to reinforce quality of site location belonging to Gyulrim Seowon, a prerequsite is to review plans that create Gyulrim at reinstalled site of building and raw land.

제주 귤림서원의 후신(後身)이자 사묘(祀廟)인 오현단의 연혁과 변천과정의 고찰을 통해 이곳에 담긴 장소성을 파악하는 한편, 건축물과 시설, 바위글씨, 현존식생 등 문화경관요소의 현황과 문제점을 조사 분석함으로써 제주의 성지이자 기념물인 오현단의 본질을 강화하기 위한 관리방안을 도출하고자 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오현단은 제주도 유일의 사액서원이었던 '귤림서원 터'였다는 장소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제주 유배문화의 상징적인 공간인 점에도 주목된다. '귤림서원'이란 당호(堂號)에서 유추되듯이 도처에 위요되었던 과원(果園)들은 과거 오현단의 장소성을 보여주는 대표적 조망경관 요소이다. 오현단의 핵심시설이며 오현의 위패를 상징하는 조두석(俎豆石)은 흔한 돌로 제단을 두른 뒤 토막돌을 세우고, 담을 둘러 정제된 장소를 만들었다. 이 절제와 검약은 성리학의 기본정신이고, 또한 제주의 조냥정신에 맞닿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따라 오현단의 진정성을 역행하는 제주향로당과 다수의 비각 등 과설계되거나 장소성에 걸맞지 않는 시설은 적극 배제함으로써 오현단의 본질을 되찾기 위한 실천 플랜이 필요하다. 한편, 조두석은 물론 병풍바위에 새긴 '증주벽립'과 '광풍대' 바위글씨 그리고 유천석 등은 오현의 정신 및 성리학적 가르침을 잘 보여주는 상징경관이자 제주에 뿌리내린 유가적(儒家的) 흔적으로 오현단의 장소 본질과 일치하는 문화경관이라 판단됨에 따라 적극적인 보존과 홍보대책이 요망된다. 이와 함께 경내에 잔존하는 소나무를 비롯하여 곰솔, 굴참나무, 팽나무, 느티나무 그리고 검양옻나무 등 노거수 등은 오현단의 성스러움과 기념물적 가치를 상승시키는 경관요소이지만, 토지이용 변천과정에서 다수 고사 및 제거된 것으로 판단됨에 따라 지금이라도 고유번호를 부여하는 등 철저한 개체목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더불어 귤림서원이 갖는 입지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설지 및 공한지에 귤림을 조성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Keywords

References

  1. "肅宗實錄".
  2. 金錫翼, "耽羅紀年".
  3. 李衡祥書金南吉畵, 제주시(1994). 탐라순력도. p.87.
  4. 崔鎭南, "移創記".
  5. 강만익, 제주특별자치도(2008). 제주문화상징. pp.240-243.
  6. 김봉옥(1987). "제주통사". 제주문화. pp.106-107.
  7. 김석윤(2010). 제주섬 건축 탐방(2) 오현단. 한라일보. 2010년 1월 21일자.
  8. 김유리(2012). 忠庵金淨 "濟州風土錄"의 교육적 의미. 탐라문화. 40권: 225-249.
  9. 김재형(2011). 조선시대 제주유배인 실태분석과 특징.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찬흡(2002). 제주사인명사전. 제주문화원.
  11. 김철환(2000). 자연환경 평가I. 식물군의 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지. 18(1): 163-198.
  12. 서울특별시(2000). 서울金石文大觀. 3: 379.
  13. 송성대(1997). 제주도의 지리적 환경과 지역정신. 탐라문화. 18: 245-273.
  14. 양진건(1988). 제주 오현의 교학활동 연구: 제주 오현의 교학활동 연구. 탐라문화. 7: 229-250.
  15. 유홍준(2012).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파주 (주)창비: 257-267.
  16. 이완희(2007). 冶溪李益泰선생과 제주 五賢壇. 제주특별자치도. pp. 10-22.
  17. 이중환 저, 신정일 역(2012).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7 제주도. 다음생각. p.11.
  18. 이형상 저, 이상규와 오창명 역주(2009). 남환박물. 서울: 푸른역사. p.136.
  19. 정미정(2007). 朝鮮時代濟州果園설치와 柑橘進上에 관한 연구.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제주시(1982). 전통문화의 뿌리. p.269.
  21. 제주시(1990). 제주성지 및 오현단 정비계획(안).
  22. 제주시, 제주대학교 박물관(1996). 제주시의 옛터. pp.34-35.
  23. 최희남(2007). 정다산의 경제윤리사상. 서울: 김영사. p.341.
  24. http://db.itkc.or.kr/itkcdb/mainIndexIframe.jsp
  25. http://kyujanggak.snu.ac.kr
  26. http://map.naver.com/
  27. http://news.jeju.go.kr
  28. http://people.aks.ac.kr
  29. http://terms.naver.com
  30. http://www.ohyu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