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Android Based Group Tour Supporting System Using Smart Mobile Devices

안드로이드기반 스마트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단체여행 지원시스템 개발

  • 주동훈 (동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 김광수 (동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 임원태 (동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 문미경 (동서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부)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Due to the enforcement of five-day work week, domestic tourism industry is growing steadily. We need to develop a system for a smart and safe group tour reflecting a currently popularized smart mobile device on the tourism growth.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development of safety tour system using android-based smart mobile devices. The safety tour system is composed of an android application for the tourist, an android application for the guide and a server system for travel agency. Using the applications, the tourists can see the contents of the various attractions and receive messages from guide, and the guide can manage group tourists. The travel agency can manage the contents of travel destinations and monitor the guides and the tourists on a tour in real time. A guide and tourists can see the real-time location each other using their own smart mobile devices, and get automatic alarm when a tourist leave the safe zone or go away so far from guide to ensure safety. These features reduce a waste of time for count number of tourist repeatedly or identify a seceder during the group tour. This system utilizes the location-based service platform to processes real location data of tourists and guides, and the Google-cloud-messaging service to exchange the messages between a guide and the tourists.

국내에서는 주 5일제 시행으로 인해 관광산업이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이러한 성장 흐름을 현재 대중화되어진 스마트 모바일기기에 반영하여 스마트하고 안전한 단체여행을 지원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할 필요성이 생겼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기반 스마트 모바일기기를 활용한 안전여행 시스템의 개발 내용에 대해 기술한다. 본 시스템은 스마트 탭을 이용하여 가이드가 n명의 여행객들을 관리하기 위해 안드로이드 기반의 가이드용 앱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여행지의 콘텐츠를 보고 가이드의 관리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는 여행객용 앱, 그리고 이러한 가이드와 여행객들의 그룹 m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여행상품 콘텐츠를 관리할 수 있는 여행사용 서버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기능들은 단체여행 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인원점검이나 이탈자 확인 작업으로 인해 소비되는 불필요한 시간을 줄여줌으로써 여행의 만족도를 높여주게 된다. 이 시스템에서는 가이드와 여행객들의 실시간 위치값을 처리하기 위해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 플랫폼을 이용하며, 가이드와 여행객들 사이 메시지 송수신을 위해 GCM(Google Cloud Messaging) 서비스를 이용한다.

Keywords

References

  1. 유지혜, "국내관광 행태변화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관광학회 제65차 학술심포지엄, pp.51-59, 2009. 2.
  2. 김혜영, 장양례, "국내여행객의 관광동기, 여행상품선택속성, 관광행태에 관한연구", 관광연구, 제26권 제4호, pp.147-166, 2011. 10.
  3. 최정자, "문화관광 해설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간 문화유산체험 및 만족도 차이", 관광학연구, 제35권 제7호(통권 제93호), pp.11-30, 2011. 9.
  4. 주헌식, "스마트 폰의 발전과 활용 사례", 한국컴퓨터정보학회지, 제19권 제2호, pp.5-15, 2011. 12.
  5. 임명환, 김강훈, "국내외 스마트콘텐츠산업동향 및 시장전망", 한국정보기술학회지, 제10권 제4호, pp.87-96, 2012. 12.
  6. 방송통신위원회, 유무선 통신서비스 가입자 통계, 2013, 1.
  7. 김평중, "안드로이드 플랫폼과 서비스 기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한국멀티미디어학회지, 제15권 제1호, pp.10-21, 2011. 3.
  8. 김광열, 박인환, 임이랑, 홍애란, 김진영, 신요안, "위치 기반 서비스의 최근 동향", 한국통신학회지, 제28권 제7호, pp.3-14, 2011. 6.
  9. 양수영, 유남현, 손철수, 이태웅, 권준아, 김원중, "단체 관광객을 위한 지능형 가이드 시스템",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제6권 제2호, pp.304-311, 2011. 4.
  10. 최준성, 노용주, "무선 RF칩을 이용한 단체 여행객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6-0135581(2006.12.08)
  11. NamHyun Yoo, SuYeong Yang, Heon Jeong, "A u-Tour System for a Tour Leader in a Guided Group Package Tour", IEEE Symposium on Wireless Technology and Applications(ISWTA), pp291-296, Sept. 2012.
  12. developer.android.com/google/gcm/index.html
  13. 김도윤, 성동수, 이건배, "위치기반 서비스를 이용하는 효율적인 단체관광 안내시스템의 구현", 한국정보기술학회눈문지 제9권 제1호, pp.185-192, 20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