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urt Dressing Added with Bokbunja (Rubus coreanus Miquel) Juice

복분자즙을 첨가한 요구르트 드레싱의 품질특성

  • Park, Ji-Yang (Dept. of Hotel Food & Bakery, Shin Sung University) ;
  • Lee, Se-Hee (Dept. of Global Korean Culinary Art, Suwon Science College) ;
  • Park, Ki-Bong (Dept. of Hotel Culinary Art, Mun Kyung College)
  • 박지양 (신성대학교 호텔조리제빵계열) ;
  • 이세희 (수원과학대학교 글로벌한식조리과) ;
  • 박기봉 (문경대학교 호텔조리과)
  • Received : 2013.05.25
  • Accepted : 2013.11.1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physicochemical and sensory qualities of yogurt dressing prepared with Bokbunja juice(0, 10, 20, 30 and 40%). As the amount of added Bokbunja juice increased, contents of organic acids(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nd acetic acid) increased. The viscosity of the control group(8306.67 cP)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1633.33~6913.33 cP). The pH of the control group(3.96)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s(3.90~3.85). The sweetness of the control group(14.43) was lower than 10% Bokbunja juice added group(14.93). Color L decreased significantly, whereas a value and b value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more Bokbunja juice added.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control group was 5.84%, whereas those of yogurt dressing samples with Bokbunja juice ranged from 39.72~88.17%. The sensory property results showed that yogurt dressing with 30% Bokbunja juice added group had the highest value in terms of color, flavor, taste, mouth feel, and overall acceptability. Overall, the result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yogurt dressing containing 30% of Bokbunja juice was most preferred among the groups.

본 연구는 복분자를 이용한 건강 기능성 요구르트 드레싱을 개발하기 위해 복분자즙을 각각 10~40%를 첨가하여 요구르트 드레싱을 제조한 다음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평가하여 새로운 드레싱 개발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복분자즙을 첨가한 요구르트 드레싱의 유기산 함량 분석 결과 복분자즙을 첨가할수록 citric acid, tartaric acid, malic acid, succinic acid, acetic acid 등이 증가하였다. 점도는 대조군(8306.67 cP)이 복분자즙 첨가군(1633.33~6913.33 cP)보다 높게 나타났다. pH는 대조군(3.96)이 복분자즙 첨가군(3.90~3.85)보다 높게 나타났다. 당도는 10%첨가군이 $14.93^{\circ}Brix$로 가장 높았다. 색도는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은 감소하였고 적색도 a값과 황색도 b값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 측정 결과 대조군이 5.84%였으며 복분자즙 첨가군이 39.72~88.17%로 높게 나타났다. 관능검사 결과 색, 향, 맛, 입안에서의 느낌, 전체적인 기호도 등에서 복분자즙 30%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 되어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 시 복분자즙 30%첨가군이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복분자즙 첨가 요구르트 드레싱 제조 시 복분자즙 첨가량은 30%가 가장 적합하리라 사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