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Gamephobia, From Homo Ludens To Cyberspace

게임포비아, 호모루덴스에서 사이버스페이스까지

  • 조은하 (강원대학교 문화예술대학 스토리텔링학과)
  • Received : 2012.12.12
  • Accepted : 2013.01.10
  • Published : 2013.02.28

Abstract

The vague anxiety or disbelief about new media undermines the confidence of old media about controlling the future. The negative response of old media makes the vicious circle. In spite of the development of new media and IT industry, the conservative view regards computer game as taboo. The absolute taboo provokes the absolute fear. Then the absolute taboo is 'computer game' in today's Korean society. Computer game as play in the digital era is burdened by the critique on the non-productivity and the deviation. And what's more, the digital technology of computer game intensifies the image of 'virtuality'. It cause the fear about computer game. This article starts on the understanding about computer game and inspects the mass image about computer game which is caused by the various aspects of cultural or technological facts in computer game. From this inspection, the article explains the mechanism of gamephobia and suggests the view to catch the cultural value of computer game beyond the fear.

디지털 시대, 뉴미디어에 대한 막연한 불안 혹은 불신이 올드미디어 집단의 불안통제감을 저하시키고, 역기능적 신념을 공고하게 만듦으로써 불안통제감을 더욱 저하시키는 악순환을 보인다. 뉴미디어와 IT의 산업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보수적 세계관에서 게임은 절대적으로 금기시된다. 이러한 절대적 금기는 절대적 공포를 유발한다. 오늘의 한국 사회에서 절대적 금기는 단연 '게임'이다. 디지털 시대의 놀이문화 중 하나인 컴퓨터 게임은, 놀이가 지녔던 비생산성과 일탈성에 대한 비판을 떠맡고 있다. 게다가 컴퓨터 게임이 기반한 디지털 기술은 게임의 '가상성'에 대한 이미지를 증폭시켜 불안을 넘는 공포를 양산한다. 본고는 놀이에 대한 이해에서 시작하여, 어떻게 다양한 문화적, 기술적 측면들이 현재 컴퓨터 게임에 대한 대중적 상을 구성하였는가를 살펴본다. 이를 통해 컴퓨터 게임에 대한 현재의 공포가 어떻게 발생하였는가를 해명하고, 공포를 넘어서, 게임이 지니는 문화적 가치를 포착하기 위한 관점을 제안한다.

Keywords

References

  1. A. W. Leung and R. G. Heimberg, "Homework compliance, perceptions of control, and outcome of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of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34, pp.423-432, 1996. https://doi.org/10.1016/0005-7967(96)00014-9
  2. M. Cloitre, R. G. Heimberg, C. S. Holt, and M. R. Liebowitz, "Reaction time to threat stimuli in panic disorder and social phobia,"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Vol.30, pp.609-617, 1992. https://doi.org/10.1016/0005-7967(92)90006-3
  3. D. M. Clark and A. Wells,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In R. Heimberg, M. Liebowitz, D. A. Hope, & F. R. Schneier (Eds.),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pp.69-93, 1995.
  4. J. L. Hudson and R. M Rapee, "Parent-child interactions and anxiety disorders: An observational study,"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Vol.39, pp.1411-1427, 2001. https://doi.org/10.1016/S0005-7967(00)00107-8
  5. 모리 아키오, 게임뇌의 공포, 이윤정 역, 사람과책, 2003.
  6. L. Kutner and C. K. Olson, Grand Theft Childhood, Simon & Schuster, 2008.
  7. 게임컬쳐편집부, "뇌, 게임을 말하다-게임뇌 논쟁을 넘어서," 게임컬쳐, 게임문화재단, 2012.
  8. 윤태진, "게임포비아에 대한 미디어담론의 구성과 내용", 로그아웃컨퍼런스, 2012.
  9. 요한 호이징하, 호모루덴스, 김윤수 역, 까치, 1993.
  10. 이중톈, 미학강의, 곽수경 역, 김영사, 2009.
  11. 칸트, 판단력 비판, 백종현 역, 아카넷, 2009.
  12. 요한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놀이하는 인간, 이종 인 역, 연암서가, 2010.
  13. 유안진, 한국고유의 아동놀이, 정민사, 1981.
  14. Gorz, Andre, Critique of Economic Reason, Verso, 1989.
  15. 로제 까이와, 놀이와 인간-가면과 현기증,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1994.
  16. 박근서, 게임하기, 커뮤니케이션북스, 2009.
  17. 김효, "놀이에 관한 인문학적 고찰", 불어불문학연구, 제46집, 불어불문학회, 2001(1).
  18. Wiener, Norbert, The Human Use of Human Beings: Cybernetics and Society, Doubleday & Company, 1954.
  19. Wiener, Norbert, Cybernetics: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Machine, Wiley, 1959.
  20. A. R. Galloway, Gaming: Essays on Algorithmic Culture,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6.
  21. 클로드 카도즈, 가상현실, 심윤옥 역, 영림카디널, 1997.
  22. 조은하, "게임, 어른들은 모르는 디지털 놀이터", 창비어린이, 통권37호, 창비,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