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 of Marriage Immigrant Vietnamese Women during Pregnancy and Childbirth Period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임신과 출산에 따른 가족관계 경험연구

  • Received : 2013.01.30
  • Accepted : 2013.03.31
  • Published : 2013.04.30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and understand the family relationship experiences of marriage immigrant Vietnamese women during their pregnancy and childbirth. Eight women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 of their experiences were considered and their experiences were illuminat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re were discovered five main themes and twenty small themes within two main categories: pregnancy and childbirth. During their pregnancy, the participants felt they were accepted within their Korean family. However, after childbirth they felt they were still outsiders. The main point was that the relationships with Korean husbands were essential to overcome the difficult time. After childbirth, their relationships with mother-in-laws were not goo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during postnatal care. Childbirth was seen as giving a great gift to participants' husbands, but was stressful to the participants because of the difficulties of child caring and concerns about child's education. The participants' relationships of other family members had positive or negative inclinations depending on their family members' interests or conditions. The participants wanted to work quickly and did not plan for another chil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ir experiences during the period of pregnancy to childbirth, some policies and practices were proposed in education, social welfare, and counseling fields.

Keywords

References

  1. 김경원(2010). 다문화 가정 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 경험.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4(2), 133-144.
  2. 김두섭(2008). 외국인 배우자의 사회적 지위와 사회적 자본이 출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1(3), 1-26.
  3. 김두섭(2012). 국제결혼 부부의 연령 및 교육수준 격차와 결혼안정성: 국제결혼개방성 가설의 검증. 한국인구학, 35(1), 1-30.
  4. 김순이(2009).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도 안산시 결혼이민여성을 중심로.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2009년 전국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29-699.
  6. 김이선․김민정․한건수(2006).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 갈등 경험과 소통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한국여성개발원.
  7. 김오남(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부부갈등 결정적 요인 연구. 가족과 문화, 18(3), 63-106.
  8. 김유경(2010). 다문화가족의 복지욕구와 정책과제-교육․지원서비스 및 사회참여욕구를 중심으로- 복건복지포럼, 58-73.
  9. 김한곤(2009). 농촌지역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농촌지역을 중심으로. 농촌사회, 19(1), 83-120.
  10. 김현미(2006). 국제결혼의 전 지구적 젠더정치학-한국 남성과 베트남 여성의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와 사회, 70, 10-37.
  11. 김현재(2007).베트남 여성의 한국으로의 결혼이민: 그 배경과 원인에 대한 고찰. 동아연구, 52, 219-254
  12. 김현경․심동주(2008). 필리핀 결혼이주 여성의 한국 결혼생활 현상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 사회생활과학회지, 19(4), 519-535.
  13. 김혜선(2011). 초국가적 가족의 형성과 가족유대: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혜련(2009). 결혼이주여성의 모자보건 및 모자영양 현황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50-64.
  15. 나동석.박종인(2009). 여성결혼이민자의 사회적지지 및 결혼만족과 양육행동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 21(4), 1-20.
  16. 남부현․김옥남(2012). 여성결혼이민자의 학부모역할에 대한 질적 연구: 수도권의 고학력여성을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14(4), 113-142.
  17. 박정숙.박옥임․김진희(2007). 국제결혼 이주 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25(6), 59-70.
  18. 박주희․정진경(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과 정체성. 한국심리학회지, 12(4), 395-432.
  19. 박태영.2003.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서울: 학지사.
  20. 보건복지가족부(2008). 다문화가족 생애주기별맞춤형 지원 강화. 보건복지가족부.
  21. 서홍란․김기언․김양호(2008). 베트남 여성결혼이민자의 양육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3), 121-143.
  22. 설동훈․김현미․한건수(2005). 결혼이민자와 국제결혼 중개업자. 보건복지부
  23. 신경림․조명옥․양진향 외 46인(2004). 질적연구방법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4. 양성은․이미영(2011). 도서지역 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이해도와 가족관계 만족도에 관한 연구. 교육문화연구, 17(3), 251-284.
  25. 양순미․정현숙(2006). 농촌 국제결혼 부부의 결혼생활 적응과 만족에 대한 영향요인.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1(3), 223-252.
  26. 우복남(2008). 충남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실태조사 및 문화적응 프로그램 개발. 충남여성정책 개발원.
  27. 유은광․김혜진․김명희(2012). 결혼 이주 여성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한간호학회지, 42(2), 171-180.
  28. 유인선(1989). 베트남 전통가족제도와 부부관계. 아시아문화, 5, 165-182.
  29. 윤명숙․이해경(2011). 농촌지역 결혼이주여성의 부모 됨을 통한 적응 경험. 한국가족복지학, 32, 103-135.
  30. 윤형숙(2004). 국제결혼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서울: 한울아카데미, 321-349.
  31. 유로저널 사회부, 한국, OECD 국가들 중에 외국인 증가율 최고, Jan 27, 2011 05:16 http://www.eknews.net/xe/kr_politics/116756
  32. 이승준(2003). 여성의 노인수발완화를 위한 정책적 연구. 전북행정학보, 17(1), 73-90.
  33. 이은아(2012). 도시 결혼이주여성의 경계적 위치와 모성의 확장적 구성/재구성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4. 임현숙(2011). 결혼이주 여성의 임신, 출산을 통한 삶의 전환 체험.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3), 243-255.
  35. 정금희․고효정․김계숙․김선희․김진향․박혜숙․이영숙․한영란․김경원(2009). 다문화가정 이주여성의 임신과 출산 건강관리 실태. 여성건강간호학회지,15(4), 261-268.
  36. 정명희(2011).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사회적응 스트레스 발생요인에 대한 실증연구. 국제지역연구, 5(2), 451-481.
  37. 정연식․황영주(2004). 사회주의 혁명과 여성 지위 변화: 베트남 사례. 21세기 정치학회보, 14(2), 189-210.
  38. 정주연(2008). 베트남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사회복지 학생연구논총, 1, 228-262.
  39. 정정순(2010). 결혼이주여성의 임신.출산과 문화적응. 인제대학교 대학원 보건학박사학위논문.
  40. 정현숙․유계숙(2009). 가족관계. 서울: 신정출판사.
  41. 정혜영․김진우(2010). 베트남여성결혼이민자 가족의 문화적응과정에서 나타나는 갈등연구. 한국사회복지학, 62(2), 29-55.
  42. 지은진․최지명․김교헌․권선중․박은진․이민규 (2012).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적 의사소통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7(1), 243-252.
  43. 최은영(2011). 베트남 결혼이주여성과 한국여성의 산후우울 비교. 여성건강간호학회지, 17(1), 39-51.
  44. 통계청(2011). 다문화인구동태 통계.
  45. 통계청 보도자료 2011년 4월 20일, 2010년 혼인․ 이혼통계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46. 하순(2000). 메콩델타-역동적인문화와 역사의 세계. 국제지역연구, 4(2), 81-112.
  47. 하 밍 타잉(Ha Minh Thanh)(2005). 1992년 이후 한국과 베트남 사이의 국제결혼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한국학전공 석사학위 논문.
  48. 한건수(2006). 농촌지역결혼이민자여성의 가족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 39(1), 195-243.
  49. 한경혜, 성미애, 진미정(2006). 가족발달. 서울: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부.
  50. 한주리․허경호(2005). 가족 구성원의 의사소통능력, 내외 통제성, 중동성, 낙관성이 가족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언론정보학보, 28, 254-280.
  51. 홍달아기․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회, 15(5), 729-741.
  52. Bronfenbrenner, U.(1979).The eology of human development: Experiments by nature and design. the President and Fellows of Harvard College.
  53. Clarke, A. S.(1997). The American Indian child: Victims of the culture of poverty or cultural discontinuity? In R. D. Taylor & M. C. Wang (Eds.), Social and emotional adjustment and family relations in ethnic minority families (pp. 63-81). Mahway,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54. Colaizzi, F. E.(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In: Valle, R. S., & King, M.(ed.). Existential phenomenological alternatives for psychology. Oxford University Press.
  55. Crippen, C. & Brew, L. (2007). Intercultural Parenting and the Transcultural Family: A Literature Review, The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and Families, 15(2), 107-115.
  56. Falicov, C. G. (1995). Cross-cultural marriages. In N. S. Jacobson & A. S. Gurman (Eds.), Clinical handbook of couple therapy. New York: Guilford. 231-246.
  57. Frame, M. W.(2004). The challenge of intercultural marriage: Strategies for pastoral care, Pastoral psychology, 52(3). 219-232.
  58. Garcia Coll, C., & Pachter, L. M. (2002). Ethnic and minority parenting. In M. H.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 4: Social conditions and Applied parenting (2nd ed., pp. 1-20). Mahwah, NJ: Erlbaum.
  59. Olson, D. H. & DeFrain, J.(2000). Marriage and the Family Diversity and Strengths (3rd ed.). Mayfield Publishing Copmany, CA. USA.
  60. Romano, D. (1998; 2008). Intercultural Marriage: Promises and Pitfalls(3rd ed.). Intercultural Press. Boston, Ma: A Nicolas Brealey Publishing Compan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