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Therapeutic Marital Enhancement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다문화가족을 위한 통합치료적 부부관계향상프로그램 개발

  • Kim, Jung Ok (Dept. of Family & Consumer, Catholic University of Daegu)
  • 김정옥 (대구가톨릭대학교 가족소비자학과)
  • Received : 2013.07.30
  • Accepted : 2013.10.0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integrated therapeutic program on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among multicultural couple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Sandplay Therapy, Dance Therapy, Mantra Meditation, Role Play, Psychodrama Therapy, and was carried out 6 sessions for 2 days.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11 married multicultural couples who had been in marital conflicts in K province. Cronbach'${\alpha}$ coefficient,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value, Wilcoxon sign-rank test were conducted using IBM SPSS Statistics 20, and the data were analysed with Effect Matrix by observation method and participants' statement.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ed that the integrated therapeutic program improved self-esteem among the multicultural couples. Second, the program us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decreasing the multicultural couples' negative communication. Third, the study proved that the integrated therapeutic program increased multicultural couples' marital satisfaction.

Keywords

References

  1. 강유진(1999) 한국남성과 결혼한 중국 조선족여성의 결혼생활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4(2), 60-80
  2. 국성민(2008) 부모의 양육태도 및 결혼만족도가 자녀의 성격에 미치는 영향. 대전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나영(2007)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생활만족도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사회참여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민정.유명기.이혜경.정기선(2006)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딜레마와 선택:베트남과 필리핀 아내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회지, 39(1), 159-193
  5. 김보애(2005) 모래놀이치료의 이론과 실제. 서울:학지사.
  6. 김승권.김유경.조애저.김혜련.이혜경.설동훈.정기선.심인선(2010).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보건복지가족부.법무부.여성부.한국보건사회연구원.
  7. 김연수(2010) 가족탄력성 접근을 활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대상 부부관계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4(4), 59-90.
  8. 김오남(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여성의 정신건강에 관한 연구-문화적응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2(3), 47-73.
  9. 김인철(2008)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도윤지(2010) 새터민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표현예술치료 프로그램개발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문은주(2007). 자기표현 향상을 위한 통합적 예술치료 적용연구-저소득층 아동 소집단 중심으로-. 한국아동미술학회지, 6(6), 55-69
  12. 박성호(2001). 부부의 자아존중감, 내적통제성 및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와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박정숙.박옥임.김진희(2007) 국제결혼이주여성의 가족갈등과 생활만족도에 고나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6), 59-70.
  14. 박태영.김태한.김혜선.박소영.유명이.은선경.이재령.장윤영.정선영.조성희.조용길 (2009). 가족치료사례와 질적분석. 서울 : 학지사.
  15. 박현옥(1993). 무용요법의 치료과정과 기술적 방법에 관한 연구. 대한무용학회, 15, 52-53.
  16. 백경실(2004). 사이코드라마적인 음악치료가 부부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변미희.강기정(2010) 다문화가족 아내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 관련 요인. 한국가족복지학회지, 15(2), 127-141
  18. 소병숙(2009) 결혼이민여성의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검증-해결중심단기가족치료 이론을 기초로-. 전북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손진이.백경임(2008) 경주시 결혼이민자가족 부부프로그램의 효과-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에서 실시한-. 경주연구,17(2), 5-34.
  20. 송지현(2009) 다문화가정 부부의 결혼적응요인에 관한 연구. 한남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신란희(2005) 국제결혼 여성의 가족, 일 그리고 정체성 : 우즈베키스탄과 필리핀 여성의 생애사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신승연.홍은미(2011) 집단미술치료가 다문화가정 부부의 의사소통과 친밀감에 미치는 효과. 예술심리치료연구, 7(4), 175-197.
  23. 안창현(2008)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연영란(2012) 부부관계 증진 프로그램이 다문화 가정 부부의 의사소통, 갈등해결 및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5. 유명숙(2010) 임파워먼트 모델에 근거한 다문화 부부옹호 프로그램이 다문화부부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 대처방식 및 가족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모자보건학회지, 14(2), 145-160.
  26. 윤령인(2012) 결혼이민자 여성의 자아존종감, 한국어 능력, 남편의 아내 모국어 능력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윤연숙(2002) 부부관계 향상 프로그램이 부부의 사소통과 결혼만족에 미치는 효과-국제 가정을 중심으로-. 선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8. 윤형숙(2004) 국제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최협.김성국.정근식.유명기 편. 한국의 소수자, 실태와 전망. 한울. 321-349
  29. 이미옥(2012) 드라마치료를 통한 부부행복디자인-2012 경상북도 건강가정아카데미 자료집. 미간행.
  30. 이은주(2007) 결혼이민여성 부부집단 프로그램 의 개발과 평가에 관한 시론적 연구-필리핀 여성 부부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9(1), 29-60.
  31. 이종복.이성순.김재열.김현희.정명희.홍은미.이형진.조윤희(2012). 다문화사회의 이해와 복지. 양서원.
  32. 이혜경(2005) 혼인이주와 혼인이주 가정의 문제와 대응. 한국인구학, 28(1), 73-106
  33. 임용자(2004) 슈타이너의 동작예술-유리드미 (EURYTHMY)-. 월례학술발표회, 29,23
  34. 장현갑(2012) 스트레스를 극복하기 위한 명상-2012 경상북도 건강가정아카데미 자료집. 미간행.
  35. 전춘애(1994). 부부의 자아분화수준과 출생가족에 대한 정서적 건강 지각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6. 최미나(2011) 다문화가정 부부관계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7. 최미화(2011) 결혼이주여성의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 향상을 위한 현실요법 프로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통계청(http://www.kostat.go.kr)
  39. 표현영(2004) 국제결혼가정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경상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0. 한건수(2006) 농촌지역 결혼이민자 여성의 가족 생활과 갈등 및 적응. 한국문화인류학회지, 39(1), 195-243
  41. 한주연(2002) 한.일 국제결혼 가정의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 선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2. 홍달아기.채욕희.이남주(2010)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통합교육 프로그램개발과 평가. 한국생활과학회지, 19(1), 75-89
  43. 홍달아기.채옥희(2006) 사례로 본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정생활실태와 갈등. 한국생활과학학회지, 15(5), 729-741
  44. 홍성희.김성숙(2009). 여성결혼이민자가족의 지원을 위한 통합적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3(1), 119-146.
  45. Beach, S., Katz, Kim, S. & Brody, GH,(2003). Perspective effects of marital satisfaction on depressive symptoms in established marriage : A dyadic model.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20, 355-371 https://doi.org/10.1177/0265407503020003005
  46. Gottman, J. M.(1994).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 NY : Simon & Schuster.
  47. Gottman, J. M.(1999). The marriage clinic : A scientihcally based marital therapy. W. W. Norton & Company, New York, London.
  48. Satir, V.(1972). People Making. Palo Alto, CA : Science and Behavior.
  49. Perls, F., Hefferline, R.F., & Goodman, P. (1951). Gestalt therapy. London : Souvenir Press.
  50. Roach, A. J., Frazier, L.P., & Bowden, S. R. (1981) The marital satisfaction scale : Development of a measure for intervention research.
  51. Rosenberg(1979) Conceiving the self. NY : Basic Book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