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Engineering Professional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 Received : 2013.08.10
  • Accepted : 2013.09.23
  • Published : 2013.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the recognition of engineering professionals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education. For the study, survey was proceeded through experts in engineering. The result of research follows. First, experts in engineering recognized that engineering has a significant impact in th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nd competitiveness. Experts in engineering, had a recognition consistent to some extent for engineering. and we have found engineering's own characteristics that emphasize "problem solving and design, innovation and creativity, economy optimization". Second, experts in engineering recognized that engineering education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rarely take place, and also does not provide enough information for students. Third, experts in engineering recognized that engineering education is very needed in Primary and middle school. Through this, students can understand creative design problem-solving process. In addition, Experts of engineering, have a variety of educational demands for School level to the level of engineering education should start, level educational purposes, how to apply effective and so on.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공학전문가들의 인식 분석을 통해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 적용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3개영역 총 20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이를 임의표집된 1,200명의 공학전문가들에게 우편조사와 인터넷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139부의 설문지 중 117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이 국가 경제 발전 및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매우 크다고 인식하고 있다. 공학전문가들은 공학에 대한 어느 정도의 일관된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공학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공학이 가지고 있는 '설계와 문제해결, 창조성과 혁신, 최적화와 경제성'을 중시하는 고유의 특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 둘째, 공학전문가들은 현재의 초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고, 공학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공학전문가들은 초 중등학교에서 공학교육이 필요하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 과정 이해할 수 있을 것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공학전문가들은 공학교육이 시작되어야 하는 학교급 수준, 학교급별에 따른 수준별 교육 목적, 효과적인 적용 방법 등의 다양한 교육요구를 갖고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민(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 김종승, 김영민, 김현정, 이창훈(2013). 초등학교 학생들의 공학자, 과학자, 기술자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1), 67-92.
  3. 김현영(2011).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 및 인식 비교.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4. 손소영(2007). 특집 1 : K-12. 공학교육, 14(4), 7-9.
  5. 이경우, 김병재, 이태희, 황농문, 한송엽(2009). 공학문제해결입문. 시그마프레스.
  6. 정진규(2012).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과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 이미지조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7. 최유현, 박기문, 류승민, 이정균(2009). 공학에 대한 태도 측정 도구 개발.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4(2), 161-178.
  8. 한국공학교육인증원(2005). 공학인증기준설명서 2005(KEC2005).
  9.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1997). Criteria for Accrediting Programs in Engineering in the United States. Author.
  10. Arup(2009). Engineers are cool. Available from http://students.egfi-k12.org/video-engineers-are-cool/.
  11. Bernie Trilling, Charles Fadel(2009). 21st Century Skills: Learning for Life Our Times. 한국교육개발원 역(2012). 21세기 핵심역량: 이 시대가 요구하는 핵심 스킬. 학지사.
  12.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09). Engineering K-12 Education: under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The National Academies Press.
  13. National Academy of Engineering(2010). Standards for K-12 Engineering Education?. The National Academies Press.